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경의 다른 형태들
2) 카톨릭 교회는 정경을 위해 어느 역본을 따랐는가?
3) 불가타는 언제 어디에서 공인되었는가?
4) 개신교는 어느 정경에 연결되었는가?
5) 개신교는 제 2의 정경, 외경을 어떻게 대하는가? 우리 개역 성경에 그런 외경이 있는가?
6) 공동 번역에 외경이 있는 이유를 말해보시오(힌트: "70인역"을 찾아 그 안에 어떤 책들이 있는지 조사하고 답하시오) |
'성경 배경사! 형성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의 형성사 박창완 교수 (0) | 2020.02.11 |
---|---|
성경의 형성사 (0) | 2020.02.11 |
히브리 성경의 최종형성 (0) | 2020.02.11 |
성경의 두 흐름 : 보존 vs. 변개 (0) | 2020.02.03 |
정경(正經)의 표준 (0) | 2020.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