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드와 에릭슨의 발달 단계 비교 |
||||||||||
1.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이론 중 발달단계에 대하여 | ||||||||||
프로이드는 인간의 성적인 욕구인 리비도(성감대)가 신체의 어느 특정 부위에 집중되느냐에 | ||||||||||
따라서 구강기, 항문기, 남근기, 잠복기,생식기 5단계로 심리성적발달단계를 구분하였다. | ||||||||||
이드가 지배적이고 5세 이전에 성격이 발달한다. | ||||||||||
① 구강기(출생~18개월) | ||||||||||
리비도가 입에 집중되어 있음. 빨기,깨물기, 먹기등을 통해 쾌락을 얻음. | ||||||||||
6개월전까지는 대상부재의 상태, 그 이후에는 어머니에게 애정과 동시에 적대적인 태도를 갖는 | ||||||||||
양가감정을 느끼게 된다. 이 시기에 고착되면 퇴행하여 음식에 집착, 물어뜯기, 과음 과도한 | ||||||||||
흡연, 신랄한 비평, 빈정거림등의 구강기 성격이 나타난다. | ||||||||||
② 항문기(18개월~3세) | ||||||||||
리비도가 항문에 집중된다. 배설을 미루는 보유와 배설의 방출을 통해 쾌감을 얻는다. | ||||||||||
괄약근 조절을 하는 시기이므로 이때에 배변훈련을 한다. 이 시기 너무 엄격하면 지나치게 인색하고 | ||||||||||
완고한 성격으로 고착된다. 항문기의 폭발적 성격은 낭비벽과 자신을 지저분하게 함으로써 반항. | ||||||||||
항문기의 강박적 성격은 결벽증 증상이나 정돈하고 싶은 욕구에 집착하여 고착되면 반동형성 즉 | ||||||||||
부모와 권위적인 인물에게 분노를 느끼지만 분노대신에 철저한 복종을 한다. | ||||||||||
③ 남근기(3~6세) | ||||||||||
리비도가 성기에 집중된다. 자기중심적인 성향이 강하며 남아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 ||||||||||
거세불안을 느끼며 여아는 엘렉트라 콤플렉스와 남근선망을 경험한다. 이 시기에 부모에 대한 | ||||||||||
동일시 과정에서 초자아가 형성되고 발달하게 된다. | ||||||||||
이 시기에 고착되면 남성은 경솔하고 과장되고 야심적이고 항상 남자다움을 나타내려고 노력하고 | ||||||||||
여성은 난잡하고 유혹적이며 경박한 기질이 나타나고 강하게 자기주장을 하게 된다. | ||||||||||
④잠복기(6~13세) | ||||||||||
아동의 성적.공격적 환상들이 무의식 속에 잠복되어 있으며 지적탐색이 활발해지고 친구와의 | ||||||||||
우정, 신체의 발육과성장 등 지적인 활동에 에너지를 집중시킨다. 이 시기에 자아와 초자아가 강해지고 | ||||||||||
고착되면 성인이 되어서도 이성에 대한 정상적인 관심을 발달 시키지 못하고 동성간의 우정에 집착. | ||||||||||
⑤생식기(13세이후~) | ||||||||||
성적에너지가 직접적으로 표현된다. 이성에 대한 관심. 부모로부터 자유로워지는 독립의 시기 | ||||||||||
이 시기를 순조롭게 넘기면 사회적.성적 인간관계가 원만하고 책임감이 잘 발달되어 이성과의 | ||||||||||
애정도 만족스럽다. | ||||||||||
2.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이론의 8단계 | ||||||||||
인간의 발달이 심리사회적 측면에서 이루어 진다고 보고 발달의 단계를 나누었다. | ||||||||||
자아가 지배적이고, 전 생애를 걸쳐 성격 형성이 이루어지며, 자아 통제력이 중요. | ||||||||||
① 신뢰 대 불신 - 희망(초기 유아기) | ||||||||||
출생 ~18개월까지 프로이드의 구강기에 해당. | ||||||||||
어머니와의 애착관계로 인하여 신뢰감이 형성되며 일관성 있고 스스로 확신 있는 양육태도가 필요 | ||||||||||
아이의 욕구가 충족되지 않으면 불신감으로 사회적 관계의 위축이 나타나 '낮은 자존감','우울증' | ||||||||||
이 나타나고 심리사회적 위기를 잘 극복하게 되면 자아는 '희망'이라는 특성을 얻게 된다. | ||||||||||
②자율성 대 수치와 회의 - 의지(아동기) | ||||||||||
18개월~3세 프로이드이 항문기에 해당. | ||||||||||
유아는 여전히 다른 사람들에게 의존하고 있지만 자유로운 선택의 자율성을 경험하기 시작한다. | ||||||||||
이 단계의 중요한 과업은 자기 통제이며, 외부의 통제를 강하게 거부하고 통제정도에 따라 수치 | ||||||||||
또는 회의가 발달하게 된다. 이 위기를 잘 극복하면 '의지'라는 긍정적 자아특질을 얻게된다. | ||||||||||
③ 주도성 대 죄의식 - 목적(유희기) | ||||||||||
3~6세 프로이드의 남근기에 해당. | ||||||||||
대범하고 경쟁적이며 호기심 많은 행동을 보이며, 주도성을 보이게 된다. 이 시기 아동들은 성적 | ||||||||||
호기심을 보이게 되는데 신체와 성에 대한 호기심이 부모로부터 강한 제재를 받을 경우 죄책감을 | ||||||||||
갖게 되며 목적의식이나 용기가 부족하게 된다. 주도성을 너무 위축시키지 말고 적절한 통제만을 | ||||||||||
가해야 한다.이 시기의 위기를 잘 극복하면 자아는 '목적'이라는 자아특질을 얻게 되며, 그렇지 | ||||||||||
못하면 좌절되어 억제의 감정을 가지게 된다. | ||||||||||
④ 근면성 대 열등감 - 능력(학령기) | ||||||||||
6~12세 프로이드의 잠복기에 해당. | ||||||||||
인지적.사회적 기술이 숙달되는 자아성장의 가장 결정적인 시기로, 지적인 기술을 습득하는 과정에 | ||||||||||
몰입하면서 근면성을 발달시킨다. 여기서 근면성은 혼자 열심히 하는 것도 포함 또래들과 협동하여 | ||||||||||
규칙에 순응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시기의 위기는 열등감인데 학습추구의 동기를 잃게 되는 것이다. | ||||||||||
이 시기에 중요한 것이 교사의 태도이며, 자신에 대한 가치결정은 이후 자아정체감에 결정적인 | ||||||||||
영향을 미치게 된다. 위기를 잘 극복하면 자아는 '능력'이라는 자아특질을 얻게 되고 적절히 극복하지 | ||||||||||
못하면 무력함을 느끼게 된다. | ||||||||||
⑤자아정체감 대 역할혼란 - 성실(청소년기) | ||||||||||
12~20세까지 프로이드의 생식기에 해당. | ||||||||||
청년기의 가장 중요한 발달과업이 자아정체감 확립이다. 즉 내가 누구인가를 아는것이며 이는 타인이 | ||||||||||
나를 보는 방식과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이 시기에는 역할혼란이라는 위기를 겪게 되는데 이것은 | ||||||||||
정체감을 형성하지 못해 과잉 동일시 하는 것이다. 정체감 혼란에 대한 방어로서 배타적이고 무자비하며 | ||||||||||
매우 당파적이고 편협한 태도를 나타낸다. 청소년기에 심리사회적 유예기간을 두게 되는데 개인의 | ||||||||||
정체감을 효과적으로 확립하는 데 필요하다. 이 때의 위기를 잘 극복하면 자아는 '성실'이라는 특질을 | ||||||||||
얻게 되지만 그렇지 못하면 역할과 가치를 거부하게 된다. | ||||||||||
⑥ 친밀감 대 고립 - 사랑(성인 초기) | ||||||||||
20~24세까지이다. 타인과의 관계에서 친밀감을 이룩하는 일이 중요한 발달 과업이며, 이는 성적 | ||||||||||
사랑을 통해 확고해진다고 보았다. 이러한 친밀감이 형성되지 못할 때 고립되어 대인관계나 | ||||||||||
이성관계를 피해가고 배척하게 된다. | ||||||||||
⑦ 생산성 대 침체 - 배려(성인기) | ||||||||||
24~65세까지이다. 생산성이란 성숙한 성인이 다음 세대를 구축하고 이끄는데 관심을 | ||||||||||
기울이는 것이다. 생산성은 사회를 존속시키는 원동력이 되며 생산성이 결핍되면 성격이 | ||||||||||
침체되어 자신에게만 몰두하고 사회에 의미있는 기여를 못했다는 회의로 중년의 위기를 | ||||||||||
겪게 되고 타인에게 충분한 관심을 표현하지 못하는 거절을 경험하게 된다. 반면 이 위기를 | ||||||||||
잘 극복하면 자아는 타인을 돌보는 능력 즉 배려라는 자아특질을 얻게 된다. | ||||||||||
⑧자아통합 대 절망 - 지혜(노년기) | ||||||||||
65세이후를 말한다. 이 단계의 발달과업은 자아통합감과 절망감의 위기를 극복하는 것이다. | ||||||||||
노인들은 자신의 죽음에 직면해서 자신의 삶을 의미있고 만족스럽게 인식하며 그것을 받아 | ||||||||||
들이게되면 삶에 대한 적극적 관심과 지혜의 특질을 얻게 되지만 자신의 삶이 무의미하고 | ||||||||||
후회가 되면 절망감에 빠지고 자신에 대한 경멸을 경험하게 된다. |
출처 :킴스심리연구소 / 한국상담교육원 원문보기▶ 글쓴이 : 김상대
출처 : 알프스의 눈동자. 데보라의 세계여행
글쓴이 : 알프스의 눈동자 원글보기
메모 :
'심리학! 윤리학! 상담학!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기독교 윤리 (0) | 2017.08.15 |
---|---|
[스크랩] “‘선데이’ 스쿨뿐 아니라 ‘에브리데이’ 스쿨 세워야” (0) | 2016.09.08 |
[스크랩]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 (0) | 2016.04.20 |
[스크랩] 에릭슨의 성격발달단계 (0) | 2015.08.22 |
[스크랩] 제2강 신념의 힘, 가치패러다임, 믿음 (0) | 2015.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