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교학의 위치와 그 유익함
신학교육에서 선교학의 위치와 그 유익함
Ⅰ. 서 론
많은 선교학자들은 아직도 선교학은 현대 신학교육에 있어서 그 정당한 위치를 찾지 못하고 있으며, 선교에 대한 시각이 온전치 않음을 지적하였다. 한국의 신학교에서도 선교학이 필수과목으로 정해져 있지 않으며, 전공교수도 임용하지 않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는 상황이다. 이는 선교학의 의의와 중요성에 대해 알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한다. 그러므로 신학교육에서 선교학에 대한 바른 이해는 물론 21세기 한국교회의 배가된 세계선교사역을 이루기 위해 선교학에 대한 새로운 시각은 절실한 필요를 요청한다.
Ⅱ. 본 론
1. 신학교육에서 선교학의 위치
1) 선교학이 실천신학에 속한다. - 쉴라이어막허, 카이퍼, 바빙크
(1) 쉴라이어막허(Schleiermacher) - 선교학을 광의의 신학영역에 두어야 함을 강조하고 실천신학의 부분에 덧붙일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2) 카이퍼(A. Kuyper) - 선교학을 증가학, 설교자들을 위한 과목으로 여기고, 증가학의 목표를 “그리스도 밖에 있는 지역들과 사람들을 기독교화 하는 하나님이 명하신 가장 유용한 방법들에 관한 연구”라고 밝힌다.
2) 선교학이 역사신학에 속한다.
(1) 독일 - 바르넥(G. Warneck), 미르츠(C. Mirbt)
(2) 미국 - 케네스 라투렛(K. S Latourette-예일대 역사가)
(3) 영국 - 존 포스터(J. Foster-선교 역사가)
3) 선교학이 조직신학에 속한다
(1) H. Diem - 마 28장의 선교명령이 종말론적 사건이므로 선교학을 삼위일체와 종말론의 교리에 관한 과목 내에 두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2) 요하네스 바빙크의 “선교적 변증학”은 타종교에 대한 개혁주의적 변증서로서 선교학의 교의학적인 기능과 역할을 보여준다.
2. 선교학의 유익 - 메데이로스 엘리아스(Medeiros Elias-리폼드 신학교)
1) 선교학은 먼저 선교사 지원자들에게 필요한 선교사역의 도구들과 성경적 선교전략들을 제공한다.
2) 선교학은 신학교육이 전 세계를 향한 열린 교육이 되게 하여, 신학교육과 교회들이 편협주의(parochialism)와 지역주의(provincialism)를 벗어나게 만들어준다.
3) 선교학은 신학교육에 있어서 선교적인 안목을 가져다 준다.
4) 선교학은 각 지교회의 선교위원회와 선교지도자들에게 효과적인 교육을 제공한다.
5) 선교학은 신학과정에 영향을 주어 통합하는 기능을 가진다.
6) 선교학은 오늘의 선교 상황에서 나오는 문제에 대한 분명한 성경적 신학 이해를 준다.
7) 선교학은 변화를 통해 새로운 교회 역사를 이룩하게 만들어 간다.
Ⅲ. 결 론
선교학의 학문적인 위치와 그것이 차지하는 신학교육에서 역할을 보면, 선교학은 여러 가지로 다른 신학과목에 공헌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바빙크(J. H. Bavinck)는 구속사에서 이제 마지막 구원의 완성은 선교로 가능하며, 초림과 재림 사이에 교회의 존재 목적은 선교에 있으며, 선교학은 신학교육에서 구속사에서 시대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가진다고 주장하였다. 오늘날 선교학은 선교전문대학원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선교학이 대내외적으로 큰 학문적인 발전을 이룩하였다.
이런 점에서 21세기의 한국교회는 세계선교 사역을 효과적으로 감당하기 위해 글로벌 시대에 합당한 선교학을 통하여 국제적인 안목을 지닌 교회지도자를 양육하여야 할 것이다. 편협한 지역주의에 사로잡히지 않는 신학교육은 선교학을 통하여 실행되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신학생으로 하여금 전 세계를 사역지로 사고 준비하게 만드는 과목인 선교학의 위치와 중요성에 대한 바른 인식이 풍성한 선교사역의 열매를 가져다 줄 것이다.
'선교 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선교변증학 (0) | 2015.08.27 |
---|---|
[스크랩] ?성경적 선교론의 중요성 (0) | 2015.08.27 |
[스크랩] ?<현대선교의 이해>중 제4장 선교의 역사적 발전 요약 (0) | 2015.08.27 |
[스크랩] 선교논문-신흥도시에서 목회전략 (0) | 2015.07.18 |
[스크랩] 선교전략의 3가지 핵심요소 (0) | 2014.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