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경(正經:THE CANON OF SCRIPTURE)
"정경(Canon)"이란 단어는 성경 66권을 가리킬 때 사용됩니다. 이 말은 갈대(Reed), 자(Measure), 규정(Rule) 등을 의미하는데, 결국 이것은 이 책들이 하나님의 기준에 맞는지 여부를 알기 위해 책을 시험한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 66권의 책들만이 하나님의 감동으로 되었고 나머지 책들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예를 들어 로마 카톨릭은 외경이라고 하는 고대의 책 열 네 권을 성경과 똑같은 수준에 두고 있습니다. 외경은 다니엘서 등과 같은 정경에 어떤 첨가적인 말들을 포함시켜 놓은 것입니다.
구약 정경의 형성과정을 잠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옛날 족장들은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친히 하신 약속들을 무엇보다 소중히 여겼습니다. 이들은 자기 생애 가운데 일어난 중요한 사건들을 기록했는데 대개 진흙판이나 돌판 위에 썼고 이것을 아버지가 아들에게 소중한 유산으로 대를 이어 물려주게 하였습니다. 모세오경을 쓸 때 모세는 이러한 조상의 전래된 글들을 하나님의 계시로 여겨 오경에 포함시켰고 또한 죽기 전까지 자신이 직접 기록한 것도 추가했을 것입니다.
이스라엘 백성은 광야를 통과해 가나안 땅에 들어가자 이 기록들을 매우 소중히 지켰습니다. 다른 책들도 초기 선지자들에 의해 씌어졌는데, 이것 또한 그 기록들에 추가되었습니다. 이 책들이 바로 역사서라고 부르는 여호수아서부터 열왕기하까지의 책입니다. 후에 시편과 대선지서와 소선지서가 기록되었고 마지막으로 구약의 나머지 책들이 씌어지게 되었습니다. 말라기 선지자가 무대에서 사라진 후에야 구약이 완성되었습니다. 그 뒤 400년이 넘도록 계시를 받은 기록자나 선지자의 목소리는 이스라엘 땅에서 들리지 않았습니다.
이제 신약 정경의 형성과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신약 27권은 구약에 비해 훨씬 더 짧은 시간에 기록되었으며 기록되고 얼마 되지 않아 곧 수집되었습니다. 침례 요한이나 예수님은 책을 직접 기록하지 않았습니다. 오순절 이후 사도들이 그리스도를 전파하기 시작했을 때 그들이 기억하고 있던 그리스도의 말씀이 인용되었습니다. 후에 이러한 말씀들이 복음서에 기록되었습니다. 누가는 교회가 예루살렘에서부터 로마까지 확장되는 것에 대한 역사적인 기록을 추가했습니다(사도행전). 사도들 또한 교회를 세우고 이 교회의 새로 거듭난 성도들을 굳게 세울 목적으로 열아홉 편의 서신을 기록하게 됩니다. 이들의 편지에 야고보, 유다의 서신이 추가되고 마지막으로 계시록이 포함되었던 것입니다
'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조직신학 개론 요약 (0) | 2015.06.21 |
---|---|
[스크랩] 기본교리/제1장 /성경론 (0) | 2015.06.21 |
[스크랩] 기본교리제4장/기독론 (0) | 2015.06.21 |
[스크랩] 기본교리제5장/기독론 (0) | 2015.06.21 |
[스크랩] 기본교리제6장/성령론 (0) | 2015.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