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교와 수사학
설교와 수사학(1)
수사학이 필요한 이유
1.도케레 : 정보 제공을 위주로 하고, 듣는 사람의 생각을 말하는 사람의 이도로 바꾼다.
2.델렉타레 : 대중연설과 축제 연설, 친근한 분위기에서 행해지는 대화적 기법
3.모베레 : 타인을 선동하고 동기를 부여하는 등의 목표
설교의 진행단계
1단계 : 들려짐-사신인 설교는 전달되어야 한다.
2단계 : 이해함-사신은 이해되어야 한다.
3단계 : 확신함-사신은 수용되어야 한다.
4단계 : 실천함-설교는 행동으로 옮겨져야 한다.
다섯 가지 기준 제시
1.창안 : 상대방의 관심을 둘 만한 주제 찾기
2.배열 : 창출한 메시지를 일정한 순서에 따라 논리적으로 배열하기
3.형식 : 언어 형식의 명료성
4.기억 : 전달된 메시지를 좀더 효과적으로 기억되게 하기
5.전달 : 일정한 물리적 형식을 갖추어 메시지를 전다하는 능력으로 자연스런 생명력임
언어 운용
1.반복과 부연법 : 하나의 단어나 문장을 강조하기 위해 해당 부분에 강세를 주어 반복
2.압축 : 강조하려는 부분 앞 혹은 뒤의 한 단락 정도를 처리할 때 사용하는 방식으로 설교의 진행에 변화를 줌으로 말하려는 부분을 돋보이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3.점층법 : 동일한 맥락을 점차 그 의미를 고조시켜 나가는 방식
4.휴지 : 진행하다 갑자기 중지한다든지, 질문을 던져놓고 중지한다든지, 함께 생각할 수 있는 누제를 서술한 뒤 중지하는 기법이다.
5.음성의 높이 : 필요에 따라 문장, 문단을 처리한다.
설교와 수사학(2): 설교의 언어적 측면
1.설교에서는 자연스러움과 일종의 자유가 느껴져야 한다.
2.유리가 조심해야 할 것은 문장을 구사할 때 리듬을 타는 경우이다.
3.설교를 웅변과 혼동한다든지 정치판의 유세 연설과 혼동해서 그런 톤으로 진행하는 것 역시 바람직하지 않다.
4.목소리에 대한 우리의 생각을 바꿀 필요가 있다.
5.문명의 이기를 적극 활용하라.
6.설교의 일반적인 빠르기는 시대의 변화와 그 보조를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7.설교 내용과 설교 언어는 일치해야 한다.
8.설교의 사족이 때로는 설교 내용의 전달에 중요한 포인트가 되기도 한다.
9.문장은 단문으로 하라.
10.문어체보다는 구어체가 설교의 언어이다.
설교와 수사학(3): 설교의 비언어적 측면
1.제스처
1)대지에 한 두 가지 배치, 대지의 크라이맥스에
2)강조하려는 내용의 준비 단계서부터 제스처를 시작한다.
3)하나의 제스처가 두 세 개의 문장을 처리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4)제스처는 가급적 큰 동장으로 해야 한다.
5)제스처를 쓰고 난 다음의 문장 처리는 가급적 머리속에 기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제스처를 쓸 때 주먹을 쥐고 흔드는 것은 가급적 삼가라.
2.설교자의 얼굴 표정은 전하려는 설교 내용과 일치해야 한다.
3.설교자의 시선은 반드시 회중과의 시선 접촉을 유지해야 한다.
4.강단은 설교자의 무대이다.
'목사! 선교사! 목회자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설교학(총론) (0) | 2015.08.03 |
---|---|
[스크랩] 목사, 목회의 원수(이명진목사 칼럼 28) (0) | 2015.07.18 |
[스크랩] 영혼의 목자의 직무(성 베네딕토의 목자 규칙) (0) | 2015.07.18 |
[스크랩] 설교신학개론 (1) 설교자 (Preacher) (0) | 2015.07.18 |
[스크랩] 영혼의 돌봄과 치유로서의 목회에 관하여 (0) | 2015.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