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음과 종교 (행4:12)
서론
지금까지 이 사람들은 기독교를 종교로 알고 있었다.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려줘야 한다.
(1)종교는 무서운 결과를 가져온다.
1)강대국- 우상을 섬기다가 다 망했다.
2)유대인- 아주 뛰어난 종교인들이다.
3)교인- 교회 다니는 종교인도 있다. 이 부분을 잘 말해줘야 한다. 분명히 잘못되었으면서도 잘못되었다고 하면 이단이라고 공격한다.
4)율법- 이 사람들은 주로 율법에 빠지게 된다. 하나님의 말씀인데 복음은 아니다. 율법 주신 것은 복음을 받으라고 주었는데 율법에 빠지는 무서운 결과를 가져온다. 유대인들은 조그마한 일까지도 율법으로 싸웠다.
(2)주의할 것
1)율법- 율법 가진 사람들이 시비를 걸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불신자들은 만가지 나쁜 일을 하다가 여러분이 하나 잘못하면 그것을 가지고 시비를 건다. 복음 받지 못한 사람은 여러분이 조금만 실수하면 그것을 가지고 시비를 건다. 방법이 없다. 주의할 수밖에 없다.
복음을 정확하게, 진실하게만 전하면 하나님이 전도자의 모든 것을 책임지신다(골4:2-3).
전도의 문을 볼 줄 알아야 한다 복음에 불타는 심령을 가진 평신도들을 하나님은 숨겨 놓으셨다. 전도할 곳은 너무 많은데 갈 사람이 없다.
1.복음이 아닌 것
♠새신자는 복음과 복음 아닌 것을 분별 못하고 있으므로 알려 주어야 한다.
(1)선행(사64:6)- 해적선을 탄 해적은 아무리 착해도 해적일 수밖에 없다.
선행을 행해야 하는 결과이지 이것이 복음은 아니다. 이것을 이해하려면 성령의 감동이 있어야 한다. 선행이 좋은 것인데 왜 그런가? 오늘 날 기독교가 선행과 공로 싸움으로 망했다. 천주교가 이것 때문에 망한 것이다. 누가 더 큰 선행을 했느냐를 가지고 싸움을 한 것이다. 이것 때문에 십자가 지신 것이 아니다. 너무 좋은 일이지만 복음은 아니다. 그 사람의 영적 문제부터 치유되어야 한다. 그것을 나두고 선행을 하니 나쁜 것이라는 것이다.
(2)철학, 사상, 신념(골2:8-9)- 이것 때문에 하나님을 더 모르게 된다.
여러분의 철학과 사상이 복음보다 강하면 그것 때문에 문제이다.
(3)종교(마12:43-45)- 하면 할수록 손해다.
(4)열심(요3:1-4)-
이 말을 잘 못 알아들을 수도 있다. 열심히 하지 말라니. 그 말이 아니다. 열심이 복음보다 앞서면 안 된다. 우리는 다 알아듣지만 종교인들은 알아듣는 사람이 드물다. 처음부터 봉사를 가르친다. 봉사의 짐을 지고 눌려 죽는 것이다. 그것이 바리새인이다. '수고하고 무거운 짐 진 자들아 내게로 오라'고 했다. 신앙의 근본을 잘 가르쳐야 한다. 그러면 여러분 마음에 선행을 하지 말아야지, 열심히 하지 말아야지 하는 생각이 드는가? 그 말이 아니다. 이것 때문에 복음을 막는다면 복음이 아닌 것이다. 상상외로 많은 교인들이 이렇게 알고 있다.
♠이 모든 것으로 원죄가 해결되진 않는다.
종교 |
복음 |
사람 출발 |
하나님 출발 |
사람이 찾아감 |
하나님이 찾아오심 |
노력 |
믿음 |
법칙 |
생명 |
2.참 복음의 시작(출발점)
(1)은혜(엡2:8) - 구원의 동기
하나님이 이 복음을 은혜로 주셨다. 우리는 은혜로 구원받았다.
우리의 노력이나 서행으로 구원받는 것이 아니다
(2)믿음(엡2:8) - 구원의 수단
예수그리스도를 믿음으로 구원받으며
(3)선물(엡2:9-10) -
믿음도 하나님의 선물이다. 여러분은 믿어지지 않는가? 어떤 사람은 죽어도 안 믿어진다.
(4)출발점(엡2:8-10) - 하나님이시다.(ex: 놋뱀, 유월절, 어린양의 피)
(5)종점(롬8:31-39) - 절대 안전하며, 딴길로 갈수 없다.
절대 망할 수가 없다.
그누구도 하나님의 사랑에서 우리를 망하게 할자가 없다
이세상에 하나님보다 더 큰자 있는가 그러기에 구원받은 자는 흔들릴 이유가 없다.
'율법과 복음과 언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예수그리스도의 교회 (0) | 2012.10.26 |
---|---|
[스크랩] 구원받은 성도의 10가지 신앙 (0) | 2012.10.26 |
[스크랩] 복음적 설교2 (0) | 2012.10.20 |
[스크랩] 복음적 설교 1 (0) | 2012.10.20 |
[스크랩] 복음적 설교 1 (0) | 2012.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