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신학강의: 근본주의와 신정통주의
根本主義(Fundumentalism)
중심적 미국 자유주의 반대 20세기 초반 근본주의 미국 연구 대표적인 전문적인 연구가 죠지 M. 마스덴(George M. Marsden) 미국문화의 근본주의, 근본주의와 복음주의의 이해
마스덴 은 칼빈대학 교수 듀크대학 미국교회사 교수
근본주의 운동의 배경
① 계몽주의 → 자연신론(Deism) 계몽주의 불란서 여러나라 영향 옆에있는 벨기에 화란 독일 바다 영국 이민 미국에도 자연히 영향 특별히 지성인 미국에서는 수입신학 당시 미국 학문 뿌리 유럽으로부터 모든 학문 철학사상 영향 계몽주의 영향 수입 지성인 하바드 예일 대학 점차 자연신론 자연의 섭리 자연의 법칙 자연 이런 것들을 절대화 인격적인 하나님 대신 우주의 원리 절대화 도교 유교 자연신론 자연신론 하나님을 여호와 god 보다 추상적 표현 하나님을 Nature Providence 섭리 Reason, Heaven 인간의 이성 추상적으로 표현 기독교 통하는 말이 철학적 개념 폴 틸리히 불신자 모두를 향한 대화 자연신론 퓨리타리즘 기독교 사상 기독교를 보다 보편화하는 현상 미국 독립전쟁 헌법 13개 주가 주법 공통적 연방 정부 헌법 근본적 종교에 대해서 기독교를 국교로 선언 헌법은 종교의 자유를 선언 하룻밤 토마스 제퍼슨에 의해서 결국 종교의 자유 불교국가 종교의 자유 세속화 양보의 의미 미국이 영적인 로마제국 이상 청교도 목사 지도자 설교집 하나님이 새로운 로마제국을 건설하기 위해서 이 광활한 땅 하나님이 이 무궁한 땅에 이상적 건설 엠파이어 제국의 사상 미국이 변천 추구 퓨리탄 엠파이어 소수 미국에 와서 퓨리탄의 제국 개혁주의 엠파이어 프로테스탄트 엠파이어 개신교제국 19세기 말 이민 카톨릭이 처음에는 법 교회 주일날 감옥 카톨릭 범법자 민주주의 국가 크리스챤 엠파이어 개념 자유주의 불신자 right 엠파이어 미국이 종교의 자유 계몽주의 영향 헌법 하나님 통치자 복음의 전파 개혁주의 국가와 교회의 관계 정부 교회 왕 봉사 중립 미국 웨스트민스터 분리 중립 원문 미국 헌법 신조 수종 미국 장로교회 수정 서구 기독교권 교회 계몽주의 예수 그리스도 사용 그것을 보다 더 포괄적 거부감없도록 하나님 인격성 상실 교회 유니테리안 Uniterian Church 일위일체론자 성자와 성령인정하지 않 절대자 초월 선 사랑 이런 개념 계몽주의 지금도 인텔리 상류급 유니테리안 처치 이런 계몽주의의 영향
② 다윈의 진화론 19세기 중엽 발표 계몽주의 터 학계 수용 교회의 엄청난 위협 자연 진화 유신론적 진화론 무식한 과학계 다윈의 진화론 왜냐하면 공상 자연의 어떤 과정 진화적인 논리 그러나 처음 하나의 소설같은 얘기 그 당시에 계몽주의 인격적인 공백기 진화론 미국 교회 한걸음 보수적 다윈의 진화론 위기의식 재판 미국 사회 위기
③ 자유주의 신학 유럽 영향 미국에 있는 신학자 공부 자유주의에 매료 상실 종말론 사람들 하바드 신학부 퓨리탄 목회자 양성 중심지 자유주의 신학의 영향 위협
④Bolshevism 볼세비키 혁명 공산주의 칼 막스 아편으로 규정 반 기독교적 자세 경계심
⑤ 산업화-도시화 산업혁명 도시로 보수적 신앙 얘기 농경사회에 맞는 신앙이다 성경의 컨텍스트 신앙 사람이 약하기 자동차 공장 도시화 위기의식 전부 개인주의적 공동생활 서구사회 교회생활 교회로 부터의 이탈 교회 지도자 극복
근본주의 기독교 문화 총체적 운동 정치 배경 마스덴 교수 전반적 논
왕의 비지니스라는 잡지 교회와 학교 현대주의 다윈 기독교 문명을 파괴할려는 위기의식 아래그림 현대주의자의 강하 진정한 기독교 성경무오부정 하나님의 형상 이적 동정녀 신성 구속 부활 불가지론 무신론 이런 위기의식을 가졌다. 사상적 배경 위 그림에서 나타나서 파괴 학교와 교회 잠식 괴물과 투쟁 미국적 고발정신 아래그림 도미노적인 사고방식 퓨리탄의 사고방식 잔디 과격 위험 그러나 이런 의식들이 위기의식 극복 운동 배경 근본주의 미국에서 반응 형태
반응 ① 세대주의적 전천년설(Premil-) 역사적 세대주의적 전천년설 개발 세대주의 달라스 신학교 휘튼 대학 세대주의적 전천년설 천년왕국 지상의 역사 유토피아 실현 예수님의 재림그래서 천년설 개혁주의 무천년설 두 개 여러 세대로 나누 하나님의 경륜의 일관성 보다는 세대별로 그것이 세대주의
이스라엘의 회복 이스라엘은 민족주의 세대주의가 이스라엘이라는 나라가 다시 일어날 것이다. 이스라엘이 중심 이런 생각 C. I. Scofield 성경 주석성경 무슨 뜻인지를 세대주의 성경 달라스 신학교에서 일원화하고 점차 퍼지게 위기의식 재림주의 Adventism에 대한 강조 안식교도 재림주의 미국 핍박 초대교회 위기의식 예수님의 재림 예수님의 재림을 보기위해서 시나리오 확대 미국 남부에서 세대주의 북부 왜 남북 북쪽 남쪽 차이 상공업 상류층 동북부 대학 지성인 미국 북부 성경 현대 문자주의적 상황을 컨텍스트 성경 남부 농장을 하는 흑ㅇ니 남부 농경적인 풍토 문자주의적인 해석 주장 강조 남부에는 장로교회 감리교회 남부에는 칠몌 단순 순수 침례교 문자주의적인 해석 노예해방 문화의 문제 하나님은 모두가 하나 노예제도 적응 제도 자체를 컨텍스트 남부 노예제도 하ㅏ님의 뜻 싸웠는데 북쪽이 이겼다. 하나님의 뜻 남부 성경무오성 논쟁 컨텍스트에 대한 고려 계시 발전적인 요소 부정 이런 배경속에서 달라스 신학교 구약의 이스라엘의 문제 구약에 있는 이스라엘의 회복 문자적으로 근본주의 세대주의적 전천년설 성경에 충실 재림신앙 보수적 하나의 영향 운동 또하나는
② Holiness Movement 성결운동 거룩한 생활 경건을 도무 성결운동 배경 경건주의 감리교회 웨슬리 신비주의적인 요소 성화 완전을 추구 메소디즘 방법주의자 감리교 교리나 원리보다는 방법 방식 강조 생활에 대한 강조 이 운동이 일어나서 도덕 성결 유럽 자유주의에 반대 현대 모더니즘 영향력 저항 성경의 규범 문화 도덕적인 이혼도 인정 한국교회 카톨릭
③ Pentecostalism 오순절 운동 성화강조 노력 신비주의적인 면 웨슬리 두 번째 은총 불세례 성결 신비주의적인 요소 전자가 후자는 성결교 순복음 교회 이런 운동
④ 성경주의 Biblicism 성경을 수호해야 모든 것이 수호된다. 이것은 자유주의 고등비평 성경 파괴 반대 오류에 반대 성경의 무오성 강조 기독교의 근본 교리 거기서 성경의 권위 아주 중요한 이슈로 대두 대표작 워필드의 성경의 영감과 권위 축자영감 영감이 오류가 없다 성경에 discrepancy는 착오 error 오류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infallibility inerrancy 어떤 것이 맞느냐 하지 워필드도 그런 입장 근본주의 성경관의 특징 원본의 무오성 중요한 요소 성경의 무오 어떤 성경 원본을 의미 사본의 무오성 현재 가지고 있는 원어 성경 문제 공중의 뜬 개혁주의 전반적인 전통 원본의 무오성 지금 현재 가지고 있는 무오성 성경이 근본적으로 역사 약간의 보완 성경도 복음 하나님의 뜻 칼빈 개혁주의 생각 워필드 원본의 무오성 주장 자유주의 공격 회피 성향 논리적으로 보다 근본적인 방어 성경 차이 이해 문제점 20세기 성경신학자 편집비평 보수적인 무기 방식 공관복음 같은 사건 예수님이 조화 소극적인 자세 성경 무오성 강조 자체 죽은 전통 인격적인 신앙이 아니라 문자를 교리 책 기록 중시 문제점 그러나 공헌이 있다면 성경에 대한 비판 수호 방어 워필드 변증학자 방어적인 것 적극적인 것 성경관 논쟁 계속 상대방 자유주의 문구 하나를 가지고 이단 도미노 근본주의적 사고방식 정죄
근본주의가 어디서 왔는가
D. L. Moody 무디 구두공 성경강해자 바이블 컨퍼런스운동 사경회를 모여가지고 성경을 강해하고 나이아가라폭포 성경사경회 무디 사경회 강사 활동 보수적인 사람들이 결속하는 계기 영국 케직사경회 기독교의 근본 교리를 지켜야 되겠다. 성경의 무오성 예수님의 처녀탄생 예수님의 신성 육체적 부활과 강림 기독교의 오대교리 이것을 지키자. Fundamentals 이 다섯가지 정한 것이다. Lymen과 Stewart 보수적인 신학자 열두권의 책 다섯권은 다섯교리에 대한 잘못된 것 비판 300만부 두 실업가 그 책의 제목이 Fundamentals 이 근본주의에는 사실 남부가 많이 근본주의 개혁주의 현대주의 단합 운동 강력히 전개 성경학교들이 시카고 L.A. 바이블 institute 사경회에서 출발 세우느냐 반지성주의 대학에 대한 불신 계몽주의 자유주의 성경대학으로 개편 college 성경 1차대전과 2차대전 독일 주범 자유주의 미국 연합군 반독일주의 무드가 미국에 신학적 사상적 철학적 전쟁 1919년 세계 근본주의 동맹 형성 영미를 중심 1924년 미국 보수적 복음주의 대학 동맹 근본주의는 경직화 사고방식 흑백논리 도미노 정죄 전개 이 자체안에서 분열 공동의 적 세대주의 개혁주의 신학 밀어내기 운동 근본주의 약화 복음주의
신정통주의(Neo-Orthodoxy)
유럽 신정통주의 운동
신정통주의 오해 한국교회 미국교회 영향 유럽 교회 상황 간접적 전달하는 사람의 의견 보수 신정통주의 편견 신정통주의를 매우 나쁘게 소개 실상 이해 지역적 편견 세계교회 이해 미국교회 유럽교회 아프리카교회 아프리카 33% 복음화 서구인 인종적 편견 우월 아프리카인 껌둥이 인종차별 아프리카교회 무시 편견 하나님 나라에서 남미인 크리스챤 아시아 동남아시아 인도네시아 인도 필리핀 크리스챤 세속적 국가 평가 민족 평가 교회 평가 GNP 편견 신정통주의 유럽 유럽교회를 미국의 근본주의자들이 해석 직접 이해하지 못해따.
근본주의 운동의 특성 나와 같지 않으면 이단 메이첸의 기독교와 현대주의라는 책 현대주의는 기독교가 아니다. 미국 장로교회 5만 분리 장로교회를 기독교회가 아니다. 그러면 미국 장로교회가 북장 남장 그 장로교회를 모두를 다 배도 정죄해 버리면 지나친 것이다. 신정통주의에 대해서도 같은 입장 반틸 메이첸은 현대주의적인 것 바르트의 사상은 기독교가 아니라 다른 종교다 신정통주의는 자유주의 이단 평가 반틸의 바르트에대한 극단적인 비판 한국 칼 바르트 이단중의 이단 기독교가 아니다 오랫동안 한국에서는 신정통주의 사실 잘 받아들여지지 않느다. 그런 교육 그러나 옳은 것이 아니다. 칼 바르트를 중심으로 한 신정통주의에 대해 윤곽 신정통주의 가 일어나게 된 배경 자유주의 미국 근본주의 문화현상 보다 신학적 자유주의에 대한 정면 독일 유럽 운동 대항하는 운동 유럽 당연한 얘기 칼 바르트(Karl Barth, 1866-1968) 19세기말 신학 자유주의 신학 아버지는 그 아들이 온건한 복음주의 신앙 자유주의 신학자 매료 그래서 베를린 마르부르크 대학에서 신학 그가 헤르만 수제자 자유주의 잡지 편집 총망되는 자유주의신학자 1907년 마르부르크 대학을 떠나게 되서 목회 첫 번째 제네바교회 부목사 임하면서 거기서 그는 자유주의 신학 설교 자리들이 관심 고민 그리고 칼빈이 활동 제네바 거기서 칼빈에 대한 관심 칼빈에 대한 연구 그런 다음에 다시 목회 기회 사펜딜 1911년 목회를 하게 되면서 스위스의 조그만 마을 산업혁명 바람 공장 교인 고용자 피고용자 장로 회사의 사장 나머지 교인 그 공장의 공원 그런 교회 목회를 하면서 막시즘 사회주의 운동 기독교 사회주의 운동 교인 사장 생활 사회주의운동 자유주의자 헤겔의 철학 사회주의 운동 빨갱이 목사 문제는 점차 교회가 비기 시작 감동 유식 자유주의 철학적배경 신학적 배경 은혜를 받지 않고 칼 바르트의 위기 회의를 느껴서 무엇인가 잘못되었다. 설교준비 고민 무엇을 설교 고민 그러나 해결책 근본적으로 잘못 그래서 친구와 함께 설교준비 스위스 산 설교에 대해서 상의 결론 신학이 잘못되었다. 성경으로 돌아가야 한다. 이런 생각이 그를 변화하게 그래서 문제가 1914년 1차세계대전 지지 성명서 명단 자유주의 신학자 나는 근본적으로 자유주의 신학이 잘못 헤겔 역사적 낙관주의 역사는 발전하는 것이다. 진화론 적자생존 여러 민족 우수한 민족 생존 세계 지배 약자는 도태 자연의 섭리 게르만 민족의 우수성 깊이 뿌리 결국 유토피아 카이저 독일이 세계를 지배 자유주의 동조 독일이 지배 이성이 지배 독일 이상주의적인 정신 시대정신 자유주의 신학자 검은날 전쟁을지지 실망 사회주의 1916년경 사회주의 잘못 인류에게 해답을 줄 수 없 설교 괴로움 그래서 그가 성경으로 돌아가야 한다. 성경속에 새로운 모든 인본주의 자유주의 사상 반대 하나님의 계시 인류가 살 수 1916년 1월 집중저으로 연구한 책 로마서 주석 신학자 폭탄 왜냐하면 강조하기를 솔라 그라티아 은총 진리는 인간의 이성 하나님의 계시 구원은 결코 주관적인 것이 아니라 객관적이다. 철저한 주석 신하계 더구나 1918년에 끝 역사는 진보하는 것이 아니라 야만적 인간의 퇴보 자유주의 고개가 하나님의 계시 인간의 이성 은혜 자기의 노력 명제 로마서 주석 자유주의 신학자 실랄한 비판 풋내기 독일의 자유주의 신학자 선전포고 젊은 유럽의 신학 정통적 칼바르트 높이 평가 서로 힘을 합쳐서 그런 운동 에밀 부르너 고가르텐 동조 신정통운동 정통을 다시 회복하자는 운동 그 당시의 리츨 여러 신학자 헤르만 교수와 절교 그 스승과도 결별 비판 학적인 근거 철학 신학의 기바 수준이 낮다 성경안에 있는 놀라운 새로운 세계 성경중심 칼빈 종교개혁적 철학에 의존하지 자유주의 신학자 수준이 낮다 심각한 비판 1922 로마서 주석 제 2판 형이 칸트 그래서 독일 칸트 플라톤 키에르케고르 연구 집중적으로 연국 도스토에프스키 2판 키에르케고르 새로운 철학 매우 철학적 2판 서문 이 책은 영혼과 시간이라는 건널 수 키에르케고르는 덴마크의 철학자 덴마크 북부 우수적 안개 맑은 날 영국 독일 열등의식 독일의 철학에 존재론적 철학 실존주의 철학 존재의 문제 신존재 보편적 존재에 대한 관심 인간 인가성 보편개념 인간은 무엇이냐 인간성이 무엇이냐 존재 나의 존재 성격 인간성의 본질 보다 보편적이고 포괄적 실존주의 철학 실존을 보편적 실존주의적인 사고 결국 실존주의 철학 하이데거 야스퍼스 무신론적 실존주의 유신론적 실존주의 키에르케고르 유신론적 실존주의 죄의 문제 고민 고통 극복 문제 키에르케고르 죄 바로 이런 사상의 영향 자유주의 철학적 기반 이념 성경적 신학 기초 철학적 키에르케고르 그래서 2판의 로마서 주석 키에르케고르의 철학에 문제 실존적 존재의 문제도 중요하게 결국 1판에서 보여준 성경적인 철학적인 사고 변질 심각한 문제 변증법적 신학 1922년부터 시작 헤겔 정반합의 원리 헤겔의 변증법 변증법 보수를 수용하는 것이다. paradoxy 역설 두 개의 명제 종합을 거부 즉 예수님 진리에는 역설 칼 바르트 역설을 많이 사용 역설이 있기 때문에 오해할 소지 변증법적 명제 성경에 있는 모순 안된다는 그것은 우리 인간 따라서 모순 가령 하나님은 한분인데 초대교회 이단 온타누스 이단 하나님 한분이시고 두 성질 그러나 두 개의 명제를 종합 종합을 거부하는 신학 그렇기 때문에 하나님과 인간을 구분 하나님의 말씀과 인간의 말 너희들의 말은 영혼과 서로 건널 수 없는 심연이 초절주의적 그래서 인간과 신은 연결 인간과 신 인간과 신 절대적 진리 자연 단절 인간 이걸 단절하고 연결은 일시적 은혜의 손길 이런 ㅅㅇ각 인간이 하나님 목적 하나도 문제 성경관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이다. is 연결 잘랐 become 살아있는 하나님의 말씀 성령의 조명 만남 살아있는 하나님의 말씀 자유주의자 반대 근본주의 성경관 잘못 성경이 하나님의 말씀 사실 성령의 조명 자유주의자 성경을 인간의 말 이런 입장을 취하게 되고 내세문제 과거로 가서 이 세상이 만들기 전과 만든 후 유럽에서 고대 그리스 신화 신이 무얼 만든다. 그러면 만든 것을 가지고 신과 인간이 연결된다. 그걸 연결하면 신과 인간이 경계가 없어진다. 연막 중간단계 창조이후부터는 역사 영혼과 역사가 만나는 지점 영지주의 신과 인간과의 서로 의사 교환 고리 100%신성 90%신성 100%인간 영지주의 철학적으로 유혹 영혼과 연결 창세기 1장,2,3장 싸가 myth신화 역사성이 없는 종교적 가치 싸가라고 하는 역사성을 부인하지 않는다. saga 그 후로 가서 이 역사가 끝난다음에 내세문제 내세를 역사적으로 설명 역사의 질적인 차이가 근본적으로 다르다 내세는 영원에 속하는 것이고 초월 의도는 자유주의 전통적인 대립되는 명체를 이런 변증법적 신학 10년동안 계속 1922-1930 많은 문제 야기 거기에 대해서 복음적 신학자 비판 두가지 이유 한가지는 철학적인 이유 변증법적인 키에르케ㅗ르 초절주의 내재를 완전히 부정 초월을 강조 비판의 이유 두 번째는 문화적인 이유 칼 바르트가 자유주의 환멸 사회주의 사회주의 전향 그래서 칼바르트는 기독교 문화운동 그래서 소위 기독교 문화 기독교 철학 누가 그런 말을 붙이라고 언제 게르만 주장 기독교 문화 실제로는 기독교 문화 기독교 사회 휴머니즘 노력인 것 종말론적 이 세계와 혼동해서는 안된다. 하나님 나라 자유주의 신약신학 하나님 나라 개념 자유주의 유토피아 이 세상에 하나님 나라를 세우자 칼 바르트 종말론적 신앙 이 세상 사고를 초절주의 사고 기독교 문화 화란 개혁교회 개혁주의자 강력한 신학 호감 화란에서 초청 국교회 자유주의 반대 자유교회 운동 자유대학교 캄벤신학교 개혁교단 보다 보수적 초청 와가지고 강연 기독교문화에대해 신랄한 비판 아브라함 카이퍼 기독교 문화 모든 것을 기독교 문화 신 칼빈주의 운동 개혁주의 화란 칼 바르트 카이퍼를 비판 이 세상에 대립 1930년대 칼 바르트 엄청난 비판이 화란신학 이 화란에 보수적인 교회들 미국 반틸 화란 신학자 신랄한 비판 1930년대 철하적인 비판 문화적인 비판들 비판들을 받아서 보수적인 신학에 영향 그것이 한국 박형룡 1935년 현대신학 칼 바르트 논하는데 정통적인 신학과 칼 바르트를 재고하지 정죄를 30년대 비판을 그대로 그 후에 여러분 변증법적 신학 이 때 그의 저작의 90%이상은 1930년대 이후 지금까지 이해하는 것은 잘못 화란의 보수적인 개혁주의 신학도 대립을 하다가 나찌상황이 왔을 때 화란도 침략 나찌에 대한 태도 다시보게 된다. 1930년대에 들어섰을 때 새로운 자유주의적인 것들 첫 번째 부딪힌 것은 에밀 부루너와의 충돌 동지 자유주의신학에 반대 에밀 부루너 자연신학에 기울었다. 독일의 히틀러 나찌 지배 자연신학을 강조하는 일단의 사람들이 동조 히틀러를 제 2의 메시야 아리안 기독교 히틀러 제2의 복음 문선명 메시야 히틀러 그런식 소위 자연신학 다른 계시 인정 칼 바르트는 죽은 자유주의의 망령이 다시 살 히틀러 반대 대학의 교수 본 대학 히틀러 충성서약 칼 바르트 거절 칼 바르트 개혁주의자 바르멘 선언 우리는 성경외 다른 계시를 믿지 않는다 6항 바르멘 선언 히틀러 나찌 반대 그러자 여기에 동조했던 칼바르트 바젤대학 조직신학교수 그 후에 1935년 10년동안 반 나찌 신학의 대표자 왜 히틀러 나찌 거부하는 것이 바로 사단의 세력과 무수한 글 유럽에 있는 교회 미국에 가서도 운동 방송 팜플렛 신학적 기반 2차대전 연합군 훈장 1930년대 부터의 적극적 화란의 보수적인 개혁 칼 바르트 그때부터 칼 바르트 신학 수용 세계로 퍼져 다시 수정 일반계시 논쟁 에밀 부르너 역사적 계시 인물을 통해 계시 히틀러 신학적 기반 “Nein!” 특별계시외 일반계시 그 후에 나찌가 일반계시를 인정 여기에서 에밀 부르너 존재의 반대 그래서 나찌 문제 칼 바르트 신학적인 명제로서 1계명 나 여호와 이외에는 명제 자연계시에 근거해서는 안되고 인격적인 신앙 신학의 기초 일반계시 논쟁 에밀 부르너 원수 에밀 부루너 동정녀 반대 부정 기독교신앙 논쟁 에밀 불트만과 결별 불트만(Rudolf Bultmann) 하이데거 철학 실존적인 것이다. 믿음 부활의 신앙 파워풀 가지면 어떤 위기 용기 부활의 신앙 정말 역사성에 대해서 초월적인 것들 신화인 것이다. 배우면 좋다. 교훈성만 있다. 동정녀 부활 창조 신화다. 현대인들이 이해할 수 있는 과학적인 용어 불트만 루돌프 불트만 칼 바르트 논쟁 비신화화 논쟁 기독교 신앙이 없는 것이다. 고전 15장 역사성에 대한 강조 이런 루돌프 불트만과도 논쟁 폴 틸리히 (Paul Tillieh) 신이라는 철학적 신학 신자와 불신자 철학적 불신자 폴 틸리히 실존 철학적 바로 이런 칼 바르트 서로 결별 신정통주의 역사는 공동의 목적 서로 개발과정에서 산산조각 1930년대부터 기독론적 신학의 시대 그가 1930년대 심각한 변화 그는 얘기하기를 키에르케고르 돌이키고 최대한 철학 실존주의 철학 반대 실존주의 철학 적그리스도의 궤계다 성경적으로 성경만이 기반 한가지 변화 기독론적 집중 그래서 모든 성경은 그리스도 증거 그리스도 중심의 신학 그리스도를 연결 그리스도가 빠진 신학 여기에서 중요한 저작 Kirchliche Dogmatih 교회 교의학 1932-1968년까지 쓴 책 1927년에 Christliche Dogmatih 그가 이것을 1930년대에 생각이 바뀐다. 1권을 쓴 다음에 Christliche Dogmatih 폐기처분하고 교회 교의학 신학은 교회의 상아탑에서 교회의 신학 교회의 기능으로서의 신학 Kirchliche Dogmatih 하나님의 말씀에는 세가지 형태 계시 계시를 기록한 성경 설교 하나님의 말씀 자체가 그것이 하나님의 말씀이 된다. 설교학 기초 설교를 높이 평가 고민 조직신학 설교의 연속 조직신학 부록 설교자 여기서 교회교의학 조직신학 가장 방대한 책 14권 이 책에서 칼 바르트는 칼빈의 신학 400여년 이상의 신학 칼빈주의 신학 재정립 총망라 집대성 칼빈주의 신학 450년사의 집대성 완성하지 못하고 죽었다. 크게 1-5권에서 5권이 종말론 못쓰고 죽었다. 4권이 구원론 죄론 교회론인데 거기까지 쓰고 기독론적 신학 변증법적 신학과는 성경관 단절 창세기 문제 그 후에 내세관의 문제 너무 잘못 실존주의 철학 감사를 표한다. 삼위일체론 양태론 그런 인상 입장 양태론 반대 오해 1권에서 삼위일체론을 삼위를 3퍼슨스 Seinsmeise 쓰리퍼슨스 네이춰를 오해 지금 현대의 심리학을 통해서 오해 다른 단어 Seinsmeise 이것을 영어로 번역할 때 특별히 번역 존재의 모든 양태. 양태론자 오해 해명 그리고 그가 토렌스 에딘버러 신학자 칼 바르트 당신이 부활을 부인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는데 칼 바르트는 일생동안 외로운 삶을 살았다 성경적인 신학 나름대로 어떤 것과 타협 오해 여기에서 전반기 신학 후회했던 구분 전기 바르트 후기 바르트 구분 내 논문 구별할 줄 모르면 바르트를 전혀 이해하지 잘못된 주장 지금 칼 바르트 박형룡 그 다음에 바르트를 보지 않았다. 최대의 조직신학 한국 변증법적 신학 90년대에 와서까지 칼 바르트 사회주의 운동
'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통주의 신학이란 무엇인가 (0) | 2021.09.13 |
---|---|
생명의 복음을 구현하는 교회 개혁주의 생명신학의 이해 (0) | 2021.09.13 |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의 구원관과 한국 현대신학의 구원관 비교 (0) | 2021.09.13 |
웨슬레, 칼빈, 루터의 구원관 비교 (0) | 2021.09.13 |
루터와 칼빈의 신학 (0) | 2021.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