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결혼식과 배경들
우리나라 사람들은 예전에 결혼하지 않은 남자는 아무것도 아니라는 의미에서 '떠꺼머리총각'이라고 불렀다. 한국에서 결혼은 어른 세계로 진입하는 관문이며, 사회적 명망과 지위를 향한 하나의 중요한 도약이다. 우리나라 전통 혼례식에서는 혼인 전날 밤, 혼서와 채단을 함에 넣어 신부집으로 보내는 절차가 있었다. 요즘도 신랑 친구가 예단 넣은 함을 신부집으로 지고 가는 풍습이 있다. 옛날에는 함이 신부집에 도착하면 복많은 어른이 함 속을 더듬어 채단을 꺼냈는데 파랑이면 첫아들을, 빨강이면 첫딸을 낳는다고 믿었다.
이스라엘 결혼식은 사막지역이기 때문에 낮에는 뜨거워서 공식적으로 하지 못하고 해가 지고 시원해지는 밤부터 시작을한다.여기서 우리와 다른 결혼풍습이 생겨나게 되었고 현대에 결혼식에 촟불을 켜는 풍습이 이때부터 생겨나게 되었다.이스라엘 결혼식은 신랑과 신부에게 주어지는 축복문(창24,60 참조)을 제외하면 비종교적 행사라고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스라엘 사람들은 시간이 흐르면서 순수 민간행사였던 결혼을 하나님 언약과 연결시켜 결혼에 종교적 의미를 부여했다. 그래서 잠언은 결혼을 '하나님 앞에서 맺은 약조'(잠언 2,17 참조)라고 했다. 이후 이스라엘 결혼식에는 결혼 계약문을 만들고 신랑 신부가 그것을 서약하는 절차가 혼인예식에 포함됐다. 이런 절차는 오늘날 유다인 결혼식에도 여전히 존재한다.
잔치자리에서 제공하는 예복을 안입는 것은 주인에 대하여 결례이다. 결혼식 날 신부는 실제로 아름다운 여왕처럼 몸치장을 했다. 신부는 목욕을 하고 가족이나 이웃에게서 보석을 빌려 한껏 멋내 머리를 장식했다.
그리고 신부는 베일로 얼굴을 가렸는데, 이 베일은 결혼식을 올리는 장내에 들어갈 때까지 벗을 수 없었다. 전통적으로 신부 베일은 겸손과 존경과 순결의 상징이었다. 베일은 참석한 사람들에게 신랑 신부가 결혼서약을 하고 결혼이 공식적으로 인정된 후에만 결혼생활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상기시켜 주었다. 그래서 두 사람이 결혼서약을 하고 남편과 아내가 됐음을 선언받은 후에야 베일을 걷을 수 있었다.
③ 혼인잔치 배경
이 혼인잔치는 초대받은 사람들이 참석해서 신랑 신부를 축하하는 행사였다. 여기에 참석한 이들이 공식적으로 혼인 증인 역할을 했다. 예정보다 더 길어진 결혼식에 포도주가 떨어졌을때, 예수님이 물을 포도주로 바꾸는 기적을 행한 장소도 가나지방의 혼인잔치에서였다(요 2,1-12).
결혼행렬은 신부집에서 신랑과 신부, 두 사람이 살 새 집으로 향하게 된다. 새 집에 도착한 신랑 신부는 작은 천막 모양의 차양 밑으로 들어간다. 이 차양은 이스라엘 유목민 장막과 신랑 신부가 함께 살게 될 새 보금자리를 상징하는 것이었다. 여기에서 그들은 주로 먹고 마시는 일로 이루어지는 결혼잔치를 주관했다.
④ 끝맺음
복음서에 열처녀가 전부 신부라고 설교하는 목회자도 보았다. 열처녀는 등불을 밝혀서 신랑이올때 혼인자리로 인도하는 역할을 하는이다. 성도들은 오실 예수님을 기다리며 그밤에 언제오실찌 모르는 신랑을 기다리는 등불잡이가 되야 하겠다. 예복이 성도의 행실이라고 설교하면 안된다. 예복은 주님이 주시는 것이다. 그것은 은혜이며 구원이다. 우리의 의가 아니고 하나님 의가 예복이다. |
'성경 해석! 배경! 성경 개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히브리인 (0) | 2020.03.31 |
---|---|
유대인의 구분 (0) | 2020.03.31 |
이스라엘 결혼 풍습 (0) | 2020.03.31 |
성경에 나오는 유대풍습과 그 의미 (0) | 2020.03.31 |
성경속 유대(이스라엘)문화 (0) | 2020.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