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를 위해 온몸을 돈다… '알약의 여행'
입력2025.01.18.

예를 들어 넘어져서 생채기가 났을 때는 끈적한 연고를 바르고 감기에 걸린 어린이에게는 시럽 같은 물약을 먹입니다. 교통수단을 이용하던 중 멀미가 심할 땐 귀밑에 약 성분이 든 패치를 붙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약의 형태를 '제형'이라고 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제형은 알약(정제)입니다. 약 성분을 여러 첨가제와 섞어서 조그맣고 단단하게 굳힌 것이죠. 물과 함께 삼켜서 우리 몸속으로 들어간 알약은 위장과 소장에서 천천히 녹기 시작합니다.

다 녹은 알약 성분은 위장과 소장 벽을 통해 흡수되고 혈관으로 들어가서 온몸을 돌아다닙니다. 일상생활에서 주로 먹는 약들의 경우 여기까지 약 30분에서 2시간이 걸립니다.
혈액 속에 녹아든 약 성분의 농도를 뜻하는 '유효 혈중 농도'는 보통 6시간까지 유지됩니다. 이 시간 동안 약 성분은 치료가 필요한 위치까지 도달해 효과를 발휘해요. 이후에는 우리 몸이 약 성분을 신장이나 소화기로 다시 보내 분해하고 배설물로 내보냅니다.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1월 15일, [통합과학교과서] 다나아 알약의 효능
조현영 기자 4everyoung@donga.com
'정보 !일반 상식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기 먹을 때 버섯·김치 같이 굽는 이유 있었다 (0) | 2025.01.21 |
---|---|
부모의 편애 진짜 있다 …"동생, 딸에 호의적" (0) | 2025.01.18 |
[헷갈린과학] 감기 VS 독감 (0) | 2025.01.18 |
따뜻한 티백차 즐겼는데…"미세 플라스틱 수백만 개" (0) | 2025.01.18 |
"남자에게 좋은 '장어 꼬리'?"⋯정말일까 (0) | 2025.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