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암교회 교회학교 교사대학 강의안
일시: 2009년 11월 29일
주제: 교사의 영적 리더십
강사: 조점화목사 ( 열매교회)
-교사의 리더십(leadership) -
1. 리더십(leadership)의 정의
집단의 목표나 내부 구조의 유지를 위하여 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집단활동에 참여하여 이를 달성하도록 유도하는 지도자의 능력.
리더십 이란 리더(leader)와 추종자(follower) 간의 상호 관계에서 리더가 추구하는 바를 추종자들과 함께 이루어 가기 위해 리더가 추종자들에게 행사하는 모든 영향력(정신적, 육체적)을 의미한다.
리더십은 직위와 능력 두 가지로 나타난다.
◈ ‘직위’로서의 리더십은 어떤 상황을 통제할 책임을 지고 지도하고 관리하는 직분을 의미한다.
◈ ‘능력’으로서의 리더십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 영향을 끼치게 하는 재능(권능)이나 기술을 말한다.
리더십의 개념에 대한 연구는 20세기 이후에 시작되었으며 3,000여 편의 연구가 있었으나 리더십의 정의는 개념을 정의하려는 사람들마다 차이는 있으나, 리더 개인을 강조하는 경우, 리더와 구성원의 상호관계를 중시하는 관점의 차이가 있다.
리더십은 다른 사람들의 생각, 감정, 행동 등을 따르게 하는 일종의 움직임을 의미한다.
리더십(leadership) 단어적 정의 = Leader + ship(배)
배에 함께 타고있는 선원들을 선장이 풍랑속 에서도 목적지까지 이끌어가는 능력을 의미한다.
도중에 암초나 빙산과 같은 많은 장벽이 있을수 있다.
※ 리더십의 여러 가지 정의들(시대적 흐름) :
초기시대 리더십은 복종을 유도하는 유형이었으나, 최근에는 상호간의 설득력과 이해 관계에 초점을 두고 있다.
스티븐 코비 (Stephen R. Covey)는 그의 저서 <원칙 중심의 리더십> (Principle-centered Leadership)에서 추종자들이 리더를 따르는 이유에 대하여 2가지 관점에서 제시하고 있다.
첫째, 추종자들이 리더를 따르는 이유는 두려움 때문이다.
둘째, 추종자들이 리더를 따르는 이유는 유익을 얻기 위해서이다.
성공적인 리더들이 갖고 있는 4가지 특성은 ① 끊임없이 배운다 ② 미래 지향적이다 ③ 긍정적인 생각을 한다. ④ 다른 사람을 신뢰한다.
2. 교사 4가지 자질
1) 교사는 구원의 확신을 가진 사람이어야 한다.
2) 교사는 하나님의 뜻을 성취하는 사람이다.
3) 교사는 하나님을 사랑하는 사람이어야 한다.
4) 교사는 하나님의 영광을 구하는 사람이어야 한다.
3. 교사 리더십의 유형
1) 지시적 리더십 : 모든 의사결정에 교사가 결정하고 지시한다.
통제력이 있으나 다양성이 결여된다.
사람들은 통제받기를 싫어하기 때문에 사기를 저하시킨다.
잠재력 개발의 기회가 적다.
반아이들의 적대감, 소외감이 초래된다.
2) 참여형 리더십 : 부하들과의 협의 및 제안을 활용하나 의사결정은 리더가 함
개인의 존중과 신뢰성을 형성한다. 개방적인 참여로 소속감과 자존감을 준다.
반아이들의 참여를 통하여 공동체 발전과 연대감을 준다.
4. 교사 마음의 눈
가. 경청(Listening)하라 : 경청은 반아이들에 대한 존중과 수용하는 자세이다.
경청을 할때는 적극적인 자세로 듣는다. 반아이들이 무엇을 원하는지를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나. 공감(Empathy) : 공감이란 반아이들의 환경과 감정을 이해하는 마음이다.
다. 치유(Healing) : 반아이들의 전인치유를 위하여 지속적인 관심과 사랑으로 보살핌이 필요하다.
5. 교사간의 비교의식 버리기
정말 모세가 말에 능하지 못한 사람이었습니까? 그렇지 않습니다.
사도행전 7: 22절에 보면 “모세가 애굽 사람의 학술을 다 배워 그 말과 행사가 능하더라” 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모세는 출4:10에서 여호와께 고하되 “주여 나는 본래 말에 능치 못한 자라 주께서 주의 종에게 명하신 후에도 그러하니 나는 입이 뻣뻣하고 혀가 둔한 자니이다. ”
핑계쟁이 모세= 출4:1 : 모세가 대답하여 이르되 그러나 그들이 나를 믿지 아니하며 내 말을 듣지 아니하것입니다.
출 4:2-8 : 세가지의 기적을 하나님께서 보여주심.
하나님은 follow, 모세의 기질을 잘 아시고 기적을 보여주시며 설득하신다. 모세는 그러나 하나님께서 3가지의 기적을 보여주셨으나 모세는 다시 자신의 혀가 뻣뻣하다는 핑계를 들었다. 그러나 사도행전 7장에 나오는 모세에 관한 설명을 보면 애굽왕실의 교육을 받은 모세는 말에 능한 자라 하였다. 또한 모세는 ‘보낼만한 자를 보내소서’라고 말한다. 14절에서 하나님은 모세에게 화를 내신다.
6. 교사와 반아이 만남
① 교사는 사람을 움직이는 사람
첫째, 반아이들이 귀를 쫑긋 세워 들을수 있는 내용을 준비하라.
둘째, 반아이들이 찡한 감동을 받을 만한 내용을 준비하라.
셋째, 반아이들이 놀랄 만한 사랑을 준비하라.
② 교사는 따르는 사람과 같은 방향의식을 가져야 한다.
-비전을 세워 함께 공유하라.
-상합, 상생하라.= WIN-WIN
-비전을 공식적으로 선포하라.
7. 하나님 내가 교사입니다.
현대는 교육의 홍수시대입니다. 조기교육, 영재교육, 특화교육...이런 교육을 가르치는 교사들은 대부분 지식을 전수하는 교사들입니다. 그러나 성경에서 요구하는 교사는 결코 지식전수로 만족하지 않는다. 한 사람이 하나님의 온전한 사람으로 탄생되기까지 책임지는 교사를 요구한다.
딤후 3:17 “이는 하나님의 사람으로 온전케 하며 모든 선한 일을 행할 능력을 갖추게 하려 함이니라”
하나님의 사람으로 온전케 한다는 것은, 하나님이 요구하시는 인격과 영성을 갖춘 사람으로 세워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하여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선한 일을 갖추도록 준비 시키는 것이 교사이다.
1) 나는 하나님이 붙드는 종이다. (사 42:1-4)
“내가 붙드는 나의 종, 내 마음에 기뻐하는 나의 택한 사람을 보라 내가 나의 신(성령)을 그에게 주었은즉 그가 이방에 공의를 베풀리라”
딤전 4;6-7 “오늘 내가 네게 명하는 이 말씀을 너는 마음에 새기고 (7) 네 자녀에게 부지런히 가르치며...” 안 가르치면 안된다는 것이다.
ex) 목사님. 전도사님 장로님 , 권사님 자녀라도 말씀을 가르치지 않으면 하나님을 기쁘시게 섬기는 방법과 하나님의 뜻대로 사는법을 알수없다.
2) 나는 그리스도 예수의
3) 좋은 군사이다. (딤후 2:3-4)
4) 나는 말씀을 가르치는 자이다. 딤후 4:2-4[공과 준비를 위한 일주일의 타임테이블]
“너는 말씀을 전파하라 때를 얻든지 못 얻든지 항상 힘쓰라 범사에 오래 참음과 가르침으로 경책하며 경계하며 권하라. 때가 이르리니 사람이 1)바른 교훈을 받지 아니하며 귀가 가려워서 자기의 사욕을 따를 스승을 많이 두고 . 또 그 귀를 진리에서 돌이켜 허탄한 이야기를 따르리라”
5) 나는 주님의 군사로 고난도 함께 받으리라(딤후 2:3)
6) 나는 낮은자 입니다. (막10장 45절)
“인자의 온 것은 섬김을 받으러 온 것이 아니라 많은 사람을 위하여 자기 자신을 대속물로 주기 위함이다. 리더십의 본질은 섬김의 자리이다. 정말 예수님의 리더십은 무엇인가?
예수님은 Servant King. 예수님은 종이지만 왕이시고 왕이시지만 종이다. 예수님이 가진 독특한 리더십이 종의 리더십 (Servant Leadership) 이다.
ex) 리더십의 권위자 스티븐 코비의 저서 [ 성공하는 사람들의 여덟번째 습관)
8 . 교사 리더십 발휘하기
1) 마태복음 10:1-6, /리더, 교사를 세우신 예수님
예수께서 제자들을 군중 가운데서 선별하여 부르시고 능력을 주셔서 현장으로 파송하시는 장면을 보여주었다.
가. Calling -(부르심) 막 3: 13 “ 예수님께서 자기의 원하는 자들을 부르시니 나아온지라”
나. Giving -(은사. 능력주심) 마 10: 1“ 열두제자를 부르사~ 권능을 주시니라/ 더러운 귀신을 쫓아내며 병과 모든 약한것을 고치는 권능을 주심)
다. Sending( 보내다) - 눅 10: 1 “ 주께서 70인을 세우사 각처로 둘씩 앞서 보내시며” ( Mission 마태복음 28:16-20 ,사명과 비전 ) 지상명령, 비전과 소명의식 갖기
예수님께서는 제자들을 부르실 때 자질과 능력을 완벽하게 갖춘자 를 리더로 부르는 것이 아니라 제자로 부른 이후에 능력과 권세를 주신것을 볼수있다.
그러므로 교사로 부름받은 우리들은 주님께서 이미 권능을 주신것을 믿어야 할것이다.
2) 누가복음 10:17-20 사역의 보고와 사역평가, 피드백
제자들은 돌아와 기쁨으로 사역을 보고하였다. 보고를 하게 하는 것은 영적 리더들을 책임성 있는 사람으로 만드는 과정이다.4) 제자들이 상과를 맛보았듯이 영적 리더들은 사역의 성과에 대한 기쁨을 맛보아야 한다. 그리고 사역 후의 보고와 이에 대한 예수님의 코멘트는 일종의 격려와 사역에 대한 피드백이라고 할 수 있다. (교회학교 행사후 평가회 필요함- 승패를 보지말고 부흥과 성장을 소망하며 평가회를 진행한다)
사랑하는 교사 여러분!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맡겨주신 어린 영혼들을 잘 양육합시다.
그리하여 그들이 세상에 나아가 하나님의 사역자로 쓰임받도록 사명을 잘 감당합시다.
'교회 교사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교사자질에 대하여 (0) | 2015.07.18 |
---|---|
[스크랩] 교회교육과 교사 (이명진 목사 칼럼 27 ) (0) | 2015.07.18 |
[스크랩] 교사의 리더십(leadership) (0) | 2015.07.18 |
[스크랩] 주일학교 교육방법 (0) | 2015.07.18 |
[스크랩] 교육 목회학 (0) | 2015.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