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된 예배자에 관한 성경적 자질
I. 하나님께서는 구약과 신약에 걸쳐 하나님의 전에서 지속적으로 섬길 예배자들을 영원한 진리에 의해 예비하시고 지명하셨다.A. 에스겔 28: 13-19: 하나님께서 창조하시고 기름 부어 루시퍼로 하여금 예비된 처소에서 예배된 옷을 입고 찬양하도록 하셨다.(이사야 14: 11-12) B. 역대상 28: 11-19: 다윗은 찬양하는 자들과 연주하는 자들과 춤을 추는 자들을 하늘의 식양대로 준비시켰고 이것을 선지자 나단과 갓이 확인하였다.(역대하 29: 25) C. 요한계시록 14: 2-3; 4: 9-11; 15:2-4 : 하늘은 지명된 예배자들이 노래와 움직임으로 하나님을 섬기는 곳이다. II. 다윗은 역대상 13장에서 얻은 교훈을, 역대상 15장에서 적용했다 – 하나님께서는 예배자들이 지녀야 할 엄격한 조건으로 그들을 지명하셨다.A. 충성: “레위 사람 외에는 하나님의 궤를 맬 수 없나니…”(역대상 15: 2) 1. “레위”의의미는 “동참하여”라는 뜻 a. 출애굽기 32: 26에서 레위인들은 모세의 편에 서서 하나님을 향한 충성을 보였다. 2. 지명된 예배자들은 지역 교회의 지도력에 영으로 동참하여야 한다. B. 하나님의 집을 사랑: 민수기 3: 15, 23, 29, 35에서 보듯이 레위족속은 다른 종족보다 더 장막 가까이 살았다.(역대하 6: 31-32) 1. 지명된 예배자는 교회 가까이에서 시간대로 자주 설비를 돌봄으로써 하나님의 집을 사랑하는 특별한 마음을 보일 것이다. C. 종의 마음: 레위족속은 자원함으로 섬기는 하나님의 종, 하나님의 사람들이었다. (민수기 8: 15-19; 역대상 16: 37; 민수기 3: 7) 1. 지명된 예배자는 각광받는 자리에서 사역을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보이지 않는 곳에서 자원함과 부지런함으로 일하는 자들이다. D. 배우는 자세: 레위인은 대제사장 아래서 섬겨야만 했다. 젊은 레위인들은 노장의 퇴임한 레위인에게서 도제(徒弟)의 형식으로 그들의 기능을 배워야했다.(민수기8;19, 23-26) 1. 역대상 25: 6-8에서 레위인과 음악인들은 도제체제 속에 배움을 계속해야 했다. E. 경건한 삶의 방식: 레위인들은 공적인 사역을 하기 전에 자발적으로 특정한 정결의식을 통과해야 했다.(민수기 8: 5-7) 1. 정화(Sprinkling): 하나님의 말씀을 매일 공부한다.(에베소서 5: 25-27) 2. 싸움 : 매일 하나님의 말씀을 따라 적용하며 육체적 정욕과 싸워야한다. (히브리서 4: 12) 3. 옷을 정결케 함: 매일 자신의 마음을 새롭게 함으로 흠 없는 태도를 유지한다. (요한계시록 3: 18) 4. 역대상 15: 12-16에 의하면 다윗은 오직 이 정결케 하는 과정을 따르고 시작한 음악인들만 섬기도록 했다. III. 먼저 특별한 영적 자질을 적용시킨 후, 다윗은 장차 지명될 자들에게 음악적자질을 단련시켰다.A. 음악적 융통성: 아삽의 음악 사역은 노래와 타악기 연주, 관현악 연주, 브라스(brass), 현악기, 작곡, 예언과 가르침을 포함한 것이었음을 주시하라.(역대상 15:19, 16:7, 37-42, 25:1, 시편 73-83) B. 음악적 기교: 음악적 기술의 탁월성은 다윗 성전의 인증이었다. 1. 그나냐는 그가 지닌 음악적 기술로 사람들에게 노래를 가르쳤다.(역대상 15:22) 2. 다윗 성전에 있는 음악인들은 여호와 찬송하기를 배워 익숙한 자들이었다.(역대상 25:7) 3. 우리는 하나님께 공교히 연주하도록 권고 받는다.(시편 33:3, 137:5) 4. 하나님께 우리가 인정된 자로 서는 법을 배워야 한다.(딤후 2:15) C. 음악적 인식 능력: 레위인은 음악을 연주하는 것 뿐 만 아니라, 그것을 기록하였다. 그러기에 오늘날 우리가 시편을 읽을 수 있게 되었다.(역대상 16:4) 1. 다윗의 시대에 레위인은 히브리인 중에 유일하게 읽고 쓸 줄 아는 자들이었다. 오늘날 지명된 예배자들은 반드시 그들의 음악적 읽기 능력을 계발시켜야 한다. IV. 다윗은 레위인을 성결케 함과 자질으 ㄹ갖추게 한 뒤 공적인 사역을 지속적으로 섬기도록 임명했다.A. 성결케된 레위인은 지도자와 회중이 안수하기 전까지는 공식적으로 사역에 개입하지 않았다.(민수기 8:9-11) B. 아삽, 헤만, 여두둔은 언약궤를 가져오는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후에, 다윗과 장로들, 사람들 앞에 공식적으로 세워졌다.(역대상 16:4, 5, 37-43) 1. 지명되기에 이전 성공적인 임무 수행이 앞선다.(딤전 3:10) C. 다음의 8가지 이유를 통해 왜 지역교회가 성경적인 음악 사역을 개발하지 못하는지를 살펴 보라. (때로는 부정적인 면을 봄으로써 긍정적인 큰 그림을 발전시킬 수 있다.) 1. 교회 내 탁월한 음악 사역을 위한 협력에 실패함. 2. 시편 150편에 어긋남; 모든 종류의 예술 분야를 찬양과 예언을 위해 사용하지 못함. 3. 기능 사역들이 거룩하게 구별되어 사용되도록 예배실을 준비하지 못함. 4. 음악이나 예술 분야의 예산을 적절히 책정하지 못함. 5. 레위인의 사역에서 보여진 영적인 필요 조건들을 충분히 강조하지 못함. 6. 위의 영적 자질을 갖췄으나 음악적 자질을 구비하지 못함. 7. 사역을 위해 영적. 가연적 자질을 모두 갖춘 예배자들을 집사로 임명하지 못함. (구약에서 아론의 자손인 “제사장”은 신약 교회의 “장로”와 동일했고, 아론의 제사장을 돕는 자 “레위인”은 신약 교회의 “집사”와 동일했다.) 8. 지역교회 내 기능 사역 훈련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지 못함. D. 다윗은 하나님을 경배하는 처소를 위해 큰 대가를 지불하였다.(사무엘하 24:18-25) 1. 오늘날 우리에게는 대가를 지불하려는 자원함이 있는가? /출처ⓒ† : http://cafe.daum.net/cgsbong |
'교회란! 예배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배 후의 예배’가 진짜 …예배와 삶 분리하는 이원론 극복해야 (0) | 2022.02.05 |
---|---|
<헛된 예배의 문제> (0) | 2022.02.05 |
예배 바르게 드리기 (0) | 2022.02.05 |
성도의 예배 모임 (0) | 2022.02.05 |
예배 드릴 때 중요한 점 (0) | 2022.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