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 교사 교육

[스크랩] 1) 교회학교

하나님아들 2015. 7. 18. 15:34

1) 교회학교

 

. 교회교육의 운영

 

(1) 경영자(지도자)의 자질

교회 자도자의 자질은 매우 중요한데 그원(H.P. Gwynn)이라는 학자는 교회자도자의 기초적인 자질에 대해서 "깊고 지속적인 기독교적 경험과 그 경험을 다른 사람과 나누려고 하는 끊임없는 열망, 성서의 가르침에 대한 분명한 지식, 인간발달에 대한 건전한 이해와 예시와 실험을 통해서 최고의 교육실천을 훈련받는 일 등"이라고 했다. 지도자의 자질은 그 그룹의 성패를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것임에 틀림없다. 그러므로 지도자 훈련은 부단히 계속되어야 하며 이 훈련은 교육을 통해서 지도자를 성장케 하는 노력인데 웨그 마이어(N. Wegmeyer)는 지도자의 잠재력을 개발하는 성장의 분야를 기술적 성장분야 - 교수- 학습, 인간관계, 자기 이미지와 자기 이해의 성장분야 - 교사의 역할과 능력, 타인과의 관계, 지식과 정보적 성장분야 - 교수- 학습이 곧 정보가 됨, 영적성장분야 등 4가지로 분류했다.

 

(2) 교사의 자질

정통주의 적인 입장에서 보면 교사는 기독교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행위자다. 그에게는 기독교인이 되는 것과 교사가 되는 두 가지 조건이 요구된다. 하나는 신앙적인 자격이요, 다른 하나는 교사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비(C. B. Eavey)는 말하기를 이 두 요소를 객관적인 방법으로 정의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지만 기독교 교사는 예수께서 인간의 죄를 위해 십자가에 죽으셨다가 죽음으로부터 부활하셨다는 사실을 믿는 예수의 제자이어야 한다고 말한다. 진정한 제자됨이 없이 기독교인을 가르친다는 것은 맹인이 맹인을 인도하는 격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의 제자되는 것이 기독교 교사의 첫번째 임무이다. 그 다음으로 필요한 것이 교사의 직능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기능이다. 버쥐스(H. W. Burgess) 는 그 조건들을 7가지로 요약한다. 교사는 자기가 선포한 메세지대로 사는 기독교적 인격을 갖춘 사람. 그리스도에 의해 교사로 부름 받았다고 하는 소명의식이 투철한 사람. 그리스도의 메세지를 부지런히 전하는 열심이 있는 사람. 메세지의 내용을 정확하게 전하려는 충실성이 있는 사람. 기도하는 사람. 남을 위해 자기 가진 것을 즐겁게 드리는 이타적인 사람. 교사직을 수행할 수 있는 지능을 가진 사람이어야 한다고 했다. 이 두 가지 요건을 기초로 기독교 교사는 자신에게 주어진 복음을 전한다. 코우(G. E. Coe)"교사는 일단의 가르쳐야 할 지식을 전하는 사람이 아니다. 학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하나님의 민주국을 실현해 가는 사람이다. 라고 했다. 그러므로 기독교 교사는 더 이상 진리의 수여자가 될 수 없다. 그는 개인의 종교적 경험이 확장되도록 도와줄 뿐 아니라 기독교적 인격을 발달시키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또한 기독교 교사는 10가지의 다양한 역할, 기능을 가져야 하며 훌륭한 기독교 교사는 10가지 기능, 역할 모두를 통합하는 것이라고Timothy Arthur Lines 은 말했다. 10가지 기능, 역할은 부모의 역할-공급자, 보호자, 신학자, 모형 코치의 역할-감독자, 훈련자, 동기부여자, 전략가,과학자 역할-발견자, 이론가, 실험가, 인공두뇌학자, 비평가 역할-분석학자, 철학자, 폭로자, 무신론자, 이야기꾼 역할-복음주의자, 역사가, 신비주의자, 이야기꾼, 예술가 역할-창조자, 도안가, 환기자, 마술사, 공상가의 역할-목격자, 예언자, 궤변자, 카리스마적 존재, 혁명가 역할-개혁자, 계획가, 선동가, 치료자(임상의사)역할-치료자, 촉매작용하는 사람, 촉진자, 길동무 등 목회자 역할-제사장, 사제, 방어자, 종 등이다. 이상과 같이 서술한 교사의 자질과 기능을 갖춘 교사가 되기 위하여는 피나는 자기 훈련이 있어야 하겠다.

출처 : 내도중앙교회
글쓴이 : 바나바 주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