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브리어 원어로 보는 '사랑 ' 의 파노라마
히브리어 성경에서 사랑이라는 단어는 단순하지 않음을 본다. 그런가 하면 한글 성경들이 비슷한 단어들로 열거하여 그 의미가 퇴색되고 있음을 본다. 다음은 히브리어 '헤세드'가 어떻게 번역되었는가에 대한 검색 내용이다.
1. 개역개정(1998. 10)의 번역
인애, 인자, 인자하심, 은혜, 은총, 후대, 선한 일, 선대, 긍휼, 자비, 불쌍히 여김, 진실한, 사랑, 동정, 한결 같은 사랑, 아름다움, 우의 (17개) 개역개정은 개역한글과 비교하여 15군데의 교정 외에는 변동이 없다.
2. 표준새번역(1993. 10)의 번역
은혜, 은총, 친절, 인애, 사랑, 한결 같은 사랑, 변함없는 사랑, 첫사랑, 총애, 자비, 충성, 잘 보살핌, 우정, 갸륵한 마음씨, 의리, 인정이 많은, 성실, 필요, 미쁘심, 인자, 인자하심, 자비하심, 상냥함, 신의, 경건한, 관용 (26개)
3. 킹제임스(1994. 4)의 번역
은혜, 친절, 호의, 자비, 자비하심, 자애, 자애하심, 선, 선함, 선대, 은총, 인자하심, 선한 행위, 동전, 선하심, 자비로우심, 상냥함 (17개)
4. 쉬운성경(2001. 10)의 번역
자비, 자비로움, 자비와 은총, 인애, 인자, 나를 위하는 길, 친절, 은혜, 사랑, 변치 않는 사랑, 크신 사랑, 한결 같은 사랑, 진실한 사랑, 변함없는 사랑, 효도할 마음, 잘 돌보아 주심, 진실, 성실함, 신실함, 도움, 충성, 잘해 줌, 좋은 일, 동정, 아름다움, 복, 경건한 (27개)
5. 우리말성경(2004. 12)번역
자비, 자비하심, 자비가 넘침, 변함없는 자비, 인자, 인자하심, 친절, 잘해 줌, 신실함, 호의, 은혜, 은총, 긍휼, 사랑, 선함, 신실하신 사랑, 변함없는 사랑, 한결 같은 사랑, 큰사랑, 아름다운 마음씨, 아름다움, 충성, 헌신, 특별한 대우, 동정심, 가엾게 보심, 가엾게 여기는 마음, 돌보시는 마음, 성실함, 따뜻한 (30개) 히브리어직역구약성경(2006. 3): 인애, 인애하심(2개) 처음 괄호는 발간 년도이며 마지막 괄호는 단어의 개수다.
이에 대하여 허성갑 목사님은 "헤세드란 단어가 과연 이렇게 다양하게 번역된 것이 타당한 것인가?" 문제가 있다고 본 것이다. 이에 대하여 필자도 공감하면서 필자는 성경을 통하여 하나님의 사랑을 목회학적인 측면에서 다양하게 설명해 보려고 한다.
첫째, 하나님의 부성적 사랑 '헤세드'(인애)
구약성경에서 '헤세드'는 모두 '인애'로 12번 번역되었다. 그것을 내용별로 보기로 하자.
1) 야곱은 요셉에게 죽음을 앞에 놓고 나를 '인애(헤세드)'로 대접하여 애굽에 장사하지 말고 조상의 선영에 장사해 달라고 부탁한다(창 47:29).
2) 모세를 통해 하나님의 말씀이 전해진다. 하나님은 신실하시기 때문에 하나님을 사랑하고 그 계명을 지키는 자에게는 천대까지 그 언약을 이행하시며 '인애(헤세드)'를 베푸신다고 하셨다(신 7:7, 12)
3) 보아스가 룻에게 한 말이다. "너의 베푼 '인애(헤세트)'가 처음보다 나중이 더하도다"(룻 3:10). 룻은 기업 무를 자 곧 대를 이을 자를 찾고 있었다. 결국 룻은 보아스를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조상이 된다.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 아버지의 부성애를 통해 인류를 구원한다.
이 밖에도 "여호와는 인애(렘 9:24), "나는 인애를 원한다"(호 6:6; 12:6), 인애가 크신 하나님(욜 2:1), 인애를 기뻐하시는 주님(미 7:18, 20) 등등으로 하나님의 부성애를 묘사하고 있다.
둘째, 하나님의 모성적 사랑 '라하밈'(자비)
우선 '라하밈'의 어원이 '레헴(자궁)'이라는 점이다. 이는 '라하밈'이 모성애로서 긍휼, 동정, 불쌍히 여김 등의 상응어로 번역된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단어 자체가 본성적인 모성애를 표현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다.
1) 출애굽한 이스라엘 백성에게 정복하는 땅의 탈취물 전부를 불사르라고 하신다. 그러면 긍휼히 여기시고 '자비(라하밈)'를 베푸신다고 약속하신다(신 13:17).
2) "주의 많은 '자비(라하밈)'를 쫓아내 죄과를 도말하소서"(시 50:1) 라는 다윗의 시다. 감싸시는 모성애로 죄과를 없애 달라는 소원의 기도다.
3. "우리 하나님은 '자비(라함)'하시도다(시 116:5)." 4절에서 "내 생명을 구원하소서" 하는 호소에서 나온 고백이다.
이 밖에도 출 34:6, 신 43:1, 대하 30:9, 시 78:38, 시 103:8, 시 111:4 등등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셋째, 하나님의 구속사적 사랑 '아하바'(사랑)
'아하바'는 하나님의 영원하고 불변하며 완전하신 사랑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하나님의 사랑은 우리를 구속함에 있어서 흔들림이 없는 창세전에 예정하시고 선택하시며 성취하시는 사랑인 것이다.
1) 간음한 여인 고멜을 사랑한 호세아의 사랑은 하나님의 고속사적 사랑을 예표한다.
"여호와께서 내게 이르시되 이스라엘 자손이 다른 신을 섬기고 건포도 떡을 즐길지라도 여호와가 저희를 사랑하나니 너는 또 가서 타인에게 연애를 받아 음부 된 그 여인을 '사랑(아하바)하라" (호 3:1).
이스라엘이 다른 신을 섬길 때는 이웃 나라의 전갈의 매와 질병과 고난의 채찍으로 징계를 하시며 돌아서게 하셨다. 이것은 언약을 따라 택한 백성을 끝까지 놓치지 아니하시고 사랑하시며 보살피시는 하나님의 사랑을 보여 주신 것이다.
2) 구약 '아하바'는 신약 '아가페'로 대체(代替)하셨다.
아가페는 로마서 5장 6, 7, 8에서 더욱더 확증된다.
"6우리가 아직 연약할 때에 기약대로 그리스도께서 경건치 않은 자를 위하여 죽으셨도다 7의인을 위하여 죽는 자가 쉽지 않고 선인을 위하여 용감히 죽는 자가 혹 있거니와 8우리가 아직 죄인 되었을 때에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심으로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대한 자기의 사랑을 확증하셨느니라(롬 5:6~8)."
3) '아하바'나 '아가페'는 하나님의 사랑의 반영으로서의 여러 가지로 사용되었다.
요나단의 다윗을 향한 사랑(삼상 18:3, 20:17), 헌신의 덕목으로서의 사랑(사랑의 수고, 살전 1:3), 그리스도인의 덕목으로서의 사랑(딤전 4:12), 성령의 열매로서의 사랑(갈 5:22), 연합과 충성으로서의 사랑(첫사랑, 계 2:4).
넷째, 하나님의 값없이 주는 사랑 '헨(은혜)'
1) "노아는 여호와께 은혜(헨)를 입었더라(창 6:8; 18:3)."
2) "나를 사랑하고 내 계명을 지키는 자에게는 천대까지 '은혜(헨)'를 베푸느니라(창 20:6)."
3) "너희는 귀를 기울이고 내게 나아와 들으라. 그리하면 너희 영혼이 살리라. 내가 너희에게 영원한 언약을 세우리니 곧 다윗에게 허락한 확실한 '은혜(카리스)'니라(사 55:3)."
4) 구약 '헨'은 신약 '카리스'로 대체(代替)되었다.
(1) "'은혜(카리스)'와 진리는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온 것이라(요 1:17)."
(2)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구속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은혜(카리스)'로 값없이 의롭다 하심을 얻은 자 되었느니라(롬 3:24)."
(3) "모든 사람에게 구원을 주시는 하나님의 '은혜(카리스')가 나타나(딛 2:11)."
이상과 같이 하나님의 사랑의 종류를 열거해 보았다. 이러한 여러 가지 측면에서 본 하나님의 사랑은 성경을 가르치거나 말씀을 전달하실 때 심도 있는 의미를 전달하게 될 것이라고 본다.
'성경 용어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급(賞給)에 대한 이해 (0) | 2021.09.08 |
---|---|
네 가지 사랑 (0) | 2021.09.08 |
성경이 증거하는 세 종류의 사랑에 담겨있는 신학적 의미 (0) | 2021.09.08 |
반드시 알아야할 교회 용어사용 (0) | 2021.09.07 |
카이로스와 크로노스 (0) | 2021.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