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배경사! 형성사!!

정경의 다른 형태

하나님아들 2020. 2. 11. 16:04

정경의 다른 형태들

 

 


1) 사마리아 공동체의 중심지는 어디이며, 그들의 정경은 몇 권인가?
사마리아인들의 공동체를 세겜 근처 게리심산 위에 예배.제의의 중심지를 가지고 형성하였으며, 그들의 정경은 단지 토라(=율법)의 다섯권만 가지고 있다.

 

2) 카톨릭 교회는 정경을 위해 어느 역본을 따랐는가?
카톨릭 교회는 72인역을 따랐다.

 

3) 불가타는 언제 어디에서 공인되었는가?
1546년 트리엔트 종교회의(1545-53)에서 불가타(Vulgata, 라틴어 역본)가 정경으로 공인되었으며, 72인역의 편찬이 최종적으로 인정되었다.

 

4) 개신교는 어느 정경에 연결되었는가?
개신교(die evangelische Kirche)는 히브리어 정경에 좀 더 밀접하게 연결되었다.

 

5) 개신교는 제 2의 정경, 외경을 어떻게 대하는가? 우리 개역 성경에 그런 외경이 있는가?
제2의 정경들을 보잘 것 없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제2의 정경서들에 대한 혐오감을 더욱 많이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6) 공동 번역에 외경이 있는 이유를 말해보시오(힌트: "70인역"을 찾아 그 안에 어떤 책들이 있는지 조사하고 답하시오)
가톨릭이 72인역을 정경으로 삼음

 

'성경 배경사! 형성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의 형성사 박창완 교수  (0) 2020.02.11
성경의 형성사  (0) 2020.02.11
히브리 성경의 최종형성  (0) 2020.02.11
성경의 두 흐름 : 보존 vs. 변개  (0) 2020.02.03
정경(正經)의 표준  (0) 2020.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