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항공우주국(NASA) 지구관측소 웹사이트에 우리나라 경상도에서 발생한 산불을 위성으로 촬영한 사진이 올라왔다고 과학전문매체 어스닷컴 등 외신들이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해당 사진은 지난 22일NASA지구관측용 인공위성 ‘아쿠아’에 탑재된 모디스(MODIS) 센서가 촬영한 것이다. 사진에서 경북 의성군과 안동시 근처에서 흰 연기가 피어 오르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그보다 남쪽의 경남 산청군에서 또 다른 연기 기둥이 눈에 띈다.
NASA아쿠아 위성이 촬영한 경상도 지역의 산불 (사진=NASA) NASA는 이번 달 건조한 바람이 한국을 휩쓸면서 수십 건의 산불이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21일 화재 발생 이후 수천 명의 인력과 100대 이상의 헬리콥터가 화재 진압을 위해 파견됐다고 전했다.
어스닷컴은 기후 변화로 인해 최근 전 세계에 걸쳐 화재가 더 빈번하게, 더 대규모로 발생하는 환경이 조성됐다고 전했다.
지구 온도가 상승하면 가뭄이 장기화되고 초목이 건조해지면서 산불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다. 또한 강수 패턴의 변화도 산불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22일 천리안 해양관측위성(GOCI-II) 통해 포착된 산불 연기 일부 지역에서는 예전보다 더 드물게 비가 내리지만 한 번 내리면 더 강렬하게 내리기 때문에 식물이 더 빨리 자라고 식물이 건조한 환경에 놓였을 때 가연성이 높은 화재의 연료가 된다. 다른 지역에서는 지속적인 가뭄으로 토양 수분이 감소하고 식물 건강이 약화돼 화재에 더 취약해진다.
온난화는 바람 패턴도 변화시켜 화재가 더 빠르고 예측 불가능하게 번질 수 있는 구조를 만들고 있다. 더 강한 바람은 불씨를 먼 거리로 날리면서 초기 화재원에서 멀리 떨어진 곳까지 새로운 화재를 일으키고 있다.
또, 눈이 일찍 녹고 가을 비가 늦게 내리는 등의 계절적 패턴의 변화로 인해 산불 시즌이 길어지고 있다며, 위의 요인으로 인해 향후에도 화재가 더 오랫동안 더 강렬하게 발생할 수 있다고 해당 매체는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