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교 신학

[스크랩] 한국에서 성공한 네비우스의 선교 정책

하나님아들 2014. 4. 23. 00:01
한국에서 성공한 네비우스의 선교 정책

3. 방법의 적용
(1) 선교지역의 분할 - 당시 조선에 선교기관이 여럿이었기 때문에 노력을 중복하거나 필요 없는 경쟁을 하지 않도록 네비우스는 연합적으로 지역을 분할하는 정책을 마련하였다. “교계예양” 다양한 교파의 선교 활동에서 빚어지는 마찰과 경쟁을 피하기 위해 선교지 분할 협정, 이것은 1892년 미감리교와 미북장로회 사이에 처음 이루어진 것으로 △인구 5천 이상의 대도시(혹은 개항장)는 공동 점유하고 △그밖에 도시는 먼저 들어가 선교하는 선교부가 기득권을 갖고 △미개척 지역은 새로 오는 선교회가 맡게 한다는 조항이 들어 있다.
으로도 불려지는 분할 협정은 1892년 6월 18일 장로회와 감리회 사이에 그리고 같은 교파 내에서 각각 체결되었다. 그러나 선교 구역 분계 설정은 선교부 간의 교세의 심한 격차를 나타내게 되었다.
(2) 중하류층 중심의 선교 - 상류가 아닌 근로 계급과 하류층 및 여성들에게 선교의 목표를 두었다. 이는 당시까지는 없었던 근대적인 시민의식을 고취하는 것으로, 일면으로는 한국의 근대 시민 사회 형성에 기여한 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네비우스는 중하류층의 사람들을 교육시켜 한국적으로 기틀을 잡게 한 후, 나아가서 교회에 자조하고 자치하고 자전하며 개개인으로 성숙시켜 나가게 했다. 이와 같은 그의 방법론 적용으로 한국시민들이 근대적인 의미의 시민, 곧 책임과 의식을 지닌 창조적인 인간성을 가꾸는데 이바지 했다.
(3) 평신도훈련 - 네비우스 선교방법론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 중에 하나는 평신도훈련이었다. 로마 가톨릭과 대다수의 개신교에는 성직자와 평신도를 구분하여, 평신도가 교회사역에 참여하는 폭을 줄여 놓았다. 그러나 네비우스에 의하면, 평신도의 참여가 없이는 전도도 교회성장도 기대할 수 없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성경공부로 잘 훈련된 평신도들이 실제적으로 현장에서 전도하며, 그리고 이들이 교회의 주축의 멤버를 형성하게 될 때 교회는 부흥하게 된다고 보았다.
(4) 성서 연구 - 네비우스는 성서 연구에 대한 다음과 같은 원칙을 만들어 시행하였다. 첫
■ 들어가는 말

■ 네비우스 선교의 원리와 방법, 적용
1. 선교의 원리

2. 선교의 방법

(1) 성경 강조정책
(2) 자립(Self-Support)
(3) 자전(Self-Propagation)
(4) 자치(Self-Government)

3. 방법의 적용

■ 네비우스 선교의 공헌- 긍정적 측면
1. 영적 각성운동

2. 사회변혁과 미신타파

3. 주체성 애국심

■ 네비우스 선교 정책에 대한 비판

■ 네비우스 선교 정책 측면에서 본 현재 한국 선교의 부정적인 면
1. 성과(업적) 중심 선교

2. 후원단체의 압력

3. 선교사의 공명심

■ 나가는 말

■ 토론내용

<참고문헌>


>> 한국에서 성공한 네비우스의 선교 정책
출처 : 돌스
글쓴이 : 누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