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막!! 성전!! 하나님의 집!!!

[스크랩] 솔로몬의 성전 건축

하나님아들 2015. 9. 14. 23:27

2014316

 

본문 : 왕상 6:1, 37-38/대하 3:1-2, 대상 28:11-19

제목 : 솔로몬의 성전건축(예루살렘 성전건축)

중심내용 : 솔로몬이 다윗을 통해 주신 성전 식양에 따라 예루살렘 성전을 건축함

명제 : 솔로몬 성전은 우리 가운데 임마누엘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예표다

설교목적 : 솔로몬 성전의 실체로 오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성령을 통해 우리 가운데 내주하심으로 교회를 성전 삼으시고, 하나님의 거하실 처소를 위해 미래지향적으로 지어져가고 있음을 깨달아 교회의 머리되신 주님의 말씀을 신앙과 생명의 도리로 붙들고 살아가는 일에 최선으로 경주해야 한다. 교회는 신약시대의 성전으로 기능한다.

 

. 도입 : 솔로몬 왕국은 메시아 왕국의 그림자다(왕상 4:25/4:4, 3:10)

1. 솔로몬 왕국은 아브라함/모세/다윗 언약의 총체적 성취의 의미를 띤다.

2. 솔로몬 왕국은 메시아 왕국의 예표적 의미를 띤다(왕상 4:25/4:4, 3:10).

* 포도나무와 무화과나무의 비유는 메시아 왕국의 안식과 평안의 삶을 상징한다.

3. 평안과 안식의 삶은 이 모든 삶을 총체적으로 상징하는 성전건축을 요구한다.

 

. 전개 : 솔로몬의 예루살렘 성전건축은 언약적 구속사에 기초한다(삼하 7:12-13, 대상 22;6-12/왕상 6:1, 대하 3:1) : 왕국의 장기적 안정은 성전건축의 적기이다

 

A. 솔로몬 성전 건축의 시기와 구속사적 의미 : 출애굽이후 480/솔로몬 즉위 42

1. 솔로몬 성전 건축의 시기는 출애굽 이후 480/솔로몬 즉위 42

2. 성전 건축의 해가 BC966년임을 감안하면 출애굽 연도는 BC1446년임을 간파

3. 성전 건축기간은 정확히 76개월이 결렸다(왕상 6:37-38)

4. 열왕기서 기자가 성전의 건축시기를 출애굽 사건에 맞춰 기술하는 의미(왕상 6:1)

(1) 출애굽의 목적이 약속의 땅 가나안의 정복을 통해 명실상부한 신정왕국의 건설과 밀접하게 연계돼 있음을 시사함

(2) 성전건축은 출애굽의 완성이며 이스라엘 역사의 화룡점정(절정)의 의미 가짐

(3) 성전건축은 가나안 정복을 통한 신정왕국의 건설 및 하나님의 이름을 두시려고 택하신 한 곳 예루살렘에 성전을 지으시려는 하나님의 의지가 합목적적으로 실현된 구속사적 사건임을 강력히 시사해 준다(12:10-11)

(4) 결과적으로 성전건축은 출애굽의 완성이자 제반 구약언약(아브라함/모세/다윗)의 총체적 성취로서 메시아 왕국의 건설을 상징적으로 보증해 주는 의미를 가짐(그러나 남북의 분열 및 바벨론 침공으로 인한 멸망은 언약의 이중구조성을 제시한다)

* 성전의 실체로 오신 그리스도 안에서 교회는 메시아 왕국의 지상적 임재방식으로 존재한다. * 교회는 성령의 소욕을 좇아 말씀의 통치를 자율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을 통해 은혜의 믿음으로 구원받은 천국백성으로서의 천상지향적 삶을 추구하게 된다.

 

B. 솔로몬 성전건축은 하나님께서 보여주신 식양대로 따름(대상 28:11-19)

1. 솔로몬 성전건축은 하나님께서 다윗에게 주신 식양을 따랐다(대상 28;11)

* 성막 제작 시에도 모세는 하나님의 식양을 좇음(25:8-9)

* 주님의 몸 된 교회는 머리되신 주님의 말씀을 신앙과 생명의 도리로 붙들어야 함(계시의존 사색신앙관 정립의 필요성/10:2-3, 7:21-23, 요삼 4) : 본질추구해야

* 나답과 아비후의 다른 불 사건(10:1-2/번제단 불:16:12)

* 나곤의 타작마당에 이르러 웃사가 소들이 뜀으로 언약궤를 손으로 만짐/즉사함(삼하 3:6-7), 고핫 자손이 어깨에 메어야 함(4:15)

2. 성전의 외부 건물 공사(왕상 6:2-10)와 내부 장식 공사(왕상 6:14-36)

3. 하나님의 권면과 위로의 말씀(왕상 6:11-13) : 언약에 따른 순종의 요구

* 솔로몬과 이스라엘의 불순종에도 하나님의 언약은 언약적 징계와 심판을 내리실지라도 언약은 신실하게 성취됨(분열이스라엘/남유다를 통해 언약의 계승)

* 그리스도의 구속 안에서 율법의 요구 완성됨/사랑의 법의 포로 된 자로서 사랑이 동기유발 된 실천적 삶이 요구됨(무익한 종의 심정/17:10)

 

C. 솔로몬 성전(예루살렘)건축은 구약의 제반 언약의 성취를 보증한다

1. 아브라함 언약과 밀접하게 연관된다(22:2/대하 3:1) : 장소적 개념

(1) 솔로몬 성전건축은 모리아산 이삭의 번제사건과 연계된다(대하 3:1/22:2).

(2) 예루살렘은 역사적으로 모리아산과 장소적 연계성을 갖는다(대하 3:1)

(3) 결국 솔로몬 성전의 장소가 이삭이 번제로 드려진 모리아산이란 의미다

2. 시내산 모세언약과 밀접하게 연관된다(12:10-11) : 성전 제사와 장소 개념

(1) 솔로몬 성전건축은 약속의 땅에 안식과 평강이 임했음을 의미함(12:10)

(2) 이런 사실은 왕상 4:25을 통해 이미 확인되었음(포도나무와 무화과나무의 비유)

(3) 가나안 정복과 평화정착은 정한 곳의 성전건축과 밀접하게 연계됨(12:11)

3. 다윗의 왕국언약과 밀접하게 연관된다(삼하 7:12-13) : 건축자의 정체성

(1) 솔로몬 성전건축은 다윗의 아들이 하나님의 집을 건축할 것에 대한 성취다(12)

(2) 솔로몬 성전건축은 솔로몬 왕국의 평화와 안녕에 대한 증거다(삼하 7:13)

 

D. 성전건축 장소의 유기적 연계성에 대한 구속사적 이해

1. 아브라함이 이삭을 번제로 드렸던 모리아산(22:2, 14)

* 이삭의 실체로 오실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사역을 예표함(구약의 갈보리)

2. 약속의 땅을 정복한 후 안식과 평화가 찾아 왔을 때, 제사를 위해 정하신 한 곳(12:10-11)

* 솔로몬 왕국을 통해 아브라함 약속 성취(왕상 4:25/12:10), 예루살렘 성전 건축(12:11)

3. 인구조사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과 다윗의 회개를 열납하시는 의미로 아라우나의 타작마당에서 번제와 화목제를 드리도록 요구하심(삼하 24:18, 25/대상 21:18, 25-26/22:1) * 다윗의 신앙고백(대상 22:1/“이는 여호와 하나님의 전이요 이스라엘의 번제단이더라”=오르난의 타작마당과 예루살렘 성전 터와의 유기적 상관관계)

4. 다윗 성의 언약궤가 안치된 솔로몬의 예루살렘 성전(대하 3:1)

* 모리아산-아라우나의 타작마당-예루살렘-예루살렘 영()문 밖(13:12-13)

* 모리아산에서 번제로 드려진 이삭=오르난의 타작마당에서 드려진 번제=솔로몬 성전에서 드려진 속죄제=십자가에 못 박히신 어린양 되신 예수님의 구속의 예표들이다.

 

E. 성전의 점진적 발전과 유기적 연계성에 대한 구속사적 이해

1. 성막(25:8)/회막: 이동식 텐트/하나님의 임재(임마누엘), 교제, 통치의 상징

2. 솔로몬 성전 : 고정식 건물(언약의 궁극적 성취/메시아 왕국의 특징인 안식과 평화의 도래를 상징적으로 계시해 줌/12:10-11의 성취) : 바벨론 침공 시 성전파괴(성전의 한시성 드러남/미래지향적인 성전의 실체를 전망케 함)

3. 스룹바벨 성전 : 바벨론 포로귀환을 통해 파괴된 솔로몬 성전 터에 재건축(소규모)

* 에스겔 선지자의 새 언약 속에서 성전의 재건축 예언(37:26-28)

* 스룹바벨 성전-헤롯성전-로마에 의한 성전 파괴(AD70)

* 성전의 실체되신 예수님(2:19-22) 암시

4. 헤롯성전 : 스룹바벨 성전을 헤롯이 웅장하게 증축함(46년간/2:20)

* 헤롯성전은 AD70년 로마의 티도 황제에 의해 파괴됨(예언 성취/24:1-2)

5. 성전의 실체로 오신 예수 그리스도(1:14, 2:19-22) :

6. 신약시대는 성령의 전이요 하나님의 거하실 처소로 지어져가는 교회가 성전임(고전 3:16, 6:19, 고후 6:16, 2:22) : 건물로서의 구약적 성전계시는 종식됨

* 신약시대에 솔로몬 성전을 빙자해 성전건축을 요구하는 것은 무지의 소치

* 더구나 성전건축을 축복의 수단으로 말하는 것은 본질상 사술(詐術)과 같다

 

. 결론:

1. 솔로몬 성전 건축에 담긴 구속사적 의미는 당시 솔로몬 왕국이 아브라함/시내산/다윗언약이 지향하는 메시아 왕국을 총체적 관점에서 모형적으로 예표하고 있음을 적극 시사해 준다(왕상 4:25/4:4, 3:10) : 이동식 성막에서 고정식 성전으로 전환됨

2. 솔로몬 성전 건축은 출애굽의 목적이 가나안 정복을 통한 메시아 왕국의 건설(12:10, 왕상 4:25)과 이를 표상하는 성전 건축에 집중되고 있음을 보증해 준다(12:11, 왕상 6:1).

3. 솔로몬 성전과 제사제도는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 안에서 완성되었다(2:19-22, 9:12, 10:1, 11-12).

4. 신약시대의 교회는 성령의 전으로서 하나님이 거하실 처소로 지어져가는 영적 성전으로 존재한다(고전 3:16, 6:19, 고후 6:16, 2:22).

5. 그러므로 신약시대에 더 이상의 건물로서 성전은 존재하지 않는다. 건물개념의 성전건축보다는 예배당 건축이란 표현이 바람직하다. 신약시대의 교회는 성전의 지상적 존재방식이다(고전 3:16, 고후 6:16).

6. 성전된 교회공동체는 세상 속에서 구별된 거룩의 삶(천상지향적)을 살아가는 일에 최선으로 경주해야 한다

출처 : remnant7000
글쓴이 : sky blue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