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도학(Prayerology)이 필요한가?
실천신학의 과목으로 기도학 있어야
1) 기도교육의 중요성
누가복음21:36을 보면 예수께서 제자들에게 이르시되“이러므로 장차 올 이 모든 일을 능히 피하고 인자 앞에서 항상 기도하며 깨어 있으라”고 하셨고, 베드로전서 4:7을 보면 베드로는“만물의 마지막이 가까웠으니 그러므로 너희는 정신을 차리고 근신하여 기도하라”고 하였다. 또한 바울은 에베소서 6:18에서“모든 기도와 간구로 하되 무시로 성령안에서 기도하고 이를 위하여 깨어 구하기를 항상 힘쓰며 여러 성도를 위하여 구하라”고 했으며, 데살로니가 전서 5:17에서는“쉬지말고 기도하라”고 말씀하고 있다. 또한 사도행전 6:4에서“우리는 기도하는 것과 말씀 전하는 것을 전무하리라”고 초대교회 당시 사도들은“기도하는 것을 전무하리라”고 말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예수 그리스도는 물론 베드로와 바울 등 사도들과 예수의 제자들은 모두 기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성도들은 누구나 늘 깨어서 하나님 아버지께 기도를 드려야 하는 것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뜻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절실하고도 중요한 기도를 성경적으로 그리고 체계적으로 바른 기도를 교육시켜 주는 곳이 없다. 따라서 성경적 바른 기도를 배우지 못할 때에 바리새인들과 같이 외식하는 기도나 이방인들과 같이 중언부언하는 잘못된 기도를 드리게 되며, 결국 비 성경적 기도인 자기 중심적인 기복적 기도, 무속적 기도, 이단적 기도가 교회 안에까지 들어와서 교회의 건전한 성장을 막고 있는 사례를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성경적으로 그리고 체계적으로 바른 기도를 교육받고, 교육시키기 위해서는 실천신학의 한 분야로서 기도학이 연구되어져야 한다.
2) 예수님의 기도 교육
누가복음 11:1을 보면“예수께서는 한 곳에서 기도하고 마치시매 제자 중 하나가 여짜오되 , 주여 요한이 자기 제자에게 기도를 가르친 것과 같이 우리에게도 기도를 가르쳐 주옵소서”하신 말씀이 있다.
이에 예수께서는 제자들에게“너희는 기도 할 때에 이렇게 기도하라”고 말씀하시고 주기도문을 가르치셨다.
또한 예수께서는 공생애를 시작하시기 전에 40일 동안 금식 기도를 하심으로 그의 공생애를 시작하셨고(눅4:1-2), 공생애 3년 동안에는 새벽기도(막1:35), 산기도(마14:23), 철야기도(눅6:12-13), 한적한 곳에서 기도(눅5:16)하셨으며, 그는 육신으로 계실 때에 자기를 죽음에서 능히 구원하실 이에게 심한 통곡과 눈물로 간구와 소원을 올렸으며(히5:7), 십자가를 지시기 전날 밤에는 겟세마네 동산에서 땀방울이 핏방울같이 되기까지 기도하셨고(눅22:44), 십자가 위에서 말씀하신 일곱 마디 말씀 가운데 세 번하신 말씀이 기도였다.
첫 번째 기도는 자신을 십자가에 못박은 죄인들을 용서해 달라고 하나님께 간구하신 중보기도였고(눅23:24), 두 번째 기도는 엘리 엘리 라마 사박다니(마27:46)하시는 예수 그리스도의 메시야적 기도(시22:1)였으며, 세 번째 기도는 아버지여 내 영혼을 아버지 손에 부탁하나이다(눅23:46)하시고 운명하신 온전한 기도의 사람이셨다.
그는 기도로 공생애를 시작하셔서 기도로 공생애를 사시고 기도로 공생애를 마치신 온전한 기도의 사람이셨다.
또한 십자가를 지신 후 부활, 승천하셔서 하나님 아버지 우편에 계신 예수님은 지금도 우리를 위하여 중보기도하고 계신 분이시다(롬8:34). 이와 같이 예수께 있어서 기도는 그의 삶의 중요한 한 부분이었으며 그는 그를 따르는 제자들에게 온 생애를 통하여 삶으로 기도를 교육하신“모범으로서의 기도교사”이셨고, 우리에게 기도가 절대로 필요함을 아시고 기도하라고 명령하신 “주님으로서의 기도교사”이셨으며, 우리에게 구체적으로 기도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신“선생으로서의 기도교사”이셨다.
기도학(Prayerology)의 정의
1) 기도가 과연 독립된 한 분야의‘기도학’(Prayerology)으로 연구될 수 있는가?
기도는 신학의 네 분야인 주경신학(Exegetical Theology), 역사신학(Historical Theology), 조직신학(Systematic Theology), 실천신학(Practical Theology)중에서 실천 신학의 한 분야로 연구되어져야 한다. 현재 예배, 설교, 전도, 상담, 교회성장 등도 독립된 한 분야로 연구되어 예배학, 설교학, 전도학, 상담학, 교회성장학등 실천 신학의 한 분야로 연구되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기도’도 실천 신학의 한 분야로‘기도학’(Prayerology)으로 연구되어져야 한다.
‘기도학’(Prayerology)은 실천 신학의 한 분야로서 성경 전체를 통하여 구약에서는 하나님께 선택받은 사람과 하나님 사이에서의 하나님의 자기 계시와 은혜, 그리고 인간의 하나님께 대한 경외와 순종과 예배의 관계로서, 신약에서는 예수님의 공생애를 통한 기도의 모범과 명령과 가르침에서,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은 제자들의 하나님과의 관계로서 연구되는 학문이다.”
2) ‘기도학’(Prayerology)에서는 무엇을 연구할 것인가?
(1) 성경에 나오는 모든 기도를 연구하여야 한다.
▷ 예수님의 공생애를 통한 기도생활 연구 ▷ 예수님의 기도명령, 기도방법 및 주기도문등 예수님의 기도교육 연구 ▷ 제자들의 기도생활 연구와 특히 바울의 기도 연구 ▷신구약 성경에 나오는 하나님의 종들의 기도를 연구하며, 시편의 기도 연구.
(2) 기도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겸하여 연구하여야 한다.
▷ 기도란 무엇인가? 등 기도의 정의연구
▷ 기도의 방법과 내용, 목적과 원칙 연구
▷ 기도의 중요성 고찰
▷ Q.T.의 이론과 실제 연구
▷ 성경적 기도의 응답과 무응답에 관한 연구
▷ 성경적 새벽기도, 철야기도 연구
▷ 성경적 금식기도, 방언기도, 신유기도, 안수기도, 예언기도 연구
▷ 언제, 어디서 기도할 것인가?
▷ 기도의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
를 연구한다.
기도교육을 위한 제언
기도는 입으로만 유창하게 잘하는 사람보다 참으로 모세, 다윗, 바울과 같이 하나님과 교통하는 기도의 사람이 되어야 할줄 안다.
그러기 위해서는 성경적 바른 기도를 신학대학에서 실천 신학의 한 과목으로‘이론과 실제’를 겸한 기도교육과 기도 훈련을 통하여 신학대학에서부터 성경적 바른 기도를 체계적으로 가르침으로 바른 기도를 사는 목회자를 양성할 때에 온 교회가 성경적으로 바른 기도를 하는 성숙한 교회가 될 줄 안다.
따라서 각 신학대학에서 실천신학의 한 분야로 기도학을 강의 할 것을 제언하며, 또한 각 교회에서는 일정 기간을 정하여 전 교인에게 성경적 바른 기도교육을 실시할 것을 제언한다.
김정복 목사 W.M.C. 기도학교 대표
'기도!! 기도문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대교회가 기도했던 34가지 기도제목 (0) | 2020.08.09 |
---|---|
기도학(Prayerology)이 필요한가? (0) | 2020.08.09 |
대표기도의 이해 대표 기도란 무엇인가? (0) | 2020.08.06 |
기도학(Prayerology)이 필요한가? (0) | 2020.08.06 |
안수의 5가지 용도 (0) | 2020.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