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이신론(理神論) |
|
이름 |
연도 |
대표적인 저서 |
주목할 만한 논쟁점 |
-
이
-
신
-
론
-
의
-
청
-
년
-
기 |
- 토마스 홉스
|
- 1588
- -1679
|
- 리바이어던(Leviathan)
- 비히모드(Behemoth)
|
- 모든 지식은 감각과 이성의 산물이다.
- 성서는 이성에 반대되지 않는다.
- 존재는 물질에만 종속되어 있다.
|
- 존 로크
|
- 1632
- -1704
|
|
- 계시는 이성에 반대되지 않는다.
- 관념의 백지상태를 주장하였다.
- 지식은 감각의 투영이다.
|
- 아이작 뉴턴
|
- 1642
- -1727
|
|
- 그의 기계론적 우주관은 이신론자들에 의해 지지를 받았다.
|
-
이
-
신
-
론
-
의
-
장
-
년
-
기 |
- 에드워드 허버트
- (체버리경)
|
- 1583
- -1648
|
|
- 몽테뉴의 영향으로 초자연적 계시는 종교에 불필요한 요소라고 주장하였다.
|
- 존 톨랜드
|
- 1670
- -1722
|
|
|
- 안토니 콜린즈
|
- 1676
- -1729
|
|
- 성서 저자는 자유사상가였다.
- 구약의 예언과 신약의 그리스도의 삶 사이에 참된 유사점을 발견할 수 없다.
|
- 매튜 틴달
|
- 1655
- -1733
|
|
- 자연종교의 절대적인 자생력을 강조하였다.
- 기독교는 자연종교로서도 입증될 수 있다.
- 창조의 완전성은 연속성을 띄게 된다.
|
- 토마스 울스턴
|
- 1669
- -1733
|
|
- 산약성서의 기적은 사실이 아닌 상징적임을 강조한다.
- 부활사건은 제자들에 의해 전파된 속임수가 아니었다고 확신하였다.
|
-
이
-
신
-
론
-
의
-
노
-
년
-
기 |
- 조오지 버클리
|
- 1685
- -1753
|
|
- 실존은 물질에 의하지 않고 신의 관념에 따른다.
|
- 윌리암 로우
|
- 1686
- -1761
|
|
- 틴달의 논쟁에 반박을 시도하고 신(神)의 행위는 반드시 인간의 이성에 의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 그의 저서는 요한 웨슬레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끼쳤다.
|
- 조셉 버틀러
|
- 1692
- -1752
|
|
- 이신론의 가장 위대한 반대론자로서 그의 유비론은 200년간 변증서로 널리 활용되었다.
- 자연종교는 충족시켜주는 계시없이는 불가능함을 가르쳤다.
- 계시종교의 진리는 자연종교의 진리만큼 강하다고 주장하였다.
|
- 윌리암 워버튼
|
- 1698
- -1779
|
- 모세의 신법(神法)
- 자연종교와 계시종교의 원리
|
- 구약의 신적 기원은 부족한 사후(死後)에 대한 가르침을 채워줄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
- 윌리암 팔레이
|
- 1743
- -1805
|
|
- 반(反)-이신론자들에게 선명한 지식을 제공하였다.
- 신(神)의 존재증명에서 목적론적인 견해의 전형(典型)을 이루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