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의 생각! 말!! 행동!! 영성!!

[스크랩] 말의 힘 세째시간, 입술은 인생의 핸들. (교재:조현삼목사님 말의 힘)

하나님아들 2014. 5. 5. 11:45

 

 

 

교재: 조현삼 목사님 <말의 힘>

말의 힘03-인생의핸들.pptx

 

 

말의 힘 세째시간, 입술은 인생의 핸들. 약3장3절

 

말은 힘이 있다. 말속에 어떤 힘이 있는가?

 

우리는 이 과를 통해 말의 능력 4가지를 공부한다.

말은 치료하기도 하고 병들게도 한다.

말은 살리기도 하고 죽이기도 한다.

말은 흥하게도 하고 망하게도 한다.

말은 행복하게도 하고 불행하게도 한다.

 

3:10 한 입으로 찬송과 저주가 나는도다 내 형제들아 이것이 마땅치 아니하니라

3:11 샘이 한 구멍으로 어찌 단 물과 쓴 물을 내겠느뇨

 

단물 - 치료, 살리는, 흥하게 하는, 행복하게 하는 말

쓴물 - 병들게 , 죽이는, 망하게 하는, 불행하게 하는 말.

 

같은 물도 소가 마시면 젖을 만들고(牛飮水成乳) 뱀이 먹으면 독이 된다(巳蛇水成毒)’.

이슬을 따먹는 벌은 꿀을 받아내고 이슬먹은 독거미는 독을 만들어낸다.

하나님의 은혜를 받고 감사하고 찬양하는 사람이 있는가하면, 원망과 분노의 독을 품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1) 치료하는 말

12:18 “혹은 칼로 찌름같이 함부로 말하거니와 지혜로운 자의 혀는 양약 같으니라

15:4 “온량한 혀는 곧 생명나무라도 패려한 혀는 마음을 상하게 하느니라

두 절의 양약과 온량한은 히브리어로 같은 뜻의 단어이다. “마르페” - 이 단어의 어원은 치료란 의미의 라파이다. 우리에게는 여호와 라파, 즉 치료하시는 하나님이라는 말로 잘 알려져 있다.

 

치료하는 말은 어떤 말인가?

16:24 “선한 말은 꿀송이 같아서 마음에 달고 뼈에 양약이 되느니라

 

선한 말이란?

4:29 오직 덕을 세우는데 소용되는 대로 선한 말을 하여 듣는 자들에게 은혜를 끼치게 하라

12:25 선한 말은 그것을 즐겁게 하느니라.

 

선한 의 히브리어는 노암이다. 이 단어는 기쁨을 주는, 아름다운, 친절한, 은혜스러운의 이미리다. 토브: 목적에 합당하게 쓰인 말.

 

- 선한 말의 예

1-1) 덕을 세우는 말 - 4:29

 

1-2) 위로하는 말 - 40:1; 살전4:18

40:1 너희 하나님이 가라사대 너희는 위로하라 내 백성을 위로하라

살전4:18 그러므로 이 여러 말로 서로 위로하라.

고후1:4 모든 환란가운데 능히 위로하시는 하나님.

 

- 선한 말이 치료하는 과정을 살펴보자.

12:25 “근심이 사람의 마음에 있으면 그것으로 번뇌케하나,

선한 말은 그것을 즐겁게 하느니라

 

마음의 근심은 심령을 상하게 하고, 심령의 근심은 뼈를 상하게 합니다. - 그러나 마음이 치료되는 심령의 치료와 뼈의 치료가 함께 됩니다.

 

선한 말은 꿀송이같이 달아서, 마음을 즐겁게 한다. 이것은 뼈의 양약이 된다. , 선한 말은 마음을 즐겁게 하고 이 즐거움이 뼈를 치료한다는 의미이다.

 

- 피를 만드는 공장 (조혈작용) - 보고에 의하면 우리 뼈는 눈깜짝할 사이에 120만개의 적혈구를 만든다. 동시에 120만개의 적혈구가 120일의 수명을 다하고 죽는다.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의 늑골, 두개골, 척추에 있는 골수에서 피를 계속 만들어 내고 있다. 이 뼈는 일평생 500Kg 이상의 피를 만들어낸다. 이 피를 만드는 데 중요한 뼈에 특효약이 있다. 그것이 선한 말이다. 부작용도 없는 보약이다.

15:4 온량한 혀는 곧 생명나무라고 가르쳐준다. 온량한의 의미는 앞서 살펴본대로 치료하는이다. 치료하는 혀는 생명나무라는 말이다.

 

병들게 하는 말.

12:18 “혹은 칼로 찌름같이 말하거니와 지혜로운 자의 혀는 양약 같으니라

140:3“뱀같이 그 혀를 날카롭게 하니 그 입술 아래는 독사의 독이 있나이다

3:13-14“저희 목구멍은 열린 무덤이요 그 혀로는 속임을 베풀며 그 입술에는 독사의 독이 있고 그 입에는 저주와 악독이 가득하다

 

----------------------------------------

마음의 근심은 심령을 상하게 하고 심령의 근심은 뼈를 상하게 합니다.

악한 말, 병들게 하는 말, 마음 상하게 하는 말 -- 마음 상함 --- 심령 상함 --- 뼈의 상함 --- 골수로 상한 피, 병들게 하는 피, 나쁜 피가 만들어지고 그 나쁜 피가 온 몸을 돌아다니므로, 사람을 병들게 합니다.

----------------------------------------

 

2) 살리는 말과 죽이는 말 (악플로 자살까지 이르는 경우)

18:21 죽고 사는 것이 혀의 권세에 달렸나니 혀를 쓰기를 좋아하는 자는 그 열매를 먹으리라

13:3 “입을 지키는 자는 그 생명을 보존하느니라

 

3)흥하게 하는 말과 망하게 하는 말

11:9 “사특한 자는 입으로 그 이웃을 망하게 한다.”

10:10 “입이 미련한 자는 패망하느니라

10:14 미련한 자의 입은 멸망에 가까우니라.

18:7 미련한 자의 입은 그의 멸망이 되고 그 입술은 그의 영혼의 그물이 되느니라.

11:11 성읍은 정직한 자의 축원을 인하여 진흥하고 악한 자의 입을 인하여 무너지느니라.

 

4) 행복과 불행의 언어

13:2 사람은 입의 열매로 인하여 복록을 누리거니와 마음이 궤사한 자는 강포를 당하느니라

입술의 열매 - 복록의 목록, 저주의 목록

18:2 사람은 입으로 나오는 열매로 하여 배가 부르게 되나니 곧 그 입술에서 나는 것으로 하여 만족하게 되느니라.

 

 

인생의 핸들인 말 .

3:2-6

3:2 우리가 다 실수가 많으니 만일 말에 실수가 없는 자면 곧 온전한 사람이라 능히 온 몸도 굴레 씌우리라

3:3 우리가 말을 순종케 하려고 그 입에 재갈 먹여 온 몸을 어거하며

3:4 또 배를 보라 그렇게 크고 광풍에 밀려가는 것들을 지극히 작은 키로 사공의 뜻대로 운전하나니

3:5 이와 같이 혀도 작은 지체로되 큰 것을 자랑하도다 보라 어떻게 작은 불이 어떻게 많은 나무를 태우는가

3:6 혀는 곧 불이요 불의의 세계라 혀는 우리 지체 중에서 온 몸을 더럽히고 생의 바퀴를 불사르나니 그 사르는 것이 지옥 불에서 나느니라

 

3:2-6을 요약하면

말의 실수가 없는 자는 온전한 사람이요, 온 몸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말은 인생의 핸들과 같습니다. 말의 입에 재갈을 먹여 말을 순종하게 하고, 재갈을 이용해 방향을 잡듯, 아무리 큰 배라도 작은 키로 그 큰 배를 조종하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우리의 입술의 말은 인생의 핸들과 같습니다.

 

입술의 말이 인생의 핸들이란 뜻은 어떤 의미일까요???

1) 인생의 미래를 조종하며, 미래를 결정하는 힘이 말에 있습니다.

자녀에게 이 빌어먹을 놈이라 저주하는 부모는 그 자녀의 미래를 조종하는 것입니다. 자신을 향한 자기 암시와 같은 말도 같은 것입니다.

 

2) 핸들이 그 몸체가 아무리 커도 통제하듯, 입술의 말은 우리 몸과 삶을 통제하는 힘이 있습니다.

4: 무릇 지킬 만한 것보다 더욱 네 마음을 지키라 말씀하시고, 네 마음을 지키는 첫째 것으로 입술을 지키라 말씀하십니다.

 

4:23 무릇 지킬 만한 것보다 더욱 네 마음을 지키라 생명의 근원이 이에서 남이니라 4:24 궤휼을 네 입에서 버리며 사곡을 네 입술에서 멀리하라

4:25 네 눈은 바로 보며 네 눈꺼풀은 네 앞을 곧게 살펴

4:26 네 발의 행할 첩경을 평탄케 하며 네 모든 길을 든든히 하라

 

 

우리는 말의 바다에 살고 있다. 그러나 물속에 사는 물고기가 물속에 살고 있다는 것을 모르는 것처럼 우리가 말속에서 살고 있다는 것을 깨닫지 못한다. - 스튜어트 체이서 -

이는 말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했던 스튜어트 체이스라는 학자의 명언이다.

 

같은 물도 소가 마시면 젖을 만들고(牛飮水成乳) 뱀이 먹으면 독이 된다(巳蛇水成毒)’.

이슬을 따먹는 벌은 꿀을 받아내고 이슬먹은 독거미는 독을 만들어낸다.

하나님의 은혜를 받고 감사하고 찬양하는 사람이 있는가하면, 원망과 분노의 독을 품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3:9 이것으로 우리가 주 아버지를 찬송하고 또 이것으로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을 받은 사람을 저주하나니

3:10 한 입으로 찬송과 저주가 나는도다 내 형제들아 이것이 마땅하지 아니하니라

3:11 샘이 한 구멍으로 어찌 단 물과 쓴 물을 내겠느냐

출처 : 조촌감리교회
글쓴이 : 조촌감리교회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