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⑶ 요한복음 10장에서 본 교사상(敎師像)
① 앞서가는 목자(4절)
좋은 교사는 모범을 보이는 교사이다. 신앙이란 언제나 순종을 요구하며, 순종에로의 교육은 바로 교사의 순종을 요구하고 전제하기 때문이다(행1:1, 3:1, 고전 11: 1, 마23:3). 따라서 교사는 그 자신이 메세지가 되어야 한다. 학생은 교사의 수준만큼 성장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② 양을 아는 목자(14-15절)
좋은 교사는 이해하는 교사이다. 학생들의 요구, 수준, 관심에 대한 세심한 배려와 관심은 우리를 좋은 교육에로 이끌어 간다. 이해가 없는 교육은 그 자체가 폭력이며 강요일 뿐이다. 이해란 관심과 흥미를 갖는 일이며, 상대방의 세계 속으로 들어가는 일이며, 알려고 노력하는 것이며, 결국은 섬기는 행위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하나님으로서 인간이 되신 예수님은 이러한 이해의 위대한 정신을 잘 보여준다고 하겠다. 교육의 대상에 대한 깊은 탐구는 교사가 갖추어야 할 필수적 조건의 하나이다.
③ 각각 자기 양의 이름을 부르는 목자(3-5절)
교사와 학생간의 개인적인 친밀한 신뢰와 교제를 잘 보여준다. 이러한 '함께 있음' 과 동반의 관계는 모든 교육적 노력에서 중요할 뿐 아니라, 더욱 신앙교육의 장에서 중요하다. 교회교육은 구조적으로 어떻게 이러한 관계를 촉진시킬 수 있는가에 대해서 연구하고 인적, 시간적, 물질적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
④ 양을 위해 목숨을 버리는 목자(11, 15절)
이것은 교사의 사랑에 대해서 가르쳐 준다.
2. 교사의 유형
주엘(D. V. Jewell)은 교회학교 지도자(교사)들을 4 종류로 나누었다.
⑴ 전제형의 교사 ( Autocratic )
모든 결정의 책임이 자신에게만 있다고 믿는 자이다. 결과는 학생들간의 사기침체, 책임전가, 빈곤한 참여도, 창조성, 상상력의 결핍을 초래, 강요하게 된다. 이는 교사가 권위만을 내세우고 학생들의 창의력과 참여를 원천적으로 무시하는 우월주의에 빠져있기 때문이다.
⑵ 인자한 전제형의 교사 ( Benevolent Autocratic )
그는 학생에게 관심을 갖고 있으며 그들이 기뻐해 주기를 고대하며 학생들을 꾸짖는 만큼 칭찬도 해준다. 더불어 학생들이 자기를 인간적으로 충실히 따르도록 하는 기술을 채용한다. 학생의 평가는 교사가 부여한 임무 수행의 실적에 따라 평가된다. 이런 연유에서 학생은 교사의 기술이나 평가에 위해 정서적인 갈취를 당하게 되며 따라서 교사나 지도자의 취향에 부합하리라는 확신이 없는 한 아무것도 새롭게 선택하거나 창작하지 않게 되고 지도자의 부재는 목적의 불분명, 산만 등으로 이어지게 된다.
⑶ 방관형의 교사 ( Laissez-faire)
그는 짜여진 과제에 열중한 나머지 구성원이나 학생으로부터 초연해한다. 대부분의 중요한 결정사항을 비롯하여 거의 모든 일들을 구성원들에게 맡기려 한다. 특별한 요청에 의하지 않고는 당면한 일에 개입하려 들지 않는다. 이런 원인들은 학생이나 구성원들의 목표지행적 활동을 저해하고 그로 인한 결과에 대해 상호 책임전가를 모색하게 되어 협동심이 깨어지고 만다. 이러한 방임형의 지도자를 둔 모임은 핵심점, 공동목표나 지향점이 없어져 급속히 해체의 위기를 맞게 된다.
⑷ 민주형의 교사 ( Democratic )
역할을 분담하여 사역한다. 협동력이 배양되고 배우고 활동하는 핵생들이 능동적이며 책임성을 발휘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지도자는 협력을 도모하려 토론의 기초를 놓는 자가 된다. 지도자는 모든 일을 함께 나누며 함께 섬기는 자세로 일을 한다.
쥬디는 교회의 적합한 지도자는 ① 인격 안에 리더십을 가지며 ② 공동의 목표와 관심을 가진 집단의 일원이어야 하며 ③ 목표 달성을 위해 상호 협조하도록 유도하는 일이라고 하였다.
3. 교사의 자질
⑴ 기초적인 자질
① 깊고 지속적인 기독교적 체험
② 그 경험을 타인과 함께 나누려는 열망
③ 성경의 교훈에 대한 건전한 이해
④ 인간발달과정에 대한 이해
⑤ 실례와 경험을 통한 최고교육능력
⑵ 필수적인 자질
① 종교적인 헌신 : 하나님의 사심을 믿고 기도하면서 매일의 행동에서 종교적 생활을 영위하는 것
② 인간적인 매력 : 남에게 주기를 좋아하며 희생적이고 천성적 성품이 따스함
③ 지성 : 자신의 의견을 존중하면서도 인간성숙의 기회를 제공하는 기술
④ 가르칠 수 있는 능력 : 그리스도의 마음을 가지고 겸손하며 남의 말을 들어주며 자신을 돌아보고 웃을 줄 알며 배우고 훈련받기를 즐기는 것
⑶ 바람직한 자질들
① 성경에 대한 깊은 이해와 피상성을 넘어선 지식의 소유
② 심리학에 대한 신뢰성에 입각한 인간발달 단계의 이해
③ 타인에 대해 창의적 생각과 아량
④ 교육방법과 목적에 대한 훈련 이수
⑤ 진지하고 성공적인 교육훈련을 받은 경험
⑥ 다른 사람을 그리스도에게로 인도할 수 있는 능력
4. 교사의 역할
(1) 참된 신자가 되도록 인도하는 역할
교사의 역할은 많이 있지만 그 중에서 학생을 신앙인으로 키우는 역할이 우선된 것이다. 참된 신자는 신앙의 전문가이다. 성경도 많이 알아야 하고 기도도 할 줄 알아야 한다. 열심도 있어야 한다. 그러나 보다 중요한 것은 믿음이다. 믿음의 수고가 필요하다. 믿음은 하나님의 선물이지만 그 다음 단계에 우리가 해야할 일이 있다. 교회 교사는 온전한 믿음의 소유자이어야 한다. 혼자 하나님 앞에서 긴 밤을 하얗게 밝히는 간절함과 뜨거움이 있어야 한다. 학생들이 교사의 뜨거운 가슴을 느끼고 믿음이 어떤 것임을 경험할 수 있도록 인도하여야 한다.
(2) 스스로 신앙생활을 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는 역할
학교에는 복습시간이 있다. 신앙생활도 마찬가지다. 혼자 있을 때가 중요하다. 혼자서도 기도하고 혼자서 성경 읽고 바른 신앙생활을 할 수 있도록 인도하여야 한다.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보여 주신 것은 생활이었다. 교사는 학생에게 이것을 보여주어야 한다. 억지로 끌려가는 태도로 교사를 맡을 것이 아니라 사명의식을 가지고 믿음의 분량을 따라 자신을 투자하여야 한다. 남을 이끌기 위해서는 더 많은 희생이 요구되어진다. 혼자서도 신앙생활하기가 힘든 현실이지만 교사는 이를 극복하여야 한다.
'교회 교사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교사교육이 나아갈 방향 (0) | 2015.07.18 |
---|---|
[스크랩] 올바른 교사교육 - 김동호목사 (0) | 2015.07.18 |
[스크랩] 창조적 파트너로서의 교사의 자격과 사명 ;제1강 (0) | 2015.07.18 |
[스크랩] 주일학교 교사의 자세 (0) | 2015.07.18 |
[스크랩] 주일학교 교사의 자세 (0) | 2015.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