老年期 걷기의 즐거움과 영향
당신의 노년기(老年期)는 안녕(安寧)하신가요?
노년기에 무엇이 가장 중요(重要)한지 알겠나?
그것은 건강(健康)하게 살다가 잘 죽는 것(well dying)이 아닐까?
친구(親舊)들이 하나 둘씩 세상(世上)을 떠나면서
내 자신(自身)의 죽음의 그림자가 어른거림을 부인(否認) 할 수가 없다.
내 이웃은 점점 없어지고 내 친구들도 사라지고 있으니 삶 자체가 허무(虛無)해지는 것이 노년기다.
아무리 가는 세월(歲月) 잡으려 해도 모래알처럼 손가락 사이로 빠져나가는 것이 세월이다.
세월이 흐르면서 비천(卑賤)한 몸이 되어 감은 물론(勿論)이다.
죽음의 공포(恐怖:thanatophobia)는 누구에게나 다 있는 법이다.
샘물이 자연(自然)스럽게 흘러가며 넓은 바다에 내려가듯이 노년기는 잠재(潛在)된
욕망(慾望), 불만(不滿), 편견(偏見)을 내려놓고 자연 속에 묻고 사는 것이다.
오스트리아 정신 의학자(精神醫學者) ‘알프레드 아들러(Adler, 1870-1937)’의
생로병사심리학(生老病死心理學)에서 말하는 “늙어갈 용기(勇氣)”가 필요(必要)할 때다.
그것은 무엇보다 건강한 삶이다.
노년기 건강을 지키는 최고(最高)의 무기(武器)는 걷기다.
걷기는 시간(時間)과 공간(空間)의 제한(制限)을 받지않고 자유(自由)롭게 걸을 수 있고
또 효과적(效果的)인 운동(運動)이다.
게다가 걷는 것은 건강을 지키는 것이지만 나를 더 낮추고,
비우고 그리고 내 몸과 마음이 어떠한지를 알고자 함이다.
걸을 때는 생각도 자유로워지게 마련이다.
그러면 한 가지 질문부터 시작 해보자. 당신이 지금 70대라고 하자.
그렇다면 당신은 앞으로 10년 후에 어떤 삶을 살고 싶은가?
물론 당신은 어떤 대답을 할지 망서려 질것이다.
답이 어렵겠지만 자기 자신을 객관적으로 봐야 한다.
우리는 지금 100세 시대에 살고 있기에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뜻이다.(중략)
첫째, 걷기를 시작하면 인생이 변한다.
걷기는 도피, 무작정 걷기, 치유, 그로 인한 삶의 변화이다.
자연과 소통을 자극하고 자기 성찰의 기회를 준다.
늙은 남자의 걷기, 삶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침체된 분위기를 좀 더 좋게 만들어 준다.
자신의 과거와 화해하고 자신에 대해 초연해 진다.
걸으며 나를 찾아 가는 일은 모든 사람에게 부여된 의무요 소망이다.
둘째, 걷기는 건강한 노화를 만들어가는 수단이다.
요새는 단순한 성공적노화(sucessful aging) 혹은 항노화(anti-aging) 보다는‘건강한 노화’ (healthy aging),
즉 건강한 노년을 더 강조한다.
안티에이징에서 강조되는 각자의 ‘건강한 기대수명’(healthy life expectance)과 같은 개념이다.
평균수명이 길어지더라도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해 활동하지 못한다면 결코 행복한 노년생활이 될 수 없다. 일상생활에서 걷지 못하고 누워 있는 고통, 즉 와상(臥床)상태에서 보낼 때 그 고통은 이루 말 할 수 없을 것이다.
셋째, 걷는 행위는 단순히 여기저기를 이동하는 것만이 아니라 자유의 원천이 된다.
걷기는 고갈된 정신적 자원(mental resources)을 채우는 순간이다.
걷기와 관련해 《걷기의 철학》(고아침 역, 2007)을 쓴 ‘크리스토프 라무르(Lamoure)’는
“우리의 첫 번째 스승은 우리의 발이다”라고 했다.
걷기와 생각은 늘 같이 작용한다는 뜻이다. 걸으면서 내가 누구인지 감각의 흐름을 느끼게 되고, 걷는공간은
창의성, 유연성, 각종 이벤트가 열리는 장소다. 걸어가서 만나는 자연을 통해 내면성을 맛 볼 수 있다.
자연 속을 걸으며 명상하고 치유 받는 것을 그린 사워(green shower)라고 하지 않는가?
넷째, 흘러가는 시간 속에서 희망, 꿈, 즐거움을 다시 확인하고 리셋할 수 있다.
물론 인생을 살면서 한 번도 절망 하지 않은 사람이 어디 있으랴.
걷는다고 슬픔과 외로움을 모두 진정시키지 못한다.
다시 일어설 힘의 원천도 되지 못한다.
그러나 천천히 걸어보라.
걷고 싶은 길을 택해 걸을 때 즐거움은 배가 된다.
걸으면 ‘생각 되새김’(rumination)이 일어나게 마련이다.
흙탕물이 흐른 후 맑은 샘물이 흐르듯 회복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걷기는 생리적, 영적인 세계로 나가는 행동이다.
영혼이 맑아진다. 조용히 죽음의 문제도 영혼의 안식도 떠오른다.
삶의 무게를 떨어내고 새 힘을 얻는다.
그런 점에서 상실의 마음을 달래는 것이 걷기다.
걷기는 종교와 같다.
햇볕과 비바람, 푸른 바다를 만나는 만큼 머리가 개운해지고 땀방울이 흐르는 만큼 마음 속 찌꺼기가 날아간다. 모든 욕구가 자연의 양식을 따르고 싶어지게 마련이다.
'유익한 글! 명언! 단문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부(夫婦)의 의미 (0) | 2020.07.04 |
---|---|
입의 30초가 가슴의 30년이 된다 (0) | 2020.07.04 |
사람을 보는 아홉가지 智慧 (0) | 2020.07.04 |
노년의 바람직한 심안(心眼)과 영안(靈眼) (0) | 2020.07.04 |
오계(五計) 와 오멸(五滅) (0) | 2020.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