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신학

통섭 성경개론(統攝 聖經槪論)/이덕성 목사

하나님아들 2022. 1. 24. 22:53
통섭 성경개론(統攝 聖經槪論)/이덕성 목사
 
통섭 성경개론(統攝 聖經槪論)/이덕성 목사
 














 
統攝聖經槪論




『지식의 대통합』의 저자인 에드워든 윌슨은 한국 독자들에게 자신의 책의 주제를 ‘지식이 갖고 있는 본유의 통일성’이라고 했다. 그리고 지식의 통일에 대해 “지식의 통일은 서로 다른 학문분과들을 넘나들며 인과설명들을 아우르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물리학과 화학, 화학과 생물학, 그리고 보다 어렵겠지만 생물학, 사회과학, 그리고 인문학 모두를 아우르는 것이다.”라고 했다. 그의 원제는 『The unity of knowledge』인데 여기서 19세기 자연과학자 윌리엄 휴얼의 'consilience'의 개념을 부활시켰다고 보았다(휴얼은 'consilience'를 ‘jumping together’, 즉 ‘더불어 넘나듦’으로 정의함). 그래서 이 책을 옮긴이는 용인대학교 이동철 교수의 도움을 얻어 이웃 나라들이 어떻게 번역했는지에 대해 확인을 했다고 한다. 그 개념을 ‘통합’, ‘일체화’, ‘융통’ 등으로 번역되었지만 ‘계합(契合)’이나 ‘융섭(融攝)’을 추천했다고 한다. 그러나 번역자는 ‘큰 줄기’ 또는 ‘실마리’라는 뜻의 統과 ‘잡다’ 또는 ‘쥐다’라는 뜻의 攝을 합쳐 만든 말로서 ‘큰 줄기를 잡다’라는 의미를 가진 ‘통섭’으로 번역했다고 한다(이는 불교와 성리학에서 흔히 사용하는 용어이며 특히 원효의 화엄사상에 대한 해설에 자� 樗洋構�, 조선 말기 실학자 최한가의 氣.철학에도 자주 등장하는 용어라고 한다).




모세오경








하나님의 창조사역 구도


















천상계(영원)를 구체적으로 계시하신 세계가 천하계(계시, 현상)이다
첫날의 카오스 상태의 땅을 우주적 질서(코스모스)로 드러내셨다
첫날 빛과 넷째 날 햇빛은 다르다. 저주 받은 후의 햇빛과는 다르다.
첫날의 수면과 둘째 날 아랫물 그리고 셋째 날 바닷물 그리고 해와 달이 주관하는 바다는 다르다
첫날의 하늘(천)과 둘째 날 하늘(궁창) 그리고 해와 달이 주관하는 하늘은 다르다
첫날의 땅(지)과 셋째 날의 땅(육지) 그리고 해와 달이 주관하는 땅은 다르다


















역사서


















































시가서










1. 시편의 본론
  가. 제 1권: 시 1-41편
  시 3편: 다윗의 시가 시작된다. 제 1권은 다윗의 개인적인 애도의 시가 주종을 이루며, 사울의 통치하에서 압제받는 다윗에 대한 기록이 주로 나타나고 있다.


  나. 제 2권: 시 42-72편
  시 72편: 머리말로 "솔로몬의 시"라고 했다. 다윗과 그 아들을 위한 기도가 시의 내용이다. 다윗 왕의 통치에서 솔로몬의 통치로 전환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이새의 아들 다윗의 기도가 필하다"라는 기록으로 끝을 맺는다. 제 1, 2 권은 대부분 다윗의 시로 구성되어 있다. 제 2권은 대부분이 애도의 시이며 원수에 대한 기록이 나타난다. 2권에는 다윗의 즉위에 대한 시(45편), 다윗의 예루살렘 정복(48편), 다윗의 밧세바와의 범죄(51편)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다윗의 왕권과 그의 통치 중에 있었던 일을 포함한다.


  다. 제 3권: 시 73-89편
  시 73편: 악인의 형통과 의인의 고난이 배경이 되어 있다(3-4). 하나님의 정의에 회의를 품었던 시편 기자는 인과응보가 마침내 이루어지며 하나님의 궁극적인 심판이 있을 것을 알게된다(27-28). 
  시 89편: 하나님과 다윗과의 언약, 그리고 그의 후손에 대한 약속을 기억한다(3-4). 후대의 왕이 범죄할 때에라도 다윗과의 언약은 파하지 않으실 것이다(27-37). 그러나 이스라엘 백성은 열방의 공격으로 왕이 곤경에 처함을 슬퍼한다(49-51). 
   3권은 다윗 이후 예루살렘 함락에 이르기까지의 국가적인 고난과 위기와, 특히 북왕국 이스라엘의 함락을 가져온 앗수르 시대가 그 배경이 된 듯하다. 제 3권에는 아삽과 고라의 시가 포함되어 있다. 의인이 받는 고난, 하나님의 택하신 백성과 나라가 받는 고난이 배경이 되어 있으며, 고난 중에 구원을 간구한다. 시 78편은 사마리아 성의 함락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라. 제 4권: 시 90-106편
  시 90편: 모세의 기도이다.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을 떠나시고 심판 받는 이스라엘에 대해 묘사하고 있다(7-9). 하나님의 구원과 회복을 간구하는 내용도 있다(13). 
  시 106편: 시 105편에서 아브라함의 선택으로 시작된 역사를 회고하며(105:9), 포로된 땅에서 하나님의 긍휼을 받고 포로에서 회복되기를 간구함으로 끝을 맺는다(106:46-47). 
   4권의 배경은 포로로 잡혀간 하나님의 백성들이다. 제 4권에 포함된 시편들은 통치하시는 여호와를 노래하는 시가 주종을 이룬다(93, 95-99). 주요 주제들은 여호와의 왕권, 구원, 우상 숭배에 대한 심판, 신들 위에 뛰어나신 하나님, 여호와의 신실하심, 역사의 회고 등이다. 이는 포로된 땅에서 슬퍼하는 백성들을 위로하기에 적합한 내용들이다.


  마. 제 5권: 시 107-150편
  시 107편: 동서남북 사방에 흩어진 백성들을 모아 대적의 손에서 구원하신 여호와께 감사한다(1-3). 
  시 145편: 다윗의 시이다. 제 5권에서 시편 전체의 결론을 내리는 결시를 하기 전에 다윗의 시로 일단 마무리를 짓는 것이 적합하다. 영원한 주의 나라와 통치(13), 왕이신 하나님께서 자기를 바라보며 사랑하는 자들을 보호하심(14-20)을 고백하며 하나님을 찬양한다. 이는 포로에서 회복된 백성이 노래하는 시편으로 생각하면 쉽게 이해가 간다.


   5권의 배경은 포로된 이스라엘 백성의 회복이며, 제 5권에는 할렐루야 시편(111-117), 성전을 올라가는 노래(120-134), 다윗의 시모음(138-145)이 들어 있다. 하나님께서 열방을 심판하시고 시온에서부터 열방을 다스리심을 노래하는 시 110편에 이어서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구원, 그의 나라를 노래하는 할렐루야 시편이 나온다(111-117). 시 119편은 율법 시로서 백성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사랑할 것을 권고하는 시이다. 율법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었던 포로 회복 이후의 세계에서 적합한 시이다. 성전에 올라가는 노래는 원래 이스라엘의 절기에 예루살렘으로 향하는 순례의 길에서 부른 노래이나, 포로된 땅에서 예루살렘으로 돌아가는 것을 노래하는 데 적합하게 사용되었을 것이다(120-134편). 시편 전체의 결론을 내리는 결시가 제 5권의 마지막에 포함된다(138-145).


 3) 결시: 146-150편
   시 146-150편은 시편 전체의 결시로서 적당하다. 이곳에는 하나님의 속성들이 나타나며 그의 성품과 행하시는 일들로 인하여 찬양한다. 천지를 지으신 자는 갇힌 자를 해방하시는 분이시며(146:6-7), 흩어진 백성들을 모으시며 치료하시는 하나님(147:2-9), 해와 달과 별들이 하나님을 찬양하라는 명령(148:3), 그 분의 능하신 행동을 모든 사람이 찬양하라는 명령(150:1-6)들이 포함되어 있다. 학자들은 시편의 구조에서 편집자의 의도를 파악하려 연구했다. 위의 내용은 아직 학자들의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았으나 시편을 공부하는 데 유익하다.


2. 시편에 사용된 음악 용어들
 1) 영장에 맞춘 노래(음악 지휘자를 위한 노래; 시 55편)
 2) 고라 자손의 마스길(음악 연주자)(42편)
 3) 영장 여두둔(다윗의 악장의 한 사람)으로 한 노래(39)
 4) 스미닛(8줄 현악기)에 맞춘 노래(6편)
 5) 깃딧(포도주 노래, 또는 가드에서 개발한 악기)에 맞춘 노래(8편)
 6) 알라못(처녀들; 여성곡)에 맞춘 노래(46편)
 7) 셀라(청중들이 소리를 높여야 할 부분)
 8) 소산님(백합화 곡조)에 맞춘 노래(45, 60, 89)
 9) 아얄렛 샤할(사슴곡조)에 맞춘 노래(22)
 10) 요낫 엘렘 르호김(멀리있는 조용한 비둘기)에 맞춘 노래(56)
 11) 알다스헷(멸하지 말라)에 맞춘 노래(57-59, 75)
 12) 뭇랍벤(아들의 죽음의)에 맞춘 노래(9)
 13) 마할랏에 맞춘 노래(53, 88)






1)1~9장 : 신학적 지혜가 수록되어 있다. 솔로몬 제1잠언집
2)10~22장 16절 : 실용적 지혜, 솔로몬 제2잠언집
3)22장 17절~24장 22절 : 지혜로운 사람들의 제1잠언집
4)24장 23절~24장 33절 : 지혜로운 사람들의 제2잠언집
5)25~29장 : 솔로몬의 제3잠언집(실용적 지혜에 대하여 기록)
6)30~31장 : 첨가 부분(아굴과 르무엘의 잠언, 현숙한 여인)










 












선지서












  

























복음서




















사도행전










서신서




















요한계시록






 








[해석학] 통섭 성경개론을 정리하며....|메타 성경신학 펄군 | 조회 56 |추천 0 |2010.09.30. 11:45 http://cafe.daum.net/mBTconsortium/CFKh/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