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용어집2
◇membranophones [멤브라노폰즈]
드럼 족의 악기를 일컬음.
◇mensural notation [멘슈랄 노테이션]
1250년 프랑코 드 콜 로뉴 (Franco de Cologne)가 체계화시켜서 1960년까지 사 용되었던 음악 기보법.
◇menuett, minuet [미뉴엣]
프랑스어 형용사 menu(작은)에 서 온 것으로 작은 스텝의 춤이라는 뜻. 17세기 중엽. 루이 14세에 의해서 궁정에 도입됨.
◇messa di voce [멧사 디 보체]
18세기 벨 칸토(bel canto) 의 특별한 성악기법으로 음을 길게 끌면서 점점 커졌다가 점 점 작아짐.
◇mesto [메스토]
슬픈. 우울한.
◇metamophose [메타모포제]
주제구나 악구가 자유롭게 변화 하면서 전개되는 것.
◇meter [미터]
박자표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고정된 박(beast s)의 유형.
◇method [메소드]
연주 기술. 연주법을 서술한 저서.
◇metronome [메트로놈]
곡의 정확한 속도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계.
◇mezza, mezzo [메자, 메조]
반(half). mezza voce [메자 보 체] 음량을 억제하여 여린 음으로 노래하는 것을 말함. mezz o forte [메조 포르테] 중간 세기로. mezzo piano [메조 피 아노] 중간 여리기로. mezzo soprano [메조 소프라노] 낮은 소프라노.
◇microtone [마이크로 톤]
미분음. 반음보다 작은 음정. 온음 을 몇 분할하느냐에 따라서 3분음, 4분음, 6분음 등으로 불 린다.
◇military music [밀리터리 뮤직]
군악, 식전, 행진, 또는 사 기를 고무하기 위한 군대용 실용 음악.
◇minim [미님]
2분 음표의 영국식 이름.
◇minima [미니아]
정량기보법의 음표 또는 쉼표. 14세기 아 르스노바 이후 사용됨.
◇Minnesinger [미네징거]
12세기부터 14세기에 걸쳐 활약한 독일의 음유시인. 사랑과 종교를 포함한 다채로운 제재를 다 룬 독일 시와 가곡(Minnelied)을 많이 만듦.
◇minor [마이너]
단조.
◇minstrel [민스트럴]
중세의 봉건 제후의 군정에 봉직하던 직업 음악가.
◇miserere [미제레레]
로마 카톨릭 교회에서 성주간의 찬과 등에 사용되는 시편 51편 ("Miserere mei, Deus, secundu m magnam misericordiam tuam"- 주여, 당신의 선함을 인하여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
◇missa, mass [미사, 매스]
로마 카톨릭 교회의 최고의식. 천 주를 찬미하고 속죄를 원하며 은총을 기도하는데, 성만찬을 기념함. 명칭은 "Ite, missa est(congregatio) - 가십시오. 모임이 끝났습니다."에서 유래. 음악용어로서 미사는 키리에 로 시작하여 이뉴스 데이로 끝나는 미사 통상문의 일관된 작 곡에 대하여 사용되는 것이 보통.
◇missa cantata [미사칸타타]
정식 전례 성가를 곁들인 미사.
◇missa solemnis [미사 솔렘니스]
장엄 미사. 조제 및 부조제 를 거느리고 행해지는 카톨릭의 성의 미사.
◇mode [모드]
전혀 다른 두 가지 개념에 대해 쓰이지만, 두 개념 모두 중세에서 유래. (1) 선법. 음계 형성의 한 형태. (2) 리듬의 한 형태. 3박자의 단순한 리듬형이 반복되는 13 세기 리듬체계.
◇moderato [모데라토]
보통빠르기.
◇modinha [모디냐]
포르투갈에서 생겨나서 지금은 주로 브라 질에서 불려지는 노래.
◇modulation [모듈레이션]
곡의 중간에 조가 변화하는 것을 말함.
◇moll [몰]
단조.
◇molto [몰토]
매우. 대단히.
◇monody [모노디]
그리스어의 monos(단일의)와 ode(노래)의 합성어. (1) 단성음악(monophoy). (2) 1600년경 피렌체의 카메라타 회원들이 성악적 폴리포니에 반대하여 제창한 독창 형태.
◇monothematic [모노씨메틱]
단일 주제를 바탕으로 한 작품 에 대한 용어.
◇mordent [모르덴트]
악보에 적혀진 음표에서 2도 아래 음으 로 구사하는 장식기법. 악보에 적힌 음이 c라면 c-b-c-n-c 로 연주됨.
◇morendo [모렌도]
사라지듯이.
◇mosso [못소]
움직이다.
◇motet [모테트]
폴리포니에 의한 종교곡 (단 세속적 의식을 취한 축전곡 등을 포함하기도 함)의 일종.
◇motif, motive [모티프, 모티브]
동기, 곡 전체 혹은 부분을 통일시키는 요소로 나타나는 짧은 음절. 흔히 주제 안에 포 함되어 있음.
◇moto [모토]
운동.
◇mouthpiece [마우스피스]
연주자의 입술을 대는 관악기 부 분.
◇movement [무브먼트]
악장. 소나타, 교향곡 등을 구성하는 비교적 독립된 부분.
◇multi- [멀티-]
여러 가지.
◇multimeric [멀티메트릭]
악곡 중에 박자가 빈번하게 바뀌는 것.
◇multiphony [멀티포니]
두 개 이상의 독립된 성부에 의해 구성되는 악곡양식.
◇multiple tonality [멀티플 토널리티]
다조성.
◇musette [뮈제트]
(1) 17, 18세기의 프랑스 백파이프. (2) 목 가적 춤곡 풍의 악곡.
◇musica di scena [무지카 드 세냐]
(1) theater music (극 장음악). (2) incidental music (부수음악).
◇musica ficta [무지카 픽타]
10-16세기의 음악에 있어서 반 음계적 변화음.
◇musical [뮤지컬]
19세기 후반 오페렛타 및 그 계열의 음악 극 형식을 답습하면서 20세기 초기 이래로 미국인의 기호에 맞추어 발달한 대중 음악극.
◇musica sacra [무지카 사크레]
(1) church music(교회 음악) (2) religious music (종교음악).
◇music appreciation [뮤직 어프리시에이션]
음악 감상. 음악 을 듣는 것은 일종의 가치판단이므로 음악적 훈련을 거쳐서 음악을 듣는 지적능력을 함양하는 것.
◇music criticism [뮤직 크리티시즘]
현대의 생활속에 행해지 는 음악작품이나 연주에 대한 가치비판을 하는 것.
◇music festival [뮤직 페스티벌]
음악제. 어떤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어떤 일정한 기간에 개최되는 음악의 제전적 행사. 1724년 영국의 그로스터 등 세곳에서 열린 '합창제'에서 비 롯.
◇music hall [뮤직 홀]
19세기말 20세기초 영국에서 음악적 오락, 특히 대중적 노래, 춤, 촌극과 음식도 함께 즐길 수 있 는 극장. 뮤직 홀은 당시 대중음악의 산실이었고, 미국에서도 번창했음. 19세기말 프랑스에서는 카페 콩세르(caf s-concerts)와 카지노 드 파리(Casino de Paris)가 유명.
◇musicology [뮤직컬로지]
음악학.
◇music therapy [뮤직 세라피]
음악요법.
◇musique concr te [뮈지크 콩크레트]
구체음악. 여러소리들 (소음, 말소리, 타악기소리등)을 녹음하고, 이를 전자음향기로 가공, 구성하여 녹음 테이프에 고정시킨 음악. 1948년 피에 르 쉐페르(Pierre Schaeffer)에 의해 시작.
◇musique d'avant-garde [뮈지크 아방 가르드]
전위음악. 전 통을 부정하고 새로운 사상이나 기법에 바탕을 둔 음악.
◇mutation [뮤테이션]
(1) 변성. (2) 바이올린의 쉬프트 (shift).
◇mute [뮤트]
약음기.
◇mystic chord [미스틱 코드]
스크리아빈(Scriabin)에 의해 고안된 4도 간격의 다섯음으로 이루어진 화음.
◇nachschlag [나흐슐라크]
뒤꾸밈음.
◇nachtanz [나흐탄츠]
16세기 기약음악으로 3박자의 빠른 춤 다음에 2박자의 느린 춤을 위한 곡.
◇naked fifth [네이키드 피프스]
3가 없는 3화음. (open fifth)이므로 공하한 느낌을 춤.
◇nanna [난나]
자장가.
◇narrante [나란테]
낭독 풍으로.
◇narrator [나레이터]
오라토리오, 수난곡, 칸타타 등에서 기 본 줄거리를 말하는 사람. 주로 레치타티보로 함.
◇national anthem [내셔널 앤섬]
국가.
◇nationalism [내셔널리즘]
국민주의. 19세기 후반기에 민족 고유의 음악 어법 또는 제재를 사용함으로 작품 속에 민족적 감각의 양식을 창조하는 운동.
◇natural [내추럴]
제자리표.
◇negro spirituals [니그로 스피리튜얼스]
흑인 영가. 가사는 구약성서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괴로운 현실에 견디면서 사 후의 구원, 천국을 소망하는 내용.
◇neoclassicism [네오 클래시시즘]
17, 18세기의 음악양식의 사용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 20세기 운동. 프로코피에프의 Classical Symphony(1918), 스트라빈스키의 Pulcinella등이 이에 속한다.
◇neuma [네우마]
그레고리오 성가, 동방 여러 교회성가의 기 보법에 사용되는 기호.
◇New Orleans [뉴올리안즈]
재즈가 발생한 미국의 도시. 1910년경부터 1915년경에 형성.
◇ninth chord [나인스 코드]
9화음.
◇nocturn [녹턴]
피아노를 위한 낭만적 성격소품. 분산화음으 로 된 반주에 어느 정도 우울하고 표정 적인 선율을 주로 사 용.
◇noel [노엘]
프랑스의 성탄노래. 17세기에는 대중적 성탄절 노래 선율을 바탕으로 한 단순한 변주곡을 일컬음.
◇noh [노]
서너 명의 연주자들, 합창단, 독창자 그룹이 연주하 는 일본의 극장양식.
◇nonet [노넷]
9중주.
◇notation [노테이션]
기보법. 음악을 기록해 두기 위해 쓰인 방법.
◇note [노트]
음표.
◇novellette [노벨레테]
슈만의 피아노 소품 op.21의 제목. 원 래 단편소설이라는 뜻.
◇nuance [뉘앙스]
셈여림. 빠르기. 악구(절) 등의 미묘한 차 이.
◇number opera [넘버 오페라]
아리아, 2중창, 앙상블, 발레와 같은 악곡들에 단일 번호가 적혀진 오페라로 19세기초까지 성행한 양식.
◇nuovo [누오보]
새로운. 다시 반복해서.
◇obbligato [오블리가토]
주로 생략할 수 없는 부분이나 악기 를 일컬음. 아드 리비툼(ad libitum)의 반대 개념.
◇oboe family [오보에 훼밀리]
더블 리드(double reed)를 가 진 관악기 그룹.
◇ocarina [오카리나]
리코더와 같은 발음 원리를 가진 악기로 흙을 구워 만들었음.
◇octave [옥타브]
8도. 전음계에서의 8번째 음.
◇octette [옥테트]
8중주.
◇ode [오데]
송가. 자유로운 운율과 시형을 가진 고대 그리스, 로마, 또는 근대의 시로 신에게 바쳐짐. 잘 알려진 예는 쉴러 의 'Obey to Joy'(베토벤의 9번 교향곡에 쓰임).
◇off-beat [오프 비트]
재즈의 전형적인 리듬. 일반적으로 4 박자에서 제2박과 제4박에 악센트를 붙임.
◇offertory [오퍼토리]
봉납창. 카톨릭 전례에서 헌상물(빵과 포도주)이 제단에 바쳐질 때 원래는 안티폰이 있는 시편이었 으나 오늘날에는 안티폰만이 남아 있다.
◇ondes Martenot [옹드 마르트노]
오실레이터(oscillator)에 의해서 음이 3개의 스피커에서 나오며 이것들의 자유로운 결 합으로 여러 가지 음색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모리스 마르트 노(Maurice Martenot)에 의해 발명되어 1928년 처음으로 공개됨.
◇op. [오푸스]
작품을 의미하는 라틴어 'opus'의 약자로 한 작 곡가의 전 작품을 연대순으로 표시하는데, 엄밀히 말하면 작 곡 연대순이라기보다는 출판 연대순으로 붙여진 경우도 많 다.
◇opera [오페라]
교향악단의 서주와 반주가 있는 노래(아리아, 레치타티브, 합창)로 이루어진 음악 요소를 그 본질로 하는 극. 음악과 극이 결합된 형태는 고대 그리스에서도 찾을 수 있으나 오페라라고 불려지는 음악양식은 이탈리아 플로랜스 지방의 카메라타(Camerat)라는 모임에서 시작됨. 최초의 오 페라는 페리와 캇치니가 공동으로 제작한 '다프네'(1997)이고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오페라는 캇치니의 '에우리디체 (Euridice)'임. 베네치아의 몬테베르디, 18세기 나폴리의 A. 스카를라티, 프랑스의 륄리와 라모, 오페라 개혁 정신을 실현 한 글룩과 이태리 오페라의 테두리 속에 독일 음악 정신을 불어놓은 모차르트, 19세기의 롯시니, 도니제티, 벨리니, 종 래의 번호 오페라를 배격하고 무한선율을 사용한 바그너 등 이 중요 작곡가.
◇opera buffa [오페라 부파]
18세기에 성행했던 이탈리아의 희극적 오페라.
◇opera seria [오페라 세리아]
신화나 고대의 영웅을 제재로 하는 18세기 이태리의 3막 오페라.
◇operetta [오페레타]
18세기 짧은 오페라로 19세기 후반까지 가볍고 감상적인 성격의 단순하고 대중적인 극장 양식. 대화, 음악, 춤 등으로 구성.
◇oratorio [오라토리오]
독창, 합창과 관현악을 사용하고 음악 은 극적이지만 연기, 배경, 의상을 사용하지 않고 교회나 음 악회장에서 연주되는 종교적이고 명상적인 성격의 대규모 악 곡.
◇Orchestra [오케스트라]
관현악. 현대 교향악단은 약 100명 정도로 이루어지며, 4부분(현, 목과, 금관, 타악)으로 나눌 수 있다. 현: 바이올린I(18); 바이올린II(16); 비올라(12); 첼로 (10); 더블베이스(8); 하프(2), 목관: 플루웃(3); 피콜로(1); 오보에(3); 잉글리쉬 호른(1); 클라리넷(3); 베이스 클라리넷 (1); 바순(3); 더블 바순(1), 금과: 혼(6); 트럼펫(4); 트럼본 (4); 튜바(1), 타악: 케틀드럼(4); 글로켄쉬필, 테너드럼, 베이 스 드럼, 차임, 실로폰, 첼레스타, 심벌즈 등. 피아노, 오르간, 색소폰, 만돌린 등 특별한 악기들이 추가되기도 함.
◇orchestra da camera [오케스트라 다 카메라]
실내 교향악 단. 20명 내외.
◇orchestra score [오케스트럴 스코어]
관현악 총보.
◇orchestration [오케스트레이션]
악곡을 관현악화하는 방법 및 그에 관한 여러 가지 문제를 연구하는 음악 이론.
◇ordre [오르드르]
쿠프랭이 그의 클라브생곡집(Pices de Clavecin)에 붙인 이름으로 같은 조성의 곡들을 모은 것.
◇organ [오르간]
바람통 위에 세워진 일련의 파이프로 구성된 건반악기로 연주자의 손과 발로 작동됨.
◇organ choral [오르간 코랄]
코랄 선율을 바탕으로 작곡된 다성부 오르간곡의 총칭.
◇organum [오르가눔]
(1) 오르간에 대한 라틴어. (2) 9세기부터 13세기에 걸쳐 작곡된 다성부 음악의 초기 양식.
◇ornament [오너먼트]
꾸밈음.
◇osterspiel [오스터슈필]
부활극.
◇ostinato [오스티나토]
일정한 음형을 악곡 전체, 혹은 특정 부분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되풀이하는 것.
◇overture [오버튜어]
(1)오페라, 오라토리오, 발레 등 규모가 큰 극장 작품의 첫머리에 연주되며 도입 역할을 하는 관현악 곡. (2) 19세기의 독립된 관현악곡으로 연주회용 서곡.
◇oxyrhynchos Hymn [옥시린코스 힘]
가장 오래된 (300년 경) 크리스트교 찬송가. 이집트의 옥시린코스에서 발견됨. 그리스어 가사, 그리스 문자보로 파피루스에 적혀있음.
◇pandora, bandora [판도라, 반도라]
16~17세기에 사용된 베 이스 크기의 악기로 현을 퉁겨서 소리냄.
◇pandoura, pandura [판두라]
고대 그리스의 긴 자루가 달린 류드.
◇pandura, bandurra [판두라, 반두리아]
기타족에 속하는 스 페인 악기로 특히 남 스페인에서 널리 쓰임. 현재 6개의 겹 줄에 의해 4도 간격으로 조율된다.
◇pantomine [판토마임]
무언극. 보통 음악 반주가 딸림.
◇paraphrase [패러프레이즈]
(1) 잘 알려진 선율을 자유롭게 편곡하는 것. (2) 14-16세기의 음악에서는 그레고리오 성가 의 선율을 자유롭게 세밀화 하는 것.
◇parody [페로디]
(1) 이미 만들어진 곡에서 선율이나 가사를 차용하여 작곡하는 수법. (2) 1600년 이전, 가끔은 17세기에 도 타인이나 자기 곡의 고정선율이나 구성을 바탕으로 다시 작곡하는 것을 일컬음. (3) 오늘날에는 원래 가사를 우습게 바꾸거나, 곡을 우습게 변형시키는 것과 같은 풍자적 모방을 뜻함.
◇partita [파르티타]
17-18세기 용어로 모음곡과 일련의 변주 곡이라는 두 가지 의미.
◇part song [파트 송]
주로 19세기의 성악작품에 적용되는 말 로 제일 윗성부에 선율을 둔 호모포니 양식.
◇passacaglia [팟사칼리아]
바로크 시대 음악의 한 형식으로 3박자의 느린 변주곡.
◇passage [패시지]
경과구. 독립된 악상을 이루기보다는 주로 화려하고 기교적인 악구.
◇passion [패션]
수난곡. 4복음서 가운데 하나로 그리스도 수 난의 내용을 작곡한 것.
◇pastorale [파스토랄]
(1) 숌(shawm)과 피리(pipes)를 사용 하는 양치기의 음악을 모방한 기악 또는 성악 작품. (2) 목가 적이고 한가로운 구성의 16세기 극.
◇pavane [파바느]
16세기 이태리 provenance의 궁정 댄스. 17세기 초기 파두아나(paduana) 라는 이름으로 독일 초기 모음곡 중에 삽입. 대부분 4박자이고 간혹 3박자 곡도 있음.
◇pedal point [페달 포인트]
다른 성부의 화음이 변해도 베이 스 성부에서 특정 음을 길게 끌어 주어서 자연스런 불협화음 을 나타내기도 함.
◇pentatonic [펜타토닉]
5음 음계.
◇percussion instrument [퍼커션 인스트루먼트]
타악기.
◇performance practice [퍼포먼스 프렉티스]
연주 관습. 중세 로부터 바흐에 이르기까지 초기음악이 어떻게 연주되었는가 를 연구하는 것.
◇philharmonic [필하모닉]
음악애호. '음악을 좋아하다'는 뜻 에서 온 말.
◇phrase [프레이즈]
악절. 선율선의 자연스런 구분을 말함. 1600-1900의 음악은 종종 4마디 단위의 규칙적인 악절을 갖 음.
◇piano [피아노]
18세기 말 이래로 유럽과 미국에서 주가 된 건반악기. 건반에 의해 해머로 현을 쳐서 소리를 냄. 1709년 이태리의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Bartolommeo Cristofore)가 만든 'gravicembalo col piano e forte'를 피 아노의 발명으로 봄.
◇piano concert [피아노 콘체르토]
피아노 협주곡.
◇piano duet [피아노 듀엣]
피아노 2중주. 한 대 또는 두 대 의 피아노로 두 사람이 연주함.
◇piano playing [피아노 플레잉]
피아노 주법. 이론적이고 실 천적인 연구에 바탕을 둔 연주 교육의 진보는 지난 100년 동 안에 이루어 졌음.
◇piccolo [피콜로]
플루트보다 1옥타브 높은 음역을 가진 목 제 또는 금속제의 플루트.
◇piri [피리]
한국, 중국의 목관악기. 한국피리는 대나무로 되 어 있고 겉쪽에 7개, 안쪽에 1개의 구멍이 있다. 중국피리는 겉쪽에 7개, 안쪽에 1개나 2개의 구멍이 있다.
◇pitch [피치]
음의 높이. 음의 진동수의 차이를 의미하는데, 오늘날 표준 피치는 a'음을 일초당 440진동으로 하고 있음.
◇Plainsong [플레인 송]
단선 성가. 13세기경의 그레고리오 성가에 대한 명칭.
◇Poco [포코]
조금.
◇poco a poco [포코 아 포코]
조금씩.
◇Polka [폴카]
빠른 2박자의 보헤미아 춤곡으로 리듬이 특징 적. 스메타나, 드보르작 등에 의해서 예술 음악에 도입.
◇Polonaise [폴로네이즈]
장대하고 축제적인 성격을 지닌 폴 란드의 국민적 무곡, 보통 빠르기의 3박자이며 강박에서 시 작하여 약박에서 끝나는 악절을 갖고 종종 짧은 리듬동기가 반복됨.
◇Polyphony [폴리포니]
다성음악. 독립된 성부들이 동시에 연주되는 형태.
◇Prelude [프렐류드]
전주곡. (1) 15세기, 16세기초의 프렐류 드는 10마디에서 12마디 정도의 자유로운 건반악기 양식. (2) 대략 1650년경에는 작곡가들이 특정 악곡과 플렐류드를 결합하기 시작. 모음곡들을 시작하는 역할을 함. (3) 19세기 의 프렐류드는 본질적으로 피아노를 위한 성격 소품.
◇Prima donna [프리마 돈나]
오페라 또는 극의 여성 주역 가 수 또는 배우. 남자 주역은 프리모 우오모(primo uomo)라고 함.
◇Programme music [프로그램 뮤직]
표제음악. 문학적, 회화 적, 극적 내용을 표현 내지 암시하는 제목이나 서문이 있는 기악곡.
◇Promenade concert [프롬나드 콘서트]
1830년경. 런던에서 상연되기 시작한 말로, 야외의 광장이나 정원 등에서 행해진 음악회. 오늘날에는 주로 야외 공연장에서 개최되는 연주회 를 말함.
◇Psalm [삼]
시편. 구약성서에 실린 150여 편의 시.
◇quartet [콰르텟]
4개의 악기나 목소리를 위한 작품.
◇quintuple meter [퀸튜풀 미터]
5박자는 주로 2/4와 3/4로 분할하는 데, 간혹 3/4와 2/4로 분할하기도 한다.
◇quintet [퀸텟]
5명의 연주자를 위한 실내악. 현악 5중주는 주로 바이올린 2, 비올라 2, 첼로 구성. 성악 5중주는 소프라 노 2, 알토, 테너, 베이스로 구성.
◇quire [콰이어]
Choir(합창, 합창대)의 옛말.
◇ragtime [랙타임]
1910-15년에 절정을 이루었던 미국 대중 음악의 양식. 화성은 장, 단조의 1도, 5도, 4도 화음이고 왼 손 반주부는 2박자 오른손은 예리한 싱코페이션을 가진 멜로 디를 연주.
◇rallentando [랄렌탄도]
점점 느리게. rall.로 줄여서도 씀.
◇recapitulation [리캐피튤레이션]
소나타 형식에서의 재현부.
◇recitativo [레치타티보]
서창. (1)말의 억양을 강조하거나 모 방하는 것으로부터 고안된 성악양식. (2) 오페라나 칸타타에 서 사용되는 용어로 선율과 리듬이 음악적 전개와는 다른 규 범으로 구분.
◇secco recitativo [세코 레치타티보]
통주저음 (thoroughbass)으로 반주됨.
◇recitativo accompagnato [레치타티보 아콤파니아토]
관현 악 반주로 극적 분위기를 고조시켜 중요한 아리아를 이끌어 낼 때 흔히 사용.
◇recording [레코딩]
필요에 따라서 음을 재생할 수 있도록 기록하는 것.
◇reed [리드]
갈대, 대나무, 금속 등으로 만든 탄력성 있는 작 고 엷은 조각으로 한쪽은 고정시키고 공기를 보내어 다른 쪽 을 진동시켜 발음원을 만들었다. 주로 목관악기, 백파이프, 아코디온, 오르간의 파이프에 사용.
◇refrain [리프레인]
후렴. (1) 각 절 마지막에서 반복되는 1~2행의 동일 시구. (2) 후렴이 있는 시는 특히 12-13세기 트루바도르나 트루베르에서 발달. 중세 프랑스의 발라드, 비 를레, 론도, 이탈리아의 발라타, 스페인의 빌리산스코 등이 후렴을 가진 대표적인 시.
◇repertory [레퍼토리]
연주가나 연주 단체의 공연에 관한 연 주 곡목 표나, 관현악단이나 오페라단의 장기 공연 목록표.
◇repetition [레피티션]
(1) 피아노 구조의 특수한 장치로 음 의 빠른 반복을 가능하게 한 것. (2) 악곡의 중요 구성원칙 중 하나. 동일 성부에서 동일 음고로 반복되는 것은 오스티 아토(ostinato), 동일 성부에서 다른 높이로 반복되는 것은 시퀀스(sequence), 다른 성부에서 동일 음고로 반복되는 것 은 이미테이션(imitation).
◇reprise [리프라이즈]
(1) 소나타 형식에서 두 가지 뜻으로 쓰임. 발전부 전에 도돌이표에 의해 되풀이되는 제시부. 오늘 날에는 재현부의 뜻. (2) 17세기 프랑스의 2부분형식으로 음 악에서 둘째 부분.
◇requiem [레퀴엠]
죽은 사람을 위한 미사음악. 인트로이트가 'Requiem aeternam dona eis Domine (주여 영원한 안식을 주소서)'라고 시작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
◇retard [르타르]
걸림(suspension).
◇rhapsody [랩소디]
광시곡, 서사적, 영웅적, 민족적인 색채를 가진 자유로운 환상곡.
◇ricercare [리체르카레]
16-18세기에 걸쳐서 각종 기악곡에 사용된 명칭. 그 양식과 목적이 다양함. (1) 성악 모테트의 기악 반주가 독립적으로 발달한 것. (2) 16세기에 연습곡의 성격을 갖는 곡에도 쓰임. (3) 20세기 신고전주의 작곡가들 가운데 리체르카레 명칭을 사용.
◇riff [리프]
재즈 연주에서 솔로에 맞춰 즉흥적으로 짧은 악 절을 합주 형식으로 되풀이하는 것.
◇rinforzando [린포르찬도]
하나의 음표나 화음을 갑자기 세 게 하라는 지시를 할 때 사용.
◇ritardando [리타르단도]
점점 느리게.
◇romance [로맨스]
(1) 스페인의 romances는 국민적 영웅을 주제로 한 4행의 연들로 된 긴 시. (2) 프랑스의 romance는 사랑과 역사를 주제로 한 서정적인 짧은 유절 노래. (3) 독일 의 Romanze는 기본적으로 서정적인 성격의 기악작품.
◇rondo [론도]
반복되는 주제부와 그 사이에 나타나는 삽입부 로 이루어짐. 주로 고전적 소나타, 교향곡, 협주곡의 마지막 악장에 쓰임.
◇rumba [룸바]
19세기 초 쿠바의 아프리카계 주민들 사이에 서 생겨난 댄스 리듬. 빠르고 활기찬 2/4박자.
◇sacred music [세이크리드 뮤직]
종교음악. Secular Music 의 반대.
◇salon-music [살롱 뮤직]
16-18세기에 걸쳐 왕후 귀족의 살롱에서 연주됐던 음악. 19세기 이후 순수 예술적인 음악으 로, 음악가를 중심으로 하는 매우 교양이 높은 문학이나 화 가, 학자 등이 만드는 개인적인 모임에서 연주된 음악. 브람 스를 중심으로 한 서클, 드뷔시를 낳은 말라르메의 살롱 등 이 그 예이다. 품위있는 경음악이란 뜻. 작은 편성의 합주단 이 연주하는 깨끗한 음악. 요즘은 경음악을 가리킬 때가 많 다.
◇saltarello [살타렐로]
16세기 이탈리아의 빠른 3박자 춤곡.
◇samba [삼바]
브라질 니그로계 원주민의 집단적 춤의 일종.
◇saraband [사라방드]
17~18세기 유럽에서 유행한 춤곡. 느리고 장중한 표정을 가진다.
◇sarangi [사랑기]
북부 인도 찰현악기.
◇sax [섹스]
색소폰의 줄임말.
◇saxhorn [섹스호른]
벨기에의 아돌프 색스가 1845년경 고안한 일종의 금관악기. 3개에서 5개의 스톱이 있다. 소프라노 색스 호른은 코넷이라고 하기도 한다. 플뤼겔 호른, 테너 호른, 바리톤 호른, 유포니엄, 봄바르돈 등 여러 종류가 있다.
◇saxophone [색소폰]
싱글 리드의 금속제 목관악기. 클라리넷 같은 베크를 장치하고 있는데, 포물형 원추관으로 되어 있다. 소프라노는 일반적으로 직관이며, 알토 이하는 적당한 곳에서 관을 완만하게 꾸부리면서 크기를 조정하고 부분적으로 떼어낼 수도 있다. 소프라노를 잡는 법은 오보에나 클라리넷과 같다. 알토 이하는 길고 무거워지기 때문에 끈(스트랩)으로 어깨에 메고 신체의 중심에서 아래쪽으로 비스듬히 잡는다. 운지는 오보에와 같고 혀의 기술은 클라리넷과 비슷하다. 입술에 의한 조절은 모든 목관악기 중에서 자유롭고 유연성이 뛰어난데, 그 만큼 음률의 조정은 어렵다. 색소폰의 음색은 목과, 금관 어느 것에도 속하지 않는 독자적인 것인데 재즈 밴드에도 많이 사용된다.
◇scale [스케일]
음계.
◇scenic music [시닉 뮤직]
연극상연에 적당하도록 작곡된 음악. 스테이지 음악.
◇scherzando [스케르찬도]
들뜬. 명랑한. 해학적인.
◇scherzo [스케르초]
베토벤이 비뉴에트 대신 소나타, 교향곡 등의 제3악장에 채용한 3박자의 쾌활한 곡. 보통은 스케르초-트리오-스케르초의 겹세도막 형식이다. 쇼팽과 브람스의 피아노곡, 어두운 성격의 스케르초와 서정적인 트리오로 되었다. 바로크 시대의 경쾌한 오락적인 성악곡.
◇score [스코어]
총보.
◇scroll [스크롤]
현악기 머리부분의 커브.
◇second [세컨드]
2도. 보표상에서 2도에 걸쳐서 구성되는 음정. 장2도, 단2도, 증2도 외에 이론상만의 감2도가 있다.
◇secular music [세큘러 뮤직]
세속음악. 종교음악에 대하여 비종교음악 전반을 지칭. 세큘러 칸타타는 세속 칸타타를 지 칭하는데, 커피 칸타타나 농민 칸타타가 여기에 속한다.
◇seguidilla [세기딜랴]
스페인 남부 인달루시아 지방의 대중적인 춤.
◇sequence [시퀀스]
반복진행.
◇serenade [세레나데]
밤에 연인의 창 밑에서 부르는 사랑의 노래. 18세기 중반에 발달한 기악양식.
◇siciliana [시칠리아나]
17~18세기경 시칠리아에서 시작된 춤. 보통 빠르기의 6/8박자나 12/8박자로서 펼침화음으로 반주된다.
◇silence [실랑스]
침묵, 휴지, 쉼표.
◇sinfonia [신포니아]
심포니.
◇sinfornietta [신포니에타]
내용, 형식적으로 규모가 작은 신 포니아. 소규모 오케스트라를 위해 쓰여짐.
◇singspiel [징슈필]
대화에 음악이 삽입된 것으로 대개는 밝은 내용을 가진 극장작품.
◇sinistra [시니스트라]
왼쪽. 왼손을 의미함.
◇sitar [시타르]
북인도 발현악기.
◇six, Les [레 시스]
6인조. 1920년경 프랑스 출신 6명의 작 곡가 그룹에 붙여진 명칭. 뒤레, 오네게르, 미요, 타유페르, 오릭, 풀랑크. 인상주의의 애매함에 반대하여 간소하고 명확 함을 목표로 했다.
◇solfege [솔페주]
음악의 종합적인 기초교육.
◇solo [솔로]
독주 또는 독창 관현악에서 어떤 특정 악기를 돋보이게 하여 단독 연주자에게 비중을 둘 때 솔로라 함. 콘체르토에서 오케스트라 총주에 대해 독주부분을 말함. 17, 18세기 콘체르토 그로소에서 몇 사람의 독주자로 된 소협주부에 의해 연주되는 부분을 말함. tutti(투티)의 반대.
◇sonata [소나타]
칸타타가 '노래하다'를 의미하는 cantare에 서 생겨난 것과 마찬가지로 소나타는 '울리다', '연주하다'를 의미하는 이탈리아어의 동사 sonare의 과거분사 여성명사형 이다. 뉴만의 정의; 소나타는 절대음악에 있어서도 비교적 대규모로 설계되어 여러 가지 대조적인 악장으로 구성된 미적 감상 또는 오락을 목적으로 한, 다악장의 독주곡 또는 실내악곡이다.
◇sonatine [소나티네]
내용적으로나 형식적으로 소규모 소나타를 말함. 피아노 교재로서 클레멘티, 쿨라우 등이 많이 썼다.
◇soprano [소프라노]
여자 목소리의 명칭으로 가장 높은 음역을 가짐. 극적 표현에 알맞으면 드라마틱 소프라노, 유려하고 낭랑한 특성의 레제로 소프라노, 매우 음역이 높고 오페라의 주역에 알맞은 콜로라투라 소프라노 등 목소리의 성질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sostenuto [소스테누토]
음을 유지하여, 각 음표를 충실히.
◇sotto voce [소토 보체]
소리를 낮추어 살며시.
◇soupir [수피르]
4분 쉼표.
◇sourdine [수르딘]
약음기.
◇sousaphone [수자폰]
미국 행진곡의 왕 존 필립 수자(John Philip Sousa)의 이름에서 온 악기. 직경 약60cm의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벨을 가진 헬리콘의 일종.
◇S.P. [에스 피]
Standard Playing record의 줄임말. 78회전의 레코드를 말함.
◇Spanish guitar [스페니시 기타]
기타의 한 종류. 클래식 기타를 말하는데, 경음악의 전기 기타와 구별하기 위해 사용.
◇spinato [스피나토]
부드러운. 침착한.
◇spinet [스피넷]
15세기말에 생겨나서 18세기말까지 애호된 건반이 딸린 발현악기로 쳄발로의 일종.
◇spiritual [스피리튜얼]
미국의 종교적 성격을 가진 민중노래. 흑인영가, 백인영가, 가스펠송 등이 있다.
◇staccato [스타카토]
연주기호. 음을 분명하게 분리해서 연주하는 것을 나타냄.
◇suite [쉬트]
모음곡.
◇swell [스웰]
음량을 차츰 늘이는 것. 스웰 박스는 오르간의 셈여림음 장치.
◇swing [스윙]
재즈의 연주상 악보에 적어놓기 힘든,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약동적인 리듬감을 나타내는 형용사.
◇symphonie [심포니]
교향곡. 그리스어의 완전한 협화의 울림이란 뜻에서 유래함.
◇syncopation [싱코페이션]
같은 음높이의 여린 부분과 센 부분이 결합되어 여린 부분이 센 부분으로 되고, 센 부분이 여린 부분으로 되어 셈여림의 위치가 바뀌는 것.
◇synthesizer [신디사이저]
합성장치라는 뜻. 전자회로에 의한 장치로 스튜디오용의 큰 규모에서 소형 건반악기까지 다양함.
◇syrinx [시링크스]
팬플루트의 그리스어 이름.
◇tablature [태블러튜어]
5선보에 의하지 않고 알파벳 문자나 숫자를 사용하여 음표를 적는 방법으로서 유럽 전역에 걸쳐 옛 시대의 기악연주자들이 사용했음.
◇table [타블]
악기의 공명판.
◇table d'harmonie [타블 다르모니]
울림판(공명판).
◇table music [테이블 뮤직]
타펠무지크.
◇Tafelmusik [타펠무지크]
식사할 때 곁에서 연주되는 음악. 17,18세기 궁정 귀족사회의 사교음악을 말함.
◇tam-tam [탐탐]
공(gong).
◇tango [탱고]
아르헨티나의 대중적인 춤곡.
◇tantara [탄타라]
나팔. 뿔피리 등의 소리.
◇tarantella [타란텔라]
빠른 6/8박자 나폴리 춤곡.
◇Te Deum [테 데움]
'당신을 주님으로 찬미합니다'라는 뜻의 찬가. 아우구스티누스 또는 암브로지우스 작이라고 전해지는 데 '거룩한 삼위일체 찬가'라고도 한다. 이 노래의 진짜 작자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5세기초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그 후 약간 개작되었다. 다성부 작곡도 많아져 퍼셀, 헨델, 베를리오즈, 브루크너, 베르디 등의 곡이 알려져 있다.
◇tenuto [테누토]
음표가 나타내는 길이를 충분히 유지하여 연주할 것. ten이라고 생략해서 쓰기도 함.
◇toccata [토카타]
풍부한 화음과 빠른 프레이즈를 구사하여 즉흥적인 자유분방함을 나타내는 건반악곡.
◇toile [트왈]
막. 커튼.
◇tongue [텅그]
혀. 오르간의 리드 혀.
◇tonguing [텅깅]
관악기를 취주할 때 혀의 운동에 의해 공기 의 흐름을 중단시키는 기술.
◇tremolo [트레몰로]
'떨라'라는 뜻.
◇trio [트리오]
(1) 3중주. (2) 3중창. (3) 3성으로 작곡된 악곡. 트리오 소나타.
◇troubadour [트루바두르]
12, 13세기경 남프랑스에서 활약한 음유시인.
◇tune [튠]
음, 즉 사운드라는 뜻. 음이 계속되는 것을 말함.
◇tuning fork [튜닝 포크]
중앙에 자루가 달린U자 모양의 쇠 막대. 소리굽쇠. 그 진동수를 표준으로 하여 조율하거나 음향 을 측정한다. 프랑스어나 이탈리아어로는 디아파종.
◇uditore [우디토레]
듣는 사람. 청자.
◇ukulele [우쿠렐레]
하와이의 발현악기. 4현의 작은 기타 모양.
◇unison [유니즌]
같은 음. 몇 개의 인성 또는 악기(오케스트라)가 같은 음, 같은 선율을 연주하는 것.
◇vals [발스]
왈츠.
◇vamping [뱀핑]
주로 피아노에서 즉흥적으로 간단한 화음을 써서 반주를 하는 것.
◇variation [바리에이션]
변주. 어떤 주제를 설정하여 그것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는 기법. 주제와 몇 개의 변주로 된 곡을 변주곡이라 함.
◇veloce [벨로체]
어떤 악구를 앞뒤의 악구보다 빠르게 연주하라는 지시.
◇verismo [베리스모]
19세기 후반 이탈리아 오페라에서 생긴 운동. 현실파라고도 한다.
◇vibrato [비브라토]
'떨다'는 뜻. 음의 높이의 미미한 동요를 말함. 같은 음의 급속한 반복인 트레몰로와는 다르다.
◇viol [비올]
(1) 비올족 (2) 비올라 다 감바의 프랑스어.
◇viola da gamba [비올라 다 감바]
16-18세기 서양음악의 중심적 역할을 한 궁현악기. 첼로의 전신에 해당하는 모습을 하고 있음.
◇violetta [비올레타]
작은 비올라의 명칭.
◇violoncello [비올롱셀르]
첼로의 프랑스어명.
◇virginal [버지널]
건반이 딸린 옛 발현악기.
◇virtuoso [비르투오조]
예술의 기술이 뛰어난 사람. 특히 음악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vocalise [보칼리즈]
모음창법. 발성연습에서 말이나 계명을 사용하지 않고 a, e, i, o, u또는 u의 모음을 사용하는 것을 말함. 또는 모음창법만을 사용한 예술가곡을 말함. 그레고리오 성가나 중세, 르네상스의 다성음악에서 볼 수 있으며, 근대에 와서 드뷔시나 라벨 등의 작품이 있다.
◇Wandel [반델]
현악기의 줄감개.
◇warblers [워블러즈]
소리를 떨면서 노래하는 사람, 또는 떠는 목소리.
◇Weihnachtsabend [바이나흐츠아벤트]
성야(聖夜). 크리스마스 이브.
◇Weihnachtslied [바이나흐츠리트]
크리스마스 축가.
◇western music [웨스턴 뮤직]
미국 중서부 개척자나 카우보이들의 노래나 기악연주.
◇wind [윈드]
(1) 음 높이를 여러 가지로 바꿔서 취주하다. (2) 취주하다. (3) 바람. (4) 오케스트라용 취주악기의 준말.
◇xacara [사카라]
중세 전원가 또는 환성적 시가.
◇xacarero [사카레로]
음유시인을 말하는 스페인어.
◇xylophone [자일러폰]
실로폰. 공명관이 있는 실로폰은 마림바라고 함.
◇yedding [예딩]
음유시인의 가곡. 이야기조 노래. 영국 고대 민요가.
◇yodel [요델]
Jodel. 요들(yodle).
◇zamba [삼바]
아르헨티나의 대표적인 춤곡.
◇Zither [치터]
남부독일과 오스트리아의 민속악기.
◇Zyklus [치클루스]
사이클(cycle). (1) 연속연주. 어떤 작곡가의 많은 작품을 몇 회의 음악회에서 연속해서 연주해 가는 일련의 음악회. 또한 특정 목적 하에 행해지는 연속음악회 (2) 일련의 연관된 가곡집.
/출처ⓒ† : http://cafe.daum.net/cgsbong
'성경 용어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사 9:1~7 / 하나님을 향한 극치의 감사로 충성하게 하소서 (0) | 2016.12.26 |
---|---|
[스크랩] 성경이 말하는 복 (0) | 2016.08.05 |
[스크랩] 우상의 종류 (0) | 2015.09.14 |
[스크랩] 성경의 우상 일람표 (0) | 2015.09.14 |
[스크랩] 계보(족보) (0) | 2015.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