신학

[스크랩] 구약학 연구 서론

하나님아들 2018. 1. 17. 09:21

0. 서론

 

구약학의 하위 분야별 분류 방식

김중은은 구약학의 분야를 크게 구약 본문에 대한 단순한 구약 '성경공부'(Bible Study)와 전문적인 구약 '성서연구'(Biblical Studies)의 둘로 나누고, 구약성서연구를 다시 구약언어, 구약개론, 구약역사(이스라엘 역사), 구약신학, 구약주석의 다섯 분야로 나눈다.

독일의 경우 구약학에 관련되는 과목은 아래와 같다.

ㄱ. 구약 언어학 - 히브리어, 아람어, 수리아어, 우가릿어, 아카드어 등. 히브리어 원전 강독도 이에 포함된다.
ㄴ. 본문의 내용에 대해 알아보는 구약 성경지식(Bibelkunde) - 이는 앞에서 말한 구약 성경공부에 해당한다.
ㄷ. 구약주석방법론을 다루는 구약 기초 세미나(Proseminar).
ㄹ. 기초 강의(Vorlesung) 과목으로 구약 개론, 이스라엘 역사, 구약신학.
ㅁ. 기타 특별 주제를 다루는 강의(이를 테면 이사야, 시편 등의 주석 강의)와 본 세미나(Hauptseminar)나 고급 세미나(Oberseminar). 세계 구약학계에서는 성서사본학, (구약)성서지리, (구약)성서고고학, (구약)성서해석학, 심지어 구약본문 설교, 구약인류학, 구약윤리 같은 것도 구약학의 하위 분야로 나누어 보기도 한다.
이번 과목에서는 우리가 쓸 수 있는 시간의 형편에 맞추어, 구약 언어학(1), 구약 지리(2), 구약 역사 및 고고학(3), 구약 주변 세계 연구(4), 구약 개론(5), 구약 외경 및 위경(6), 구약 해석학(7), 구약 주석 방법론(8), 구약 본문 설교 및 구약 윤리(9)의 아홉 가지로 나누어 구약학을 개관하기로 한다.

그런데, 구약학의 이런 여러 분야 가운데서는 다른 일반 학문 분야와 밀접하게 관련되는 경우가 많다. 곧 구약 언어학은 일반 언어학과, 구약 지리는 일반 지리학과, 구약 역사는 일반 역사학과, 구약 고고학은 일반 고고학과, 구약 주변 세계 연구는 고대 중동학과, 구약 해석학은 일반 해석학과, 구약 윤리는 일반 윤리학과 연관된다(도표[65] 참고).
이리하여 구약학이 본디는 신학의 한 분야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종합 학문의 성격을 띠기도 한다.

 

정경 부분별 또는 문학유형별 분류 방식

구약학 개관의 또 다른 내용은 정경의 삼분법을 따라 오경 연구 개관, 예언서 연구 개관, 성문서 연구 개관을 들 수 있다. 또한 구약학은 구약 본문의 문학유형을 기준으로 역사서, 시문서, 지혜 문서, 묵시 문서 등으로 나누어 개관할 수도 있다. 이런 식으로 구약학을 개관하는 것은 다음 기회로 미루기로 한다.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 과정에 개설된 구약학 과목(도표 [66] 참고)

장로회신학대학교의 신학 과정은 크게 세 부분, 곧 대학부 신학과와 신학대학원 신학과와 대학원 석사 박사 과정의 신학과로 이루어져 있다.

 

대학부 신학과
대학부 신학과에서는 전공 필수로 구약 본문 내용 개관 과목인 <구약 성경1>과 <구약학 개관> 두 과목이 있다. 1998학년도 1학기 교육과정 개정 이전에는 필수 과목이었던 <구약 성경2>가 개정 이후에는 필수 과목 이수 학점의 수를 줄이기 위해서 선택 과목으로 되었다. 나머지 선택 과목 가운데서 구약 언어학 과목으로는 <히브리어>와 <구약 원전 강독>이 있고, 구약학 분야 과목으로는 <이스라엘 역사>와 <성서 지리>가 있다. <히브리어>는 계절 학기에서도 이수할 수 있다. 정경의 부분별 연구 과목으로는 <율법서1,2>와 <예언서1,2>와 <성문서 1,2>가 있다. 이 여섯 과목이 신학대학원 신학과에 개설되어 있는 같은 이름의 여섯 과목과 다른 점은, 대학부에서는 아직 구약 석의 방법론을 배우지 않고 다른 구약학 관련 부분 과목을 깊이 배우지 않은 상태에서 정경의 각 부분을 공부한다는 데에 있다. 현장 방문 및 실습 과목으로는 <성지 답사 연구> 과목이 개설되어 있다.

 

도표[66].장로회신학대학교의 신학 과정에 개설된 구약학 과목 일람표(1999.8.31 현재) 

과정

학년

구분

대학부
신학과

1

1학기

2학기

전공필수

구약성경1

전공선택

구약성경2

2

전공필수

구약학개관,성서지리

전공선택

이스라엘역사

전학년

전공선택

성지답사연구

전공선택

성지답사연구

2-4

전공선택

히브리어,구약원전강독

전공선택

히브리어,구약원전강독

3-4

전공선택

율법서1,예언서1,성문서1

전공선택

율법서2,예언서2,성문서1

신학
대학원
신학과

1

전공필수

히브리어1,구약학개관(또는 구약근동세계문학연구)

전공필수

구약석의 방법론

3

 

 

전공필수

구약신학

전학년

매학기
개설될수있는
선택과목

히브리어2,구약원전강독1,구약원전강독2,구약세미나,성지답사연구

3학기
주기로
개설될수있는
선택과목

히브리어문장론,율법서1,성문서2,구약위경연구,이스라엘역사,구약과설교

구약아람어,율법서2,예언서1,구약위경연구,이스라엘역사,구약과설교

중급히브리어,예언서2,성문서1,묵시문서,구약외경연구,구약해석학,구약본문번역연습

대학원
석사과정
신학과
구약학전공

필수과목

구약원전강독,구약성서해석사,구약신학,주석(율법서),주석(예언서),주석(성문서)

선택과목

구약신학자연구,구약신학의최근동향,성서고고학과고대문헌연구,칠십인경강독연구

대학원
박사과정
신학과
구약학전공

필수과목

고급히브리어문법,성서아람어,성서고고학세미나,구약과고대근동종교,구약신학방법론,구약신학세미나,오경,예언서,성문서

선택과목

우가릿어,아카드어,수리아어,구약과신약,구약과유대교,족장연구,모세연구,메시야연구,예언과묵시,칠십인경연구,구약사본학연구,이스라엘유대의역사

 

신학대학원 신학과
신학대학원 신학과의 필수 과목은 본디 <히브리어1>과 <구약학 개관>과 <구약석의 방법론>과 <구약신학>의 넷인데, <히브리어1>은 계절학기에도 이수할 수 있고, 본대학 신학과 출신 학생들은 <구약학 개관> 대신 <구약 근동 세계 문학 연구>를 이수해야 한다. 선택 과목 가운데서는 구약 언어학 과목으로 <히브리어2>, <중급 히브리어>, <히브리어 문장론>, <구약 아람어>, <구약 원전 강독 1,2>, <구약 본문 번역 연습>이 있고, 구약학 분야 과목으로는 <성서 지리학>, <이스라엘 역사>, <신구약 중간사>, <성서 고고학>, <구약 외경 연구>, <구약 위경 연구>, <구약 해석학>, <구약과 설교>가 있고, 현장 방문 및 실습 과목으로 <성지 답사 연구>가 있다. 정경의 부분별 연구 과목으로는 <율법서1,2>와 <예언서1,2>와 <성문서 1,2>가 있고 <묵시문서>는 따로 다룬다. <구약 세미나>는 특수한 주제를 다루는 과목이다. 2001년부터 시행될 새 교육 과정에서는 <구약 성경학1,2>와 <칠십인경 강독>과 <구약 개론>이 덧붙는다.

 

대학원 구약학 전공
대학원 석사 과정에서는 필수 과목으로 <구약 원전 강독>과 <구약 신학>이 신학대학원 때 배운 것을 되풀이하면서 강화하는 계기가 되고, <구약 성서 해석사>가 새 과목으로 덧붙으며, 주석 과목으로 <율법서>, <예언서>, <성문서>가 개설된다. 선택 과목은 앞 쪽의 일람표에 적힌 바와 같다. 박사 과정의 필수 과목과 선택 과목을 통틀어 보면, 지금까지 배운 바를 심화시키는 과목들과 아울러 아주 전문화된 과목들이 개설되어 있다. <고급 히브리어 문법>, <성서 아람어>, <우가릿어>, <아카드어>, <수리아어> 같은 구약 언어학 과목과 <오경>, <예언서>, <성문서> 같은 정경 부분별 연구 과목과 <예언과 묵시> 같은 문학유형별 연구 과목이 강화 및 다양화되고, 이제까지 아래 과정에서 다루지 않았던 특수한 과목으로 <칠십인경 연구>, <구약과 유대교>, <구약 사본학 연구>, <메시야 연구>, <족장 연구>, <모세 연구>가 덧붙는다. 

 

[참고 문헌 목록]신학 입문과 구약학 입문 일반

참고 문헌을 찾는데 도움이 되는 책들

1. 문희석. 한국교회구약성서해석사 1900-1977.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79, 137-207.
2. 박종호 편. 한국신학논문총색인. 서울: 총신대학출판부, 1979년 이후 계속 나옴.
3. 한국신학도서관협희회 편. 한국신학관계 석박사학위논문집. 서울: 도서출판 나눔사, 1990년 이후 수정증보판 나옴.
4. 기독교문사 편. 기독교년감...에 1991년 이후로는 해마다 신간 기독교 도서 목록이 들어 있음.
5. 김옥환 편. 신학학술자료총람... 서울: 전국신학대학협의회.. 해마다 나옴.
6. Elenchus Bibliographicus Biblicus(=EBB). Rome: Biblical Institute Press, 1923ff.
7. Internationale Zeitschriftenschau f� Bibelwissenschaft und Grenzgebiete(=IZBG). D�seldorf u.a.: Patmos, 1951ff.
8. Old Testament Abstracts. Washington D.C.: Catholic Biblical Association of America, 1978년부터 3개월간.
9. Orientalistische Literaturzeitung(=OLZ). Berlin u.a., 1898ff.
10.Theologische Literaturzeitung(=ThLZ). Leipzig, 1876ff.
11.Theologische Rundschau(=ThR). T�ingen: J.C.B.Mohr(Paul Siebeck), 1897ff.
12.Verk�digung und Forschung(=VuK). M�chen: Chr.Kaiser, 1940ff.
13. 아래 0.9('구약학 관련 잡지 및 정기 간행물')에 실린 책들의 최신 논문 및 신간 소개란 

 

사전(1): 종교학, 기독교, 신학, 성서학 일반 사전(아래 0.7도 참고)

기독교, 신학, 종교학 일반

1.그리스도교대사전. 서울: 대한기독교 서회, 1972.
2. 기독교대사전. 서울: 대한기독교 서회, 1960.
3. 기독교대백과사전. 전16권. 서울: 기독교문사, 1980.
4. Harrison, E.F. Baker's Dictionary of Theology. Grand Rapids: Baker, 1960. > 신성종 역. 베이커 신학사전. 서울: 엠마오, 1986.
5. Eliade, M. The Encyclopedia of Religion. 16 vols.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987.
6.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Grand Rapids, Michigan: Wm.B.Eerdmans / Leiden: E.J.Brill, 1998ff.
7. Encyclopaedia Judaica. 17 vols. Jerusalem: Keter, 1972.
8. Evangelisches Kirchenlexikon. Internationale theologische Enzyklop�ie. 3.Auflage(=3EKL). 6 Bde. G�tingen: Vandenhoeck & Ruprecht, 1986-1997.
9. Die Religion in Geschichte und Gegenwart. T�ingen: J.C.B.Mohr, 3.Aufl.(=3RGG) 7 B�de, 1957-1965; 4.Aufl.(=4RGG), 1998ff.
10. Krause, Gerhard/M�ler, Gerhard (hg.). Theologische Realenzyklop�ie(=TRE). Berlin/New York: Walter de Gruyter, 1977ff. 약어표 목록이 별권으로 나와 있음: Abk�zungsverzeichnis

zusammengestellt von Siegfried Schwertner, 1976.

 

성서백과사전, 성서 사전 등

1. 김철손, 박창환, 이상훈, 구덕관, 장병일 공저. 현대성서사전.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0.
2. 류형기 편저. 성서사전. 서울: 기독교 대한 감리원 총회원, 1960.
3. 성서백과대사전 편찬위원회 역편. 성서백과대사전 1-12권. 서울: 성서교재간행사.1979-1981.
4. 성서사전 편찬위원회 편. 신성서사전. 향린사, 1964.
5. 오인명. 성경 인명 지명 대사전. 기문사, 1954.
6. 정인찬 편. 성서대백과사전. 전8권. 서울: 기독지혜사, 1979.
7. Reynolds,W.D.(ed.). The Universal Bible Dictionary. > 장로회신학교 교사회 역술. 성경사전. 서울: 조선야소교 발행, 1936.
8. Achtemeier, P.A.(ed.). Harper's Bible Dictionary. San Francisco: Harper & Row, 1985.
9. Bromley, B.W. et al (ed.).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olpedia. Grand Rapids: Eerdmans, 1979ff.
10. Freedman, David Noel (ed.). The Anchor Bible Dictionary(=ABD). 6 vols. New York 등: Double Day, 1992.
11. Galling, Kurt (hg.). Biblisches Reallexikon. T�ingen: J.C.B.Mohr, 21977 (=BRL2).
12. The Interpreter's Dictionary of the Bible(=IDB). Nashville: Abingdon Press, vols.1-4, 1962; suppl. vol.197?
13. Koch, K./Otto,E./Roloff,J./Schmoldt,H. Reclams Bibellexikon. Stuttgart: Philipp Reclam jun., 41987.
14. Pirot, L. Dictionaire de la Bible Suppl�ent(=DBS). 10 tomes. Paris: Librairie Letouzey et An? 1928-1985.
15. Reicke, Bo/Rost, L. (ed.). Biblisch-historisches Handw�terbuch. Landeskunde, Geschichte, Religion, Literatur(=BHH). G�tingen: Vandenhoeck & Ruprecht, 1962-1964.

 

신학 입문

 0. 박희병 편역. 선인들의 공부법. 서울: 창작과 비평사, 1998.
1. 김중은 외 여럿 지음. 신학을 어떻게 할 것인가? 서울: 아멘 서적, 1992.
2. 이종성. 신앙과 신학(현대신서 73).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7.
3. 호남신학교대학교 편. 신학이란 무엇인가?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8.
4. Barth, Karl. Einf�rung in die evangelische Theologie. Z�ich: Theologischer Verlag, 1962. > 칼 바르트 지음. 이형기 옮김. 복음주의 신학 입문(세계기독교명저1). 서울: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89. 영어판: Tr. Foley, Grover. Evangelical Theology. An Introduction,. Grand Rapids: Eerdmans / Garden City, NY: Doubleday, 1963.
5. Bohren, Rudolf (hg.). Einf�rung in das Studium der evangelischen Theologie. M�chen: Chr.Kaiser, 1964. > 루돌프 보렌 편. 한국신학연구소 역. 신학총론.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75; R.보렌 편, J.몰트만 외 6인 저. 김정준 외 6인역. 신학 연구 총론.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6.
6. Schleiermacher, Friedrich. Kurze Darstellzung des Theologischen Studiums zum Behuf einleitender Vorlesungen. Kritische Ausgabe hrsg. von Heinrich Scholz, 1910 = Darmstadt: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1982.> F.슐라이어마허 지음. 김경재, 선한용, 박근원 옮김. 신학연구 입문. 서울: 대한 기독교출판사, 1989.
7. Schr�r, Henning (hg.). Einf�rungen in das Studium der evangelischen Theologie. G�ersloh: G�ersloher Verlagshaus Gerd Mohn, 1982. > 헤닝 슈뢰어 엮음. 정일웅 옮김. 개신교 신학 연구 개론 - 독일신학 연구를 위한 안내서.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5.
8. Westermann, Claus (hg.). Theologie. Stuttgart: Kreuz Verlag, 1967. > C.베스터만 편저. 이정배 옮김. 신학입문 I/II.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88/1989.
9. Ebeling, Gerhard. Studium der Theologie. Eine enzyklop�ische Orientierung (Uni-Taschenb�her[=UTB] 446). T�ingen: J.C.B.Mohr(Paul Siebeck), 1975.
10. Strecker, G. (hg.). Theologie im 20. Jahrhundert (UTB 1238). T�ingen: J.C.B.Mohr(Paul Siebeck), 1983.
11. Winzeler, Peter. Evangelische Theologie. Einf�rung in das Theologie-Studium (Dahlemer Heft 6). Stuttgart: Alektor Verlag, 1978.

 

논문 작성법과 한글 문장 바로 쓰는 법

1. 한숭홍. 표준논문작성법.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1997.
2. 박동규. 글쓰기를 두려워 말라. 새로운 시대의 문장 강화. 서울: 문학사상사, 1997.
3. 이태준 저. 장영우 주해. 아버지가 읽은 문장 강화. 서울: 깊은 샘, 1997.
4. 이오덕. 우리 문장 쓰기. 서울: 한길사, 1993.
5. 최인호 엮음. 바른말글 사전. 서울: 한겨레 신문사, 1996.
6. 서정수. 국어 문법. 서울: 뿌리깊은 나무, 1994. 

 

 구약학 입문 (아래 0.8과 5도 참고) 

1. 김중은. "구약학, 어떻게 할 것인가?", 신학을 어떻게 할 것인가?(위 0.3.1의 책) 9-24. 지금은 또 구약의 말씀과 현실(아래 9.11의 책) 301-316.
2. 장일선. 알기 쉬운 구약학. 서울: 종로서적, 1987.
3. Bach, Robert 씀. 김정준 역. "구약성서신학", 신학연구총론(위 0.3.5의 책) 47-65.
4. Freedman, David Noel/ Smart, James D. God has spoken. Philadelphia: Westerminster Press. > D.N.프리드만, J.D.스마트 지음. 이희숙 옮김. 구약성서 이해의 요점. 서울: 종로서적, 1993.
5. Grelot, Pierre. Introduction aux livres saints. Paris, 1963. > P.그럴로 저. 김수복 역. 성서학 개론 I. 하느님 백성 이스라엘. 왜관: 분도출판사, 1976.
6. Grelot, Pierre. Introduction aux livres saints. Paris, 1963. > 삐에르 그럴로 지음. 제석봉 옮김. 성서학 개론 II. 유다이즘 (신학총서 16). 왜관: 분도출판사, 1978.
7. Hayes, John H. An Introduction to Old Testament Study. Nashville: Abingdon Press, 1986.>존 H.헤이즈 지음. 이영근 옮김. 구약학 입문.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4.
8. Knight, Douglas/Tucker, Gene (ed.). The Hebrew Bible and Its Modern Interpreters.. Philadelphia: Fortress Press / Chico: Scholars Press, 1985. > 더글라스 나이트, 진 터커 편집. 박문재 옮김. 히브리 성서와 현대의 해석자들.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6.
9. Fohrer, Georg. Das Alte Testaments. Einf�rung in Bibelkunde und Literatur des Alten Testaments und in Geschichte und Religion Israels. G�ersloh: G�ersloher Verlaghaus Mohn, 1969.
10. Noth, Martin. Die Welt des Alten Testament. Eine Einf�rung in die Grenzgebiete der Alttestamentlichen Wissenschaft. Berlin: Alfred T�elmann, 41962.
11. Rogerson, J./Davies, P. The Old Testment World.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12. Schmidt.Werner.H. "Altes Testament", Theologie im 20. Jahrhundert (위0.3.10의 책) 1-60.
13. Schmidt, Werner.H./Thiel,W./Hanhart, R. Altes Testament (UTB 421. Grundkurs Theologie Band 1). Stuttgart/K�n/Berlin/Mainz: Kohlhammer Verlag, 1989.
14. Trebolle Barrera, Julio. La Biblia judia y la cristiana. Madrid, 1993 > Tr. by Watson, Wilfred G.E. The Jewish Bible and the Chrstian Bible. Leiden/New York/K�n: E.J.Brill / Grand Rapids, Michigan: Eerdmans, 1998.

 

 성경

한글 구약 성경

1. 구역(舊譯) 구약젼서. 공인번역위원회, 1911.
2. 신역(新譯) 신구약전서, 1925(기일[J.S.Gale]과 이원모 역).
3. 개역 한글판 구약전서, 1938.
4. 성경전서 개역 한글판. 서울: 대한성서공회, 1956.
5. 성서 공동번역(외경 포함). 서울: 대한성서공회, 1977.
6. 구약전서. 평양: 조선기독교도연맹 중앙위원회, 1984.
7. 현대인의 성경.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85.
8. 현대어 성경. 서울: 성서교재간행사, 1991.
9. 성경전서 표준새번역. 서울: 대한성서공회, 1993.
10. 성경전서 개역개정판. 서울: 대한성서공회, 1998. 

해설이 덧붙은 한글 구약 성경

1. 선종완 역. 구약성서. 서울: 한국천주교 중앙협의회, 아래 1권은 1959 나머지는 1975.
1.창세기 2.출애굽기/레위기 3.민수기/신명기, 4.요수에기/ 판관기/루트기5.사무엘전후서 6.열왕기상하서 12.이사야 예언서13.예레미야 예언서/애가/ 바룩 예언서성영[=시편].
2. 서인석 역. 200주년 성서. 호세아/미가, 스파니아/나훔/하바쿡/오바디야/요나,요엘/아모스/하깨/말라기. 서울: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1977.
3. 해설 관주 성경 전서 독일성서공회판 개역한글판. 서울: 대한성서공회, 1997(아래 0.6.4.9의 편역임).
4. 구약성서 새번역. 서울: 한국 천주교 중앙협의회, 1992년 이후1. 시편(임승필 역, 1992;개정판, 1995) 2. 잠언(임승필 역, 1992; 개정판 1998)3. 욥기(임승필 역, 1992; 개정판 1997)4. 룻기, 아가, 코헬렛<전도서>, 애가, 에스델 - 축제 오경(임승필 역, 1993)5. 이사야(임승필 역, 1995) 6. 집회서(정태현 역, 1995).7. 창세기(임승필 역, 1995) 8. 예레미야, 바룩(정태현 역, 1996)9. 탈출기<출애굽기>, 레위기(임승필 역, 1996)10. 사무엘상하(정태현 역, 1997) 11. 에제키엘(임승필 역, 1997)12. 열왕기상하(정태현 역, 1997) 13. 민수기, 신명기(임승필, 정영한 역, 1998)14. 역대기상하, 에즈라, 느헤미야(정태현, 임승필 역, 1998)15. 여호수아, 판관기(정학근, 임승필 역, 1998)16. 열두 소예언서(이기락 역, 1999).
5. 국제가톨릭성서공회 편찬. 해설판 공동번역 성서. 광주: 일과 놀이, 1995.

영어 성경 (*해설이 붙어 있는 경우)

1. King James Version(=KJV) 1611.
2. American Standard Version (=ASV), 1901.
3. Jewish Publication Society Translation (=JPS), 1917.
4. The Holy Bible. Revised Standard Version (=RSV), 1952.
5. *The Jerusalem Bible (=JB) , 1966 .
6. The New American Standard Bible (=NASB), 1970.
7. The New English Bible with the Apocrypha(=NEB). Oxford University Press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0.
8. New American Bible (=NAB), 1970.
9. Living Bible : parphrased. Wheaton: Tyndale, 1971.
10. Good News Bible with Deuterocanonicals. The Bible in Today's English Version (=TEV). New York: American Bible Society, 1976.
11. The Holy Bible. New International Version (=NIV). New York: International Bible Society, 1978.
12. New King James Version (=NKJV), 1982.
13. Tanakh. The Holy Scripture. New Jewish Publications Society Translation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Hebrew Text(=NJPST). Philadelphia/Jerusalem: The Jewish Publication Society, 1985.
14. *New Jerusalem Bible, 1985.
15. New Revised Standard Version (=NRSV), 1989.
16. The Revised English Bible with the Apocrypha(=REB). Oxford University Press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17. The Holy Bible.Contemporary English Version (=CEV). New York: American Bible Society, 1995.

독일어 성경(*해설이 붙어 있는 경우)

1. Die Heilige Schrift des Alten und Neuen Testaments(=ZB). Z�ich: Verlag der Z�cher Bibel, 1955(1907-1931 개정판).
2. Die Bibel nach der �ersetzung Martin Luthers mit Apokryphen. Bibeltext in der revidierten Fassung von 1984 (=LB). Stuttgart: Deutsche Bibelgesellschaft, 1985.
3. Die Schrift. Verdeutscht von Martin Buber gemeinsam mit Franz Rosenzweig.Band 1/2/3/4.Die F�f B�her der Weisung / B�her der Geschichte /B�her der K�dung /Die Schriftwerke. Heidelberg: Verlag Lambert Schneider GmbH 1981(=101954) / 1985(=81958) /1981(=81958) /1980(=51962) = Darmstadt: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1984/85/85/84.
4. Die Bibel in heutigem Deutsch. Die Gute Nachricht des Alten und Neuen Testaments mit der Sp�schriften des Alten Testaments (Deuterokanonische Schriften/ Apokryphen). Stuttgart: Deutsche Bibelgesellschaft, 21982.
5. *Die Bibel. Die Heilige Schrift des Alten und Neuen Bundes. Deutsche Ausgabe mit den Erl�terungen der Jerusalemer Bibel. Herausgegeben von Diego Arenhoevel/ Alfons Deissler / Anton V�tle. Freiburg/ Basel / Wien: Herder, 1968.
6. *Lutherbibel erkl�t. Stuttgart: Deutsche Bibelgesellschaft, 1974.
7. Einheits�ersetzung der Heiligen Schrift. Stuttgart: Katholische Bibelanstalt, 1980.
8. *Die Neue Jerusalemer Bibel. Einheits�ersetzung mit dem Kommentar der Jerusalemer Bibel. Freiburg/ Basel/ Wien: Herder, 1985.
9.*Stuttgarter Erkl�ungsbibel. Die Heilige Schrift nach der �ersetzung Martin Luthers mit Einf�rungen und Erkl�ungen. Stuttgart: Deutsche Bibelgesellschaft, 21992.

불어 성경(*해설이 붙어 있는 경우)

1. La Sainte Bible ou L'ancien et le Nouveau Testament. Alliance Biblique Universelle, 1880 (이른바 Segond 성경, 1978년에 개정됨).
2. La Bible du Rabbinat Fran�is. Paris, 1899-1906.
3. La Bible du Centenaire. Paris, 1917
4. *La Bible de J�usalem. La Sainte Bible traduite en Fran�is sous la direction de l'Ecole Biblique de J�usalem. Paris: Editions du Cerf, 1961.
5. *La Bible de J�usalem. La Sainte Bible traduite en Fran�is sous la direction de l'Ecole Biblique de J�usalem. Nouvelle �ition. Paris: Editions du Cerf, 1973.
6. *Traduction O�umenique de la Bible. Paris: Cerf/ Les Berger et les Magnes, 1975.

히브리어 및 아람어 성경 

1. Biblia Hebraica. R. Kittel (ed.). Stuttgart: W�tembergische Bibelanstalt, 31937 (=BHK)
2. Biblia Hebraica Stuttgartensia. K.Elliger/W.Rudolph (ed.). Stuttgart: Deutsche Bibelgesellschaft, 1968-1977(=BHS). 소형판 1984.
3. The Hebrew University Bible. Jerusalem: The Magne Press, the Hebrew University(=HUB)- The Book of Isaiah. Moshe H.Goschen-Gottstein (ed.), 1965-1995.- The Book of Jeremiah. C.Rabin/S.Talmon/E.Tov (ed.), 1997.
4. Sperber, Alexander (ed.). The Biblie in Aramaic. 5 vols. Leiden/New York/K�n: E.J.Brill, 1992(=1959-1973).

헬라어 구약 성경 

1. Septuaginata. Rahlfs, A. (ed.). 2 B�de. Stuttgart: W�ttembergische Bibelanstalt, 1935. 단권 소형판, 1979.
2. Septuaginata. Vetus Testamentum Graecum auctoritate Academiae Scientiarum Gottingensis editum. G�tingen: Vandenhoeck & Ruprecht, 1931ff.

라틴어 구약 성경

1. Biblia Sacra iuxta Vulgatam versionem. 2 B�de. Stuttgart: W�ttembergische Bibelanstalt, 1969.

 

단권 소형판,

사전(2): 성구 사전, 구약 신학 용어 사전(위 0.2도 참고)

한글 성구 사전

1. 김성영 편. 완벽 성경성구대전. 전7권. 서울: 아가페 출판사, 1982.
2. 이성호 편. 새 성구대사전. 서울: 성지사, 1985, 41993.
3. 죠오지 V.위그램 저. 김만풍 역. 원어성경어구대사전(구약). 서울: 기독교문화협회, 1983.

구약 성경 히브리어 아람어 헬라어 성구 사전

1. Even-Shoshan, Abraham (ed.). A New Concordance of the Bible Using the Hebrew and Aramaic Text. Jerusalem: 'Kiryat Sefer' Publishing House Ltd., 21982.
2. Lisowsky, Gerhard/ Rost, Leonhard (hg.). Konkordanz zum Hebr�schen Alten Testament. Stuttgart: W�ttembergische Bibelanstalt, 21958.
3. Mandelkern, S. (hg.).Veteris Testamenti Concordantiae Hebraicae atque Chaldaicae. Berlin, 1937 (Graz, 1955; Jerusalem/Tel Aviv, 1971).
4. Hatch, E./Redpath, H.A. Concordance to the Septuaginta and the other Greek Versions of the Old Testament (Including the Apocryphal Books). Oxford: Clarendon Press, 1897; with "Introductory Essay" by Robert A.Kraft/Emanuel Tov and "Hebrew/Aramaic Index to the Septuagint" by Takamitsy Muraoka. Grands Rapids: Baker Books, 21998.

구약 성서 신학 용어 사전

1. Botterweck, G.J./Ringgren, H.(hg.). Theologisches W�terbuch zum Alten Testament(=ThWAT). Stuttgart/Berlin/K�n/Mainz, 1973ff. (아직 미완성)>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Old Testament(=TDOT). Grand Rapids: Eerdmans, 1974ff.
2. Harris, R.Laird/ Archer, Gleason L.Jr./Waltke, Bruce K.(ed.). Theological Wordbook of the Old Testament. 2 vols. Chicago: The Moody Bible Institute, 1980.> 요단출판사 번역위원회 역. 구약원어신학사전. 상,하,색인. 서울: 요단출판사, 1986.
3. Jenni, Ernst/ Westermann, Claus (hg.). Theologisches Handw�terbuch zum Alten Testament. Bd.I/II. M�chen: Chr.Kaiser Verlag/ Z�ich:Theologischer Verlag. 1971/76 (=THAT) > Tr.by Biddle,M.E. Theological Lexicon of the Old Testament. 3 vols. Peabody, Massachusetts: Hendrikson Publisher, 1997.
4. Van Gemeren, Willem A.(e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of Old Testament Theology and Exegesis. 5 vols. Grand Rapids, Michgan: Zondervan Publishing, 1997.

 

(신)구약 성경 입문 (위 0.5와 아래 5 참고)

1. 기독교대한감리회 청년회 전국연합회 편저. 청년과 성서이해. 청년을 위한 성서연구. 서울: 대한기독교감리회 교육국 출판부, 1987.
2. 김이곤, 민영진, 임승필. 오경, 역사서 (하느님과 사람의 말씀 시리즈 1). 광주: 생활성서, 1999(아래 7,8,13 참고).
3. 김정준. 구약 성서의 이해. 서울: 평민사, 1978.
4. 김지찬. 구약개론 (현대인을 위한 신학총서 2).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출판부, 1998.
5. 김혜자. 성서 입문 4.후기 예언서. 왜관: 분도출판사, 1997(아래 11,12 참고).
6. 민영진. 성경 바로 읽기. 민영진 박사의 성경 클리닉.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9.
7. 민영진, 임승필. 시서와 지혜서 (하느님과 사람의 말씀 시리즈 2). 광주: 생활성서사, 1999(위 2, 아래 8,13 참고).
8. 민영진, 임승필. 예언서 2 (하느님과 사람의 말씀 시리즈 4). 광주: 생활성서사, 1999 (위 2,7, 아래 13 참고).
9. 왕대일. 신앙공동체를 위한 구약성서이해. 서울: 성서연구사, 1993.
10. 이종록. 새로운 엑소더스를 향하여 - 구약성경 읽기를 위해 -.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7.
11. 이홍기. 성서 입문 1.성서 일반 및 모세 오경. 왜관: 분도출판사, 1983(위 5, 아래 12 참고)
12. 이홍기. 성서 입문 2.전기 예언서. 왜관: 분도출판사 (위 5,11 참고).
13. 임승필. 예언서 1(하느님과 사람의 말씀 시리즈 3). 광주: 생활성서사, 1999(위 2,7,8 참고).
14. 장일선. 생명 나무와 가시 덤불. 현대인을 위한 구약성서 풀이.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31998.
15. 정연복. 젊은이를 위한 성서교재. 가난한 사람의 눈으로 읽는 성서 2. 구약편, 서울: 삼민사, 1991.
16. 한국기독교장로회청년회 전국연합회 성서연구위원회 편. 해방공동체. 젊은이들을 위한 성서연구자료. 구약1,2편. 서울: 한울사, 1987.
17. 한국기독청년협의회 지음. 재미있는 구약이야기. 서울: 도서출판 녹두, 1993.
18. 한국기독학생총연맹 편. 성서와 실천 1. 서울: 민중사, 1987.
19. 한국신학연구소 성서교재위원회 엮음. 함께 읽는 구약성서. 천안: 한국신학연구소, 1991.
20. 미우라 아야꼬 저. 이은신 역. 평신도를 위한 구약성서 입문. 참 빛과 사랑을 찾아서.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0.
21. Anderson, Bernhard W. Understanding the Old Testament. Englewood Ciffs, N.J.: Prentice-Hall, 41986. > 제석봉/이성배 옮김. 구약성서의 이해. 1,2/3권. 성바오로출판사, 1983/84; 버나드 W. 엔더슨 지음. 강성열/노항규 옮김. 구약성서이해 (상)(하).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4.
22. Benson, C.H. Old Testament Survey: Poetry and Prophecy. Job- Malachi, 1972.> 배제민 역. 교사의 시문서 예언서 공부 (E.T.T.A. 교회교육시리즈 3). 서울: 보이스사, 1980.
23. Charpentier, Etienne. Pour Lire L'Ancien Testament. Paris: Les Editions du Cerf, 1980.> Tr. Bowden, John. How to Read the Old Testament. London: SCM, 1981. > E.샤르팡티에 지음. 안병철 옮김. 구약성서의 길잡이. 서울: 바오로, 1991.
24. Drane, J.W. The Old Testament Story. Lion Publishing, 1983.> 이중수 역. 구약이야기. 서울: 두란노 서원, 1985.
25. Dillard, Raymond B./ Longman, Tremper. An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Zondervan, 1994. > 레이몬드 딜러드, 트렘퍼 롱맨 지음. 박철현 옮김, 최신 구약개론.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7.
26. 어빙 젠센 저. 권택조 역. 젠센 구약성경 개관. 서울: 도서출판 명희, 1982.
27. Journey (Guided Study Programs in the Catholic Faith). London, ontarion, Canada: Divine Word Center, 1978. > 생활성서사 편역. 성서의 길을 따른 여정 [구약편 I/II/III/IV], 광주: 생활성서사, 1987.
28. Kirchschl�er, Walter. Kleiner Grundkurs Bibel. Im Blick: Das Alte Testament (Stuttgarter Taschenb�her[=STB] 8). Stuttgart: Verlag Katholisches Bibelwerk GmbH, 1991.> 발터 키르히 쉴래거 지음. 신교선 옮김. 구약성서 첫걸음. 서울: 성서와 함께, 1997.
29. L�ple, Alfred. Die Bibel - Heute. M�chen: Verlag Martin Lutz GmbH, 1972.> 알프레드 레플레 저. 김윤주 편역. 성경과 오늘 - 돌과 문서가 말한다면 -. 왜관: 분도출판사, 1976.
30. Lasor, Wilia Sandford/ Hubbard, David Allan/ Bush, Frederic William. Old Testament Survey. Grand Rapids: Eermans, 1982.> 라솔 외 지음. 박철현 옮김. 구약개관.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4.
31. Merrill, Eugene H. An Historical Survey of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1966, 21991. > 김인환 옮김. 역사적 구약 개요. 서울: 총신대학 출판부, 1994; 유진 메릴 지음. 김진영 옮김. 구약의 역사적 개요.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5.
32. 이누카이 미치코 지음. 이원두 옮김. 성서 이야기 1-2. 구약편 상-하. 서울: 한길사, 1997.
33. Miles, Jack. God: A Biography. > 잭 마일스 지음. 김문호 옮김. 신의 전기. 전2권. 서울: 지호, 1997.
34. Rhodes, Arnold. The Mighty Acts of God. Richmond, Va.: CLC Press, 1964. > 아놀드 로드스 저. 문희석/황성규 공역. 통독을 위한 성서해설 - 하나님의 위대한 행위 - .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77.
35. Schultz, S.J. Old Testament Survey: Law and History, 1964, 1979.> 배제민 역. 교사의 율법서 역사서 공부 (E.T.T.A. 교회교육시리즈 3). 서울: 보이스사, 1980.
36. Walton, Robert C. (ed.). A Source Book of the Bible for teachers. London: SCM/ Grand Rapids: Zondervan, 1978. > 로버트 C. 왈튼 편집, 민영진/김득중 옮김. 성서연구자료집. 서울: 컨콜디아사, 1987.
37. Walton, Robert C. Chronological and Background Charts of the Old Testament. > 죤 H.월톤 저. 김명호 편역. 차트 구약. 구약연대표 및 배경사.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2.
38. Westermann, Claus. Abri§ der Bibelkunde. Altes Testament. Neues Testament. Stuttgart: Calwer Verlag, 121984. > Tr. & ed. Boyd, Robert H. Handbook to the Old Testament. London: SPCK, 1969(독일어 1962년판 구약부분만 번역한 것). 클라우스 베스터만 저. 김이곤/황성규 공역. 성서입문.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75; 클라우스 베스터만 저. 방석종/박창건 공역. 구약 신약 성서개설. 서울: 종로서적, 1984.
39. Westermann, Claus. Tausend Jahre und ein Tag: Einf�rung in die Bibel. Stuttgart/Berlin: Kreuz Verlag, 1977. > 클라우스 베스터만 지음. 김윤옥, 손규태 공역. 구약성서의 맥 - 천년과 하루.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3.
40. Augustin, Matthias/ Kegler, J�gen. Bibelkunde des Alten Testamenta. Ein Arbeitsbuch. G�ersloh: G�ersoher Verlaghaus Mohn, 1987.
41. Lutz, H.-M./ Timm,H./ Hirsch, E.Chr.(hg.). Altes Testament. Einf�rungen , Texte, Kommentare. Mit einer Einleitung von Gerhard von Rad (Serie Piper 347). M�chen/Z�ich: Piper, 1970, 61987.
42. Preu? Horst Dietrich/ Berger, Klaus. Bibelkunde des Alten und Neuen Testament. Erster Teil: Altes Testament (UTB 887). Heidelberg/Wiesbaden: Quelle & Meyer, 31985.
43. Ramsey, William M. The Westerminster Guide to the Books of the Bible. Louisville, Kentucky: Westerminster John Knox Press, 1994.
44. Riebl, Maria/ Stiglmair, Arnold. Kleine Bibelunde zum Alten Testament. Innsburg/Wien: Tyrolia Verlag, 41980.
45. Schlunk. D. Merkstoff zur Bibelkunde. Altes und Neues Testament. T�ingen: J.C.B.Mohr, 1983.
46. Schmid, H.H. Kleine Bibelkunde. Z�ich: Theologischer Verlag, 1983.
47. Steck, O.H. Arbeitsbl�ter Altes Testament f� Einf�rungskurse. Z�ich: Theologischer Verlag, 1983.
48. Weber, O. Bibelkunde des Alten Testament. Bielefeld: Luther Verlag, 1981.

 

구약학 관련 잡지 및 정기 간행물

1. 구약논단. 서울: 한국구약학회, 1996년부터 수시 간행, 최근호 6호(1999년6월).
2. 그말씀. 서울: 두란노서원, 1992년8월부터 월간.
3. 설교자를 위한 성경연구. 완주: 한국성경연구원, 1994년11월부터 월간.
4. 성경원문연구. 서울: 대한성서공회, 1997년부터 반연간.
5. 성경과 고고학. 서울: 한국성경고고학회, 1994년 4월부터 계간.
6. 성서마당. 서울: 한국성서학연구소, 1992년9월부터 격월간.
7. 성서사랑방. 서울: 한국신학정보연구원, 1997년11월부터 격월간.
8. 예루살렘. 성경과 이스라엘에 관한 연구. 서울: 예루살렘 학회, 1992년부터.
9. 예루살렘 통신.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성지연구원, 1991년 봄부터 계간.
10. 아래 한글 학술잡지 또는 정기간행물에 가끔씩 구약 관련 논문이 실림:- 가톨릭 사상. 대구: 대구가톨릭대학, 1987년부터.- 계명신학. 대구: 계명대학교 신학연구소, 1989년부터.- 교회와 신학. 서울: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1965년부터 연간, 1997년부터는 계간- 기독교사상. 서울: 대학기독교서회, 1957년8월부터 월간.- 말씀과 교회. 서울: 기장신학연구소, 1993년부터.- 목회와 신학. 서울: 두란노서원, 1989년7월부터 월간.- 미스바. 부산: 고신대학교, 1983년부터.- 복된 말씀. 전주:복된 말씀사, 1954년부터 월간.- 복음과 신학. 나사렛 신학대학, 1989년부터- 복음과 실천. 침례신학대학 교수논문집. 대전: 침례교신학대학 출판부, 1978년부터 연간.- 성서한국. 서울: 대한성서공회, 1955년1월부터 계간.- 시대와 민중신학. 서울: 시대와 민중사, 5호부터는 다산글방, 1994년부터 수시 간행. 최근호 5호(1998년12월).- 신학과 목회. 대구: 영남신학대학교, 1989년부터 연간.- 신학과 문화. 대전: 장로회대전신학교, 1992년부터 연간.- 신학과 사상. 서울: 가톨릭대학교 출판부, 1989년부터 반년간.- 신학과 사회. 전주: 전주한일장신대학교, 1986년부터 연간.- 신학과 선교. 부천: 서울신학대학교 출판부, 1972년부터 연간.- 신학과 세계. 서울: 감리교신학대학교, 1975년부터 연간.- 신학과 신앙. 루터신학교 논문집. 서울: 컨콜디아사, 1986년부터 연간.- 신학과 현장. 대전: 목원대학교 목원신학연구소, 1991년부터- 신학논단.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53년부터 연간.- 신학사상. 병천/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73년부터 계간.- 신학연구. 서울: 한신대학교 신학회, 1960년부터 연간.- 신학이해. 광주: 호남신학대학교 출판국, 1983년부터 연간.- 신학전망. 광주: 광주가톨릭대학교 출판부, 1968년부터 계간.- 신학정론. 수원: 합동신학교 신학정론사, 1983년부터 반년간.- 신학지남. 서울: 신학지남사, 1918년부터 계간.- 월간고신. 부산: 고신언론사, 1981년 7월부터 월간.- 월간 목회. 서울: 월간목회사, 1976년 9월부터 월간.- 이성과 신앙. 수원: 수원가톨릭대학교 출판부, 1992년부터 연간.- 장신논단.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1987년부터 연간.- 종교신학연구. 서울: 서강대학교 종교신학연구소; 분도출판사, 1988년부터 연간.- 침신논집. 한국침례교신학대학 교수논문집. 충남: 침례신학대학 출판부, 1978년부터 연간.- 한국여성신학. 서울: 한국여성신학자협의회, 1983년부터 계간.- 햇순. 서울: 공동체성서연구원, 1996년3월부터 월간.- 현대와 신학. 서울: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1964년부터 연간- Asia Journal of Theology. Bangalore, India: Wordmakers Publishing Pvt. Ltd., 1987ff.- Ewha Journal of Feminist Theology. Seoul: Ewha Institute for Women's Theological Studies, 2(1997)- Korea Journal of Theology. 서울: 기독교서회(The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1(1995).- Yonsei Journal of Theology. Seoul: The United Graduate School of Theology Yon Sei Unversity, 1ff.(1996ff.).
11. Biblica. Rome, 1920ff.
12. Biblical Archaeologist(BA) . New Haven, Conn.: The American School of Oriental Research, 1938ff. 계간.
13. Biblical Archaeology Review(=BAR). Washington D.C.
14. Biblical Interpretation. Leiden: E.J.Brill, 1993ff. 계간.
15. Biblische Zeitschrift(=BZ). Paderborn u.a. 1902-38, 1957ff. 반년간.
16. Bulletin of the Ametican Schools of Oriental Research(=BASOR).Jerusalem a.o., 1919ff. 계간.
17. Catholic Biblical Qauterly(=CBQ), Washington D.C.: The Catholic biblical association of America, 1939ff. 계간.
18. Eretz Israel(=ErIs). Jerusalem, 1951ff.
19. Interpretation. Richmond, Virg.: Union Theological Seminary, 1947ff. 계간.
20.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Old Testament(=JSOT). Sheffield, 1975ff. 3개월간.
21. Journal of Biblical Literature and Exegesis(=JBL).Atlanta: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1889ff. 계간.
22. Journal of Jewish Studies(=JJS). London, 1948ff.
23. Journal of Near Eastern Studies(=JNE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42ff.계간.
24. Journal of Semitic Studies(=JSSt).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56ff. 반년간.
25. Revue Biblique(=RB). Paris, 1892ff.
27. Semeia. Experimental Journal for Biblical Criticism. Atlanta: Scholars,
28. Vetus Testamentum(=VT). Leiden: E.J.Brill, 1951ff. 계간.
29. Zeitschrift f� Althebraistik, Berlin: Kohlhammer,
30. Zeitschrift der Deutschen Morgenl�dischen Gesellschaft(=ZDMG). Wiesbaden u.a., 1847ff.
31. Zeitschrift des Deutschen Pal�tinavereins(=ZDPV). Wiesbaden u.a., 1878ff.
32. Zeitschrift f� die Alttestamentliche Wissenschaft(=ZAW). Berlin/New York, 1881ff.
33. 그밖의 외국 신학 학술 잡지 및 정기 간행물, 이를테면- Harvard Theological Review(=HThR). Cambridge, Mass., 1908ff.- Hebrew Unon College Annual(=HUCA). Cincinnati, Ohio, 1924ff.- Revue de th�logie et d philosophie(=RThPh). Lausanne, 1868ff.- Revue des sciences philosophiques et th�logiques(=RSPhTh). Paris, 1907ff.- Scottish Journal of Theology. Edinburgh, 1948ff.- Theologische Zeitschrift(=ThZ). Basel, 1945ff.- Zeitschrift f� Theologie und Kirche(=ZThK). T�ingen: J.C.B.Mohr(Paul Siebeck), 1891ff.

 

출처 : 오소서 모든 것이 준비되었나이다(눅14:17)
글쓴이 : 조박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