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신학!! 구약개론!!

[스크랩] 구약이해 자료들

하나님아들 2018. 9. 2. 23:38
구약이해 자료들

 

 

 


성경의 중심 레위기(율법) - 옛 언약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
언약을 맺은 분(주체)이 어떤 분이냐?
근원까지 소급해 올라감
거룩한 언약을 맺게 된 과정을 역사적으로 기술한 것
율법
레위기대로 훈련한 책
광야에서 시험
레위기의 해석설교
-모압평지(졸업식)
여호수아
역사서(12)
시가서
예언서
가나안(약속의
땅 차지
언약 실천 여부 기록
-복과 저주의 기록
언약대로 살아서 은헤와 복 받은 자들의 노래.지혜
언약 위반에 대한 저주를 앞장서서 말하는 자 책망하기 위해서

 
 
1). 시리아이라크와 이란 지역에 대한 용어
(1) 메소포타미아(meso+potamia)- 24:10 
(2) 밧단 아람 (Paddan Aram) - 25:20 
(3) 아람 (Aram)- 31:20,24
(4) 아랍 (Arab)--삼하 23:35-몇몇 사본은 아르키(יבראה-יכראה)로 수정한다
(5) 시날 땅- 10:10
 
2). 위의 지역에 나타났던 나라들과 왕들의 이름
(1) 아카드(Akkad)-10:10--사르곤 왕 (20:1) 
(2) 앗수르(Assyria)-10:11 -산헤립 왕(왕하18:13)
(3) 바벨론(Babylonia)-10:10-함무라비 왕(14:1) 
(4) 갈대아(카슈드)- 11:31-느부갓네살왕(왕하 24:1) 
(5) 바사 (Persia)--대하36:20--고레스 왕
 
2). 애굽지역에 대한 이름들
(1) 애굽(埃及-중국역
(2) 애굽-한글역 
(3) 이집트(Egypt)-그리스역 
(4) 미스라임 -10:13-히브리역
 
3). 그리스 지역에 대한 이름들
(1) 헬라(Hella,  8:21)-한국식 
(2) 희랍-중국식 
(3) 그리스(Greece)-라틴식 
(4) 야완( 10:2,  66:19)-히브리식

4). 이스라엘 지역에 대한 성경의 이름들
1) 이스라엘 땅 
2) 가나안 땅(12:5) 
3) 팔레스타인 땅(13:17) 
4) 약속의 땅 5) 젖과꿀이 흐르는 땅
5). 성경과 성서의 구별
1) 성경(聖經)-중국식 명칭 
2) 성서(聖書)-일본식 명칭
  그러나 성경과 성서가 같은 의미를 갖고 있지만 한국에서는 신학노선에 따라 뉘앙스가 달라진다.
     진보 · 비평주의 노선에 있는 사람들은 의식적으로 성서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왜냐하면 이들은 
     ·신약 성경을 하나님의 영감된 말씀으로 보지 않고, 인간들에 의해 구전되고 편집된 책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이스라엘 땅의 넓이 넓이: 20,232 (1948년까지)
20,232  (전라남(12,189)+북도(8,051)=20,240 강원도 16,892 -충남(8,807+충북(7,428)
 
이스라엘 땅=팔레스타인 땅의 소유권 문제
(1) 유대인의 입장 = 하나님이 아브라함에게 약속한 약속의 땅이다( 15:18)는 것이다.
(2) 시대별 영토의 변형
  15:18-현재까지 소유해 본 적이 없고 다만 약속의 땅으로 약속되어진 영토.
  34:1-12-가나안 땅으로서의 영토(요단 서편에 국한)
 다윗-솔로몬의 영토( 20:1), 왕상 4:17-19-에일랏-디프사(하란 남쪽 지역)
 헤롯왕의 영토(37-4 BC)-사해남단-골란고원
 터키의 오토만 통치하(1517-1917)의 이스라엘 영토-에일랏에서 골란고원
 영구통치 하에 영토(1918-1948)-가자-에일랏-이라크()-시리아()-레바논()
 현재 영토-라피아-에일랏-사해-갈릴리 골란-가이사랴 빌립보
 
(3) 아랍-이스마엘-이슬람 입장
주후 8세기부터 현재까지 이 땅을 지키고 관리한 자는 우리다고로 팔레스타인 땅은 우리 땅이다.
현재 아랍 사람들은 모슬렘이 이 곳에 정착한 후 지금까지 이곳을 지키며 살고 있다.
현재 아랍영토 분쟁에는 영국의 책임이 크다이곳을 점령하고 있던 터키를 정복하기 위해
영국은 불란서는 물론 사우디와의 후세인가의 도움과 유대인의 도움을 받았기 때문에
피코협약(1916)에 따라 중동지역을 분할 통치하였다.
시리아는 불란서가 위임통치하고 이라크와 동서 요르단 지역을 영국이 통치하였다.
1923년 영국은 사우디아라비아 후세인왕의 차남 압둘라를 왕으로 삼아 위임통치를 하였다.
 
압둘라는 1946 5월에 하심 요르단 왕국(The Hashemite kingdom of Jordan)의 독립을 선포하였다.
1948년 이스라엘은 영국이 그들에게 독립을 약속한 벨포아 선언(1917)에 따라 영국의 협조하에 독립을 선포하였다.
이 때부터 요르단은 동부 예루살렘을 차지하고 이스라엘과 싸웠으나 왕이 국내 적대자들에게 암살 당하고(1951), 그 후 아들이 1년간 다스리다가 병으로 퇴위하고 그 아들 즉 압둘라의 손자 후세인이왕이 되어 통치하다가 1999년에 암으로죽고 태수후세인의 고손자가 왕이 되어 현재이른다.
그 후 이스라엘 점령지역 내에 살던 아랍인들은 이스라엘 정부에 저항하기 시작하였고 1974년부터 는 요르단 국민이 되는 것조차 거부하고 서부 팔레스타인 아랍인만으로서 하나의 국가를 추진했다바로 이 나라가 이스라엘 지역 안에 있는 팔레스타인 자치국(PLO)으로 창설되어 현재에 이른다.
가자여리고헤브론과 베들레헴이 이 팔레스타인 국가의 주요 도시들이다.
그러나 PLO는 아직 군사와 외교권은 갖지 못한 상태의 임시국가 형태이다.


계절
성경에 사 계절이 언급되나 실제로는 두 계절에 속한다.
여름과 겨울은 대조적으로 언급되나( 8:22), 봄과 가을은 선명치 않다( 34:22).
 
 우기는 10-3월 사이 
10-11월 사이에는 이른 비( 11:11-14;  3:18),
2-3월 사이에는 늦은 비( 16:15).
 강수량 
서북쪽 지중해변 지역 600-800 mm 사마리아와 유대산간 지역 400-600 mm
   네게브 사막지역 200 mm 엘랏 지역 30 mm 주로 12-2월 사이에 연 강우량의 63%
 비의 신학적 기능
토지를 적심긍휼징계( 37:13)
 건기는 4-9월 사이 
이 기간에는 비가 내리지 않는다
   국토의 대부분이 산이고 비가 없는 사막지역이라 기근은 자주 일어나는 자연현상이다.
 
기근들과 물과 관계된 사건
    1)물이 귀한 지역( 14:3-5). 
    2)맹세의 우물사건( 21:25이하). 
    3)기근으로 피난( 12:10 이하)
    4)나오미모압으로 피난( 1
     5) 생수의 근원이신 하나님을 버림( 2:13)
 
물 문제 대책들
    빗물을 저장함 (기브온-길이 11 m,  1.5 m)
   므깃도 저장소-아마겟돈 전쟁 계 16:16(길이 70 m, 깊이 25 m)
   히스기야 터널-실로암 연못왕하 20:20- 9:1-11(길이 500 m,  1 m)
   베들레헴 수로(길이 8km,  1m 사각형의 돌에 직경 50cm의 원을 만든 돌을 수 만개 연결시킴)
    돌로 수로를 만듦욥기 28:10-11): 돌 가운데로 도랑을 파서 물울 운송함
 
산간지방이 연 18cm의 이슬이 내린다하나님의 복(삼하 1:21)
이스르엘 지역은 200일 밤 이상 네게브지역 250일 밤 이상
유대산간 지역 150-180일 밤 요단강 지역 50일 밤 정도
 
기온 
우기인 1월에
예루살렘 8-10 C / 요단계곡 12-13 C / 엘랏 15-20 C
 
건기인 8월에
텔아비브 22-29 C / 예루살렘 17-29 C / 요단계곡 28-34 C / 엘랏 25-39 C
최고기온 1941 6월 여리고 54 C, 텔아비브 46 C
최저기온 1950 2월 갈릴리 -13 C, 텔아비브 1 C.
 
강과 산
요단강-갈릴리 호수를 중심으로 상 요단강과 하 요단강으로 구분됨
임시천-요단 서편과 시내반도 지역-와디
상시천-요단동북편 지역-야르묵강얍복강아르논강
 
산 이름
시내산-호렙산 2285m ( 19)
헤르몬산-1814m ( 17:1)
감람산-830m ( 1:12) 
다볼산-588m ( 4:12)
멜산-546m (왕상 18:19-21) 

팔레스타인 땅의 도로망
 해안길 ( 9:1) 
 왕의 대로 ( 20:17, 19)
 
주요 국도 및 지방도로
수르길 ( 15:22) 중앙산간도로-족장들의 길 아모리 산지 길( 1:19)
 요단계곡 아라바 길 ( 14:24)  벧호론-아라바 길 (삼상 13:18)
 브엘세바-아랏-호로나임 ( 15:5)  가데스바네아-다말-보스라 길
 시내반도 남쪽 광야 길 ( 13:18)

창조에서 아브라함 탄생까지(창조-BC 2200)
 
사람들
후계자를
본 나이
아들출생
이후나이
죽을 때 나이
연대(BC)
세 계 사
아담
 
 
 
 
현재 알려져 있는 인류 최초의 역사는 메소포타미아에서 수메르인에 의해 시작되었다수메르인들이 메소포타미아에 정착했을 때 이미 어떤 문명이 존재하고 있었다독자들은 이 초기시대의 연대들이 오직 추정에 불과하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105
807
912
 
에노스
90
815
905
 
게난
70
840
910
4241
역사에 최초로 기록된 연대이것은 이집트 문명에서 달력을 사용했음을 나타낸다.
마할랄렐
65
830
895
 
야렛
162
800
962
 
에녹
65
300
365
 
므두셀라
187
782
969
 
라멕
182
595
777
4000
이집트 왕조 이전 시대바벨론의 건국
노아
500
450
950
 
 
대 홍 수( 6~9)
 
3500
넓은 지역에 홍수가 있었던 증거가 있다이 연대는 레오나드 울리 박사에 따른 것이며다른 학자들은 BC 2000년경을 홍수연대로 추정하고 있다.

100
500
600
3000
에게해 연안과 크레테섬에서 문명이 시작되고 니느웨가 건설되었다이집트의 대피라미드시대
아르박삿
35
403
438
 
셀라
30
403
433
 
에벨
34
430
464
2900
바벨론의 우르에서 최초의 왕조가 등장이 성읍에서 아르라함은 이주 했다.
벨렉
30
209
239
2870
트로이의 최초 정착
르우
32
207
239
2750
바벨론의 최초의 강력한 왕인 사르곤 1세 등장
스룩
30
200
230
2500
수리아와 팔레스타인에 셈족 이주
나홀
29
199
248
2474
우드엔굴 치하에서 수메르 부흥그는 초기 수메르법전을 제정했다.
아브라함
100
75
175
2200
이 시대에 서방 이주의 물결이 있었음을 증명한다.

 

/출처ⓒ† : http://cafe.daum.net/cgsbong


 
//
   
   


출처 : 창골산 봉서방
글쓴이 : 봉서방 원글보기
메모 :

'구약신학!! 구약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구약성경 총론  (0) 2018.09.06
[스크랩] 신약과 구약의 관계  (0) 2018.09.06
[스크랩] 구약 성경  (0) 2018.09.02
[스크랩] 성경 개론  (0) 2018.09.02
[스크랩] 구약성경 39권의 개요  (0) 2018.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