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복음서!!!

[스크랩] 사 복음서 비교표,신구야 상호관계

하나님아들 2017. 12. 20. 16:43

사 복음서 비교표

http://cafe.chosun.com/club.menu.bbs.read.screen?page_num=1&p_club_id=0691&p_menu_id=2&message_id=257860

 

내 용

마태복음

마가복음

누가복음

요한복음

천사 가브리엘이 사가랴에게 나타남

 

 

1:5-22

 

마리아가 엘리사벳을 방문함

 

 

1:39-56

 

세례요한의 출생

 

 

1:57-80

 

천사가 요셉에게 나타남

1:18-25

 

 

 

마리아에게 예언됨(수태고지)

 

 

1:26-38

 

예수의 탄생

 

 

2:1-7

 

목자들의 방문

 

 

2:8-20

 

성전에서 할례를 받으심

 

 

2:22-24

 

시므온와 안나의 찬양

 

 

2:25-38

 

동방박사들의 방문

2:1-12

 

 

 

에굽으로의 도피

2:13-15

 

 

 

나사렛으로 돌아옴

2:19-23

 

2:39

 

12살 때 성전에 가심

 

 

2:41-50

 

침묵기:아무런 기적도 행하지 않으심

 

 

2:51-52

 

세례요한의 전도

3:1-12

1:1-8

3:1-18

 

예수가 세례를 받으심

3:13-17

1:9-11

3:21-22

 

예수가 시험을 받으심

4:1-11

1:12-13

4:1-13

 

세례요한의 증거

 

 

 

1:19-36

네제자를 부르심

 

 

 

1:35-49

물로 포도주를 만드심 첫 번째 기적

 

 

 

2:1-11

첫 번째 유월절

 

 

 

2:13-25

성전을 개끗하게 하심

 

 

 

2:13-17

거듭남에 대한 전도

 

 

 

3:1-21

최초의 유대전도

 

 

 

3:22

생수

 

 

 

4:4-26

사마리아전도

 

 

 

4:28-42

첫 번째 갈릴리 전도

4:12-17

1:14-15

4:14-15

4:3,43-45

왕의 신하의 아들을 고치심

 

 

 

4:46-54

세례요한이 투옥됨

4:12,14:3-5

1:14,6:17-20

3:19-20

 

갈릴리로 돌아오심

4:12

1:14

4:14-15

4:1-3,43-45

나사렛에서의 설교

 

 

4:16-27

 

나사렛에서 배척받으심

 

 

4:28-30

 

가버나움으로 옮기심

4:13-16

 

4:31-32

 

네 제자를 부르심

4:18-22

1:16-20

5:8-11

 

어획의 기적

 

 

5:4-9

 

귀신을 쫓아내심

 

1:23-28

4:33-37

 

베드로 장모를 고치심

8:14-15

1:29-31

4:38-39

 

두 번째 갈릴리 전도

4:23-25

1:38-39

4:43-44

 

문등병자를 고치심

8:2-4

1:40-42

5:12-13

 

가버나움으로 돌아오심

 

2:1-2

 

 

중풍병자를 고치심

9:2-8

2:2-12

5:18-26

 

마태를 부르심

9:9

2:13-14

5:27-28

 

두 번째 유월절

 

 

 

5:1

베데스다 못가의 병자를 고치심

 

 

 

5:2-9

신성에 대한 말씀

 

 

 

5:17-47

안식일에 대한 설교

12:1-8

2:23-28

6:1-5

 

손마를 자를 고치심

12:9-13

3:1-5

6:6-10

 

바리새인의 반대

12:14

3:6

6:11

 

갈릴리 근처에서 많은 무리를 고치심

12:15

3:7-12

 

 

열두제자를 임명하심

10:1-4

3:13-19

6:12-16

 

산상설교

5-7장

 

6:20-49

 

가버나움에서 전도하심

8:5

 

7:1

 

 

내 용

마태복음

마가복음

누가복음

요한복음

백부장의 하인을 고치심

8:5-13

 

7:2-10

 

나인을 전도하심

 

 

7:11

 

과부의 아들을 살리심

 

 

7:12-16

 

세례요한의 질문

11:2-6

 

7:18-23

 

세례요한을 칭찬하심

11:7-19

 

7:24-28

 

회개치 않은 도성에 대한 심판

11:20-24

 

 

 

독선적인 바리새인과 향유를 부은자

 

 

7:36-48

 

두명의 빚진 자에 대한 비유

 

 

7:41-43

 

갈릴리 여행

 

 

8:1-3

 

귀신들려눈멀고벙어리된자를고치심

12:22

 

11:14

 

반대가 심해짐

12:24-25

3:22-27

11:14-15,17-23

 

용서받지 못할 죄에 대한 설교

12:25-37

3:28-30

 

 

표적을 구하는 자에 대한 설교

12:38-45

 

11:16,24-32

 

영적 관계에 대한 설교

12:46-50

3:31-35

8:19-21

 

바리새인을 책망하심

 

 

11:37-44

 

어리석은 부자에 대한 비유

 

 

12:16-21

 

제제들을 격려하심

 

 

12:22-32

 

혼인잔치에 대한 비유

 

 

12:36-38

 

지혜로운 청지기에 대한 비유

 

 

12:42-48

 

열매맺지못한무화과나무에대한비유

 

 

13:6-9

 

씨뿌리는 자의 비유

13:3-9,18-23

4:3-20

8:4-15

 

알곡과 가라지의 비유

13:24-30,36-43

 

 

 

겨자씨의 비유

13:31-32

4:31-32

13:18-19

 

누룩에 대한 비유

13:33

 

13:20-21

 

숨겨진 보화에 관한 비유

13:44

 

 

 

값진 진주에 대한 비유

13:45-46

 

 

 

그물의 비유

13:47-51

 

 

 

가다라 지방으로 여행하심

8:28

4:35-36

8:22

 

폭풍을 꾸짖으심

8:24-27

4:37-41

8:23-25

 

귀신을 쫓아내심

8:28-34

5:1-20

8:26-39

 

마태집에서의 식사

9:9-13

2:14-17

5:29-32

 

혈루증 앓는 여인을 고치심

9:20-22

5:25-34

8:43-48

 

야이로의 딸을 고치심

9:18-19,23-26

5:22-24,35-43

8:41-42,49-56

 

소경과 귀신들려 벙어리 된자를 고치심

9:27-34

 

 

 

나사렛에서 다시 배척 받으심

13:54-58

6:1-6

 

 

열두제자를 파송하심

10:5-42

6:7-13

9:1-6

 

세 번째 갈릴리 여행

9:35-38

6:6

 

 

세례요한의 죽음

14:1-2,6-12

6:14-16,21-29

9:7-9

 

휴식할 여유가 없으심

14:13-14

6:30-34

9:10-11

6:1-4

오병이어의이적

14:15-21

6:35-44

9:12-17

6:5-14

물 위를 걸으심

14:22-33

6:45-52

 

6:16-21

많은 기적을 행하심

14:34-36

6:53-56

 

 

생명의 떡에 대한 설교

 

 

 

6:25-59

많은 제자들이 떠나감

 

 

 

6:60-71

바리새인들을 책망하심

15:1-9

7:1-13

 

 

두로와 시돈을 여행하심

15:21-28

7:24-31

 

 

가나안 여인의 딸을 고치심

15:22-28

7:25-30

 

 

데가볼리로 여행하심

 

7:31

 

 

귀머거리이며 벙어리 된자를 고치심

 

7:32-37

 

 

많은 기적을 행하심

15:29-31

 

 

 

4천명을 먹이심

15:32-38

8:1-9

 

 

표적을 구하는 자를 책망하심

16:1-4

8:10-12

 

 

http://cafe.chosun.com/club.menu.bbs.read.screen?page_num=1&p_club_id=0691&p_menu_id=2&message_id=257860

 

신약 성경의 구분

 가. 역사서 5 권(건물의 기초)-4복음서와 사도행전

  가) 4복음서
  * 복음서는 신약의 역사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예수님의 생애가 집중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탄생,사역,수난,죽음,부활,복음의 세계 전파
  * 신약의 역사서 5권: 예수님의 생애 : 마태 마가 누가 요한 복음 전파 과정: 사도행전
  * 내용의 핵심: 예수 그리스도와 복음-예수 그리스도는 누구신가?
                                     -복음이 어떻게 전파되었는가?
  * 보통 신약을 읽으려고 하는 사람들은 마태복음 첫 장부터 질리게 된다.
  * 왜냐하면 마태복음 한 장 내내 계속해서 "낳고", "낳고"가 반복되고 있기 때문이다.
  * 그러나 인내심을 가지고 28장까지 다 읽을 수 있어야 한다.
  * 마가복음(16장)을 읽다 보면 또 다시 마태복음의 이야기가 반복되는 것을 볼 수 있다.
  * 그리고 누가복음(24장)을 읽어도 같은 이야기가 반복된다.
  * 요한 복음은 비슷하기는 하지만 그 전개과정과 내용이 조금 다르다.
  * 요한복음은 처음에는 다른 복음서와 내용이 다르다가 마지막에는 같아진다.
  * 4복음서는 4명의 사진사가 한 인물을 놓고 각각 다른 각도에서 사진을 찍은 것과 같다.
  * 4대의 카메라로 생중계 하는 것이 한 대의 카메라로 중계하는 것보다 낫다.
  * 4복음서는 각각 강조점이 다르다.

  * 마태복음: 유대인-왕으로 오신 예수님
   세리 마태가 썼는데 그의 관심은 유대인이었다. 그러므로 마태복음은 유대인을 위해 썼다.
   마태복음의 핵심은 예수 그리스도가 메시야, 즉 유대인의 왕이라는 것이다. 예) "유대인의
   왕으로 나신 이가 어디 있느뇨?"-동방박사가 헤롯에게 물음-유대인의 왕으로 오신 예수님
   의 탄생과 사람과 죽음과 부활을 구약 성경의 메시야 예언을 모두 연결시켜서 예수님의
   삶이 예언된 유대인의 왕의 모습을 모두 성취하신 분이십니다-"성경에 이사야가 예언한
   말을 성취하려 함이라"-유대인의 왕-유대인을 위해 씀 

  * 마가복음: 로마인-종으로서의 예수님
   로마 사람을 위해서 씀-로마 사람은 법과 군대가 중요하다-그들은 이론보다 행동을 중요
   시한다. -세계를 정복함-그러므로 마가복음에는 낳고 낳고가 없다-즉시로 움직이시면서
   바쁘시게 다니시는 종의 모습을 그려주고 있다.-완전한 종의 모습-인자가 온 것은 섬김을
   받으려 하심이 아니요, 섬기려하고...-로마 사람을 위해-쓴 완전한 종의 모습을 보여주려고
   한 책임-

  * 누가복음: 헬라인-인간으로서의 예수님
   헬라인을 위해 씀-헬라의 문화와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들을 위해 씀-누가는 의사로서
   과학을 공부한 사람이다.-지성인들과 학자와 철학자요 많은 교육을 받은 사람들-헬라어를
   공부해보면 누가복음에 사용된 단어들은 100만 불 짜리 단어들을 사용하고 있다.-긴 단어와
   어려운 단어들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마가는 2군데에서 단어조차도 틀리게 썼다.-종이
   문법 좀 틀려도 좋다.-그러나 누가는 아예 서론부터 헬라 사람들이 글을 쓰는 서론으로
   시작하고 있다-(1:1-4)을 읽어볼 것-저자, 쓰게된 경위, 누구에게 쓰는가?, 글쓰는 목적이
   분명하게 제시됨-증인을 내세움- 처음부터 자료를 자세하게 조사했다.-그는 에수님을 완전
   하신  인간으로 보여주려고 하였다.-마태복음에는 족보를 쓸 때에도 왕족만 쓴다.-그러나
   누가복음에는 아브라함에서 출발하지 않고 하나님과 아담으로부터 시작하여 예수 그리스도
   에게까지 이끌어 온다-"이상은 에노스요 그 이상은 아담이요 그 이상은 하나님이라"(눅3:-)-
   완전하신 인간이신 에수님을 보여주려고 함-

  * 요한복음: 모든 사람-하나님의 아들로서의 예수님
    모든 인류를 위해서 썼다.-요한은 예수님의 모습 가운데 하나님의 아들로서의 예수님에
    하여 가르쳐 주려고 하였다.-"내가 이 글을 쓴 것은 예수님이 그리스도요 하나님의 아들임을
    믿고 구원을 얻게 하려 함이라"-"다 쓴 것이 아니라 이 목적을 위해서 선택하여 기록했다"
   -시간 공간 죽음도 초월하시는 예수님-기적을 통해서 에수님께서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보여
    주려고 하였다.
  * 마태, 마가, 누가복음은 예수님을 비슷하게 묘사하고 있다.
  * 그러므로 복음서를 공관복음(같은 눈으로 본다는 뜻)이라고 부른다.
  * 이 공관복음은 대부분 예수의 갈릴리 사역을 중심으로 기록하였다.

  * 그러나 요한복음만은 예수님의 유대 지방에서 하신 사역을 많이 기록하고 있다.
  * 요한은 이 복음을 에베소에서 기록했다. 그때에 모든 사도가 죽고 요한만 남아 있었다.
  * 그러므로 요한마저 죽으면 에수님을 목격한 사도들이 모두 사라지게 될 상황에 놓였다.
  * 그러므로 그의 제자들이 복음서에 기록되지 않은 다른 이야기들을 기록해 주기를 요청했다.
  * 이 요청으로 기록된 것이 요한복음이라고 한다(전승)
  * 요한은 예수님 사후 약60년을 더 살았기 때문에 예수님에 대하여 묵상할 시간이 많이있었다.
  * 그는 예수님의 사랑을 가장 많이 받았기 때문에 "예수님의 사랑하시는 제자"라고 불려졌다.
  * 요한이 예수님을 깊이 묵상하며 기록한 책이 바로 요한 복음이다.
  * 요한복음은 인류 역사상 가장 사랑을 받아온 책 중의 하나이다.


  나) 사도행전
  * 복음이 사도들에 의해 어떻게 세상에 전파되었는지를 기록한 사도행전이 있다.

 나. 바울 서신(13권)

  가) 교회 서신(9권)
  * 사도 바울이 쓴 서신들-한쪽 기둥
  * 롬, 고전, 후, 갈, 엡, 빌, 골, 살전, 후
  * 교회에 쓴 책이라고 하여 교회서신이라고 부른다-

  나) 목회서신(4권)
  * -목회자(지도자)에게 쓴 서신-딤전, 후, 딛, 몬 

 다. 일반서신(9권)
  * 모든 교회를 위해 일반적으로 쓴 편지들
  * 히브리서, 애고보서, 베드로 전후서, 요한1,2,3서, 유다서, 요한계시록

**************************************************************************************

신약과 구약의 상호관계
구약 또는 신약은 말 그대로 옛 약속 그리고 새 약속이라는 뜻입니다. 여기서 약속(Convenant or Testament)이란 예수를 통해서 우리에게 구원을 주시겠다는 하나님의 구원의 약속을 가리킵니다. 그런데 이 약속을 구약과 신약으로 나누어 부르는 것은 그들이 본질상 연속선상에 있는 하나의 약속이지만 그 표면적 내용에 있어서는 예수님의 성육신과 십자가 수난을 중심으로 전.후로 뚜렷이 구분되기 때문입니다. 이를 좀더 상술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성육신(成肉身;incarnation) : 하나님이 인간의 몸을 입고 세상에 오심

하나님께서는 태초 갓 창조된 자유의지를 가진 인간과 선악과를 두고 그 순종 여부에 따라 영원하고 완전한 복을 주시거나 반대로 죽음의 형벌을 가하실 것을 약속하셨습니다. 그러나 인간은 선악과언약을 일방적으로 파기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원래대로라면 인간은 그 즉시 그리고 영원히 죽어야만 했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인간의 법죄에 대해서는 당신의 공의에 따라 그리고 원래의 언약법에 따라 징계하시면서도 그 죄를 범한 인간 자체는 사랑하셔서 다시한번 구원의 새 기회를 주시기 원하셨습니다. 마치 국가정책에서의 정경분리(政經分離 the separation of economy and politics)원칙과 흡사하다고 하겠습니다. 죄 자체는 미워하시어 공의의 법으로 징계하시지만 죄지은 사람은 사랑의 법으로 구원하시겠다는 것입니다.
그리하여 세워진 것이 바로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의 법입니다.
*구속(救贖;redemption;salvation) : 죄를 속하고 구원해줌 (속:대가를 치루고 무르는 것)
즉, 예수께서 죄인의 죄값을 대신해서 구속희생의 죽음을 당하시고 이를 믿고 회개하는 자에게는 예수님의 공로가 적용(전가)되어 구원이 이루어지는 구속법이 새로 제정된 것입니다. 그리고 범죄한 아담과 이브에게는 죽음을 선포하시기는 하셨으나 즉각적인 사형을 집행하지 않으시고 그들을 통해 인류역사가 이어지게 하여 앞서 말한 구속의 법에 따라 많은 그의 후손들이 구원의 새 기회를 얻을 수 있게 하셨습니다.

그리하여 일단 아담의 후손으로 태어나는 모든 사람에게는 아담으로부터 물려받은 원죄(原罪)와 자신이 세상에 살면서 직접지은 자범죄(自犯罪)의 결과로 이 세상에서의 육신의 죽음이 모두에게 주어지게 되었으나, 그것으로 그의 존재가 사멸되거나 아니면 그 이후에 영원한 형벌이 무조건 가해지는 것이 아닙니다. 각자의 생전에 회개여부에 따라 일단 죽은 후 세상 말일에 모두 함께 부활하여 다시금 영생과 영벌의 심판을 새로이 받을 수 있게 된 것입니다. 그러므로 각자가 태어나서 죽기까지의 이 세상 한평생의 과정에서 그 자신의 영생과 영벌을 결정할 새 기준인 회개여부를 결정하게 되며 또한 육신의 자녀가 그를 통해 새로이 태어나게 되어 세상 끝날까지 오고 오는 모든 세대의 인간역사가 이어지게 된 것입니다.

하나님의 공의의 법앞에서 모든 인간은 아담의 원죄와 자범죄로 인해 모두 죄인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모든 죄의 대가는 그 죄의 경중에 관계없이 무조건 사형입니다. 그러나 예수가 세상에 사람으로 오시어 죄없이 대신 죽음으로서 원죄와 자범죄의 빚을 모두 갚으셨습니다. 이 사실을 살아서 믿는 모든 자들은 죄의 문제를 해결받고 구원을 받게 됩니다. 이렇게 구원받을 수 있는 기간은 살아서 믿는 자들에게만 유효하게 적용이 된다는 사실은 하나님의 사랑의 깊이와 넓이와 높이는 무한하지만 시간적으로는 영원하지 않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할 것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시간을 초월하신 영원하신 분이지만 죄를 영원히 방치해 두시는 분을 결코 아니기 때문입니다. 사람은 죽은 후에 모든 사실의 결국을 알게될 것이나 그때 뉘우쳐 봐야 소용이 없습니다. 그 사람에게 주어진 특별 사면기간이 끝났기 때문입니다.

아래 도표는 이러한 원리가 구약에서 신약으로 어떻게 점진적(漸進的)으로 승화되어 왔는가를 알기 쉽게 대비하여 설명한 내용입니다.

구약과 신약의 구원의 섭리 비교표

 
  • 예언의 대망시대 (창3:15;요23:3)
  • 창조 (창1:1)
  • 위엄의 하나님 (출19:18)
  • 태초(창1:1)
  • 영적 미명 (시8:25)
  • 사단의 득세 (창3:6)
  • 죄의 저주 (창3:17-19)
  • 사망의 세력 (창3:19; 롬5:17)
  • 유월절 속죄 제물 (출12:3-7)
  • 율법의 요구 (출20:1-17)
  • 모형과 그림자 (히8:5;10:1)
  • 외형적 의식 (히9:10)
  • 의문의 법 (롬7:6;고후3:6)
  • 메시야 (말3:1)
  • 만나 (출16:13-31)
  • 돌판에 쓴 하나님의 말씀 (출34:1,27-29)
  • 하나님의 종인 성도들 (갈4:1-3)
  • 수많은 일시적 제사장들 (출28:1;29:29)
  • 계속 반복되는 제사 (출30:10;레16:34)
  • 홍수로 멸망 (창6:17;7:1-8:19)
  • 성부로 시작 (창1:1)
  • 저주로 끝남(말4:6)
  • 시내산 (출19:1-2)
  • 이스라엘에 초점 (창17:7;출3:6-9)
  • 첫번째 아담 (창3:19-20)
  • 이스라엘 (창32:28;출1:7)
  • 선지자의 중재 (삿6:8)
  •  
  • 예언의 성취시대 (마1:18-25;요1:45)
  • 재 창조 (고후5:17)
  • 자비하신 아버지 (마5:45;6:9)
  • 종말 (벧후3:10)
  • 영적인 빛 (요8:12)
  • 사단의 멸망 (계20:10)
  • 죄의 용서 (눅23:34;엡1:7)
  • 영생 (요5:24;롬5:17)
  • 속죄양 그리스도 (요1:29;고전5:17)
  • 은혜의 수여 (요1:17)
  • 실체 (히10:5-10)
  • 내적 체험 (눅24:32;롬2:28-29)
  • 생명의 법 (롬8:2;고후3:6)
  • 주 (마16:16;눅2:11)
  • 생명의 떡 (요6:32-58)
  • 마음판에 쓴 하나님의 말씀 (약1:21)
  • 하나님의 아들인 성도들 (갈4:5-7)
  • 한분의 영원한 제사장(히7:20-25)
  • 단번의 영원한 제사 (히9:25-28;10:11)
  • 불로 멸망 (벧후3:5-13)
  • 성자로 시작(마1:1)
  • 축복으로 끝남 (계22:21)
  • 시온산 (계14:1)
  • 세계에 초점 (마28:19;행1:8)
  • 둘째 아담 (롬5:14;고전15:44-47)
  • 교회 (마16:18;엡2:12-22)
  • 아들의 중재 (마1:23)

  •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의 초림으로 인한 하나님의 구원역사(役事)가 완성된 것은 아닙니다. 이미 태초부터 하나님은 일단 예수의 초림으로 구약의 내용이 우선 성취되고 예수가 다시 구속사의 최종 목표인 천국구원에 대한 보다 밝은 계시와 새약속을 주도록 계획하셨습니다. 구속사의 장구한 과정동안 일단 예수를 중심으로 구원의 옛약속이 중간 성취되고 새로이 최종적인 천국구원의 약속이 다시 주어졌는데 이는 연약한 우리 인생이 하나님의 약속을 더욱 확신할 수 있도록 하시기 위한 하나님의 사랑의 배려였습니다. 그리하여 이제 구속사의 중간에 초림하사 자신의 성육신과 구속사역의 성취를 약속 예언한 구약을 일단 이루어 예수께서 세상 끝날 다시 재림하사 죄인의 심판과 영원한 천국 구원을 최종 이루실 것을 내용으로 한 새언약을 새로이 주셨던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예수 오시기 이전의 언약을 옛 언약 곧 구약(舊約), 그 이후의 언약을 새 언약 곧, 신약(新約)이라고 부르게 된 것입니다. 따라서 구약과 신약은 그 내용은 다르지만 본질적으로 동일한 구원의 약속입니다. 또한 두 시대에 하나님은 외면적으로는 다른 양상으로 구원을 섭리하셨으나 이는 시대의 특성에 따라 당신의 섭리를 점진적으로 진행하시기 위한 경륜상의 방법이었지 그 목적과 본질은 동일한 것 이었습니다. 결국 예수께서 '이미' 구약의 성취자로서 오셨으나, 세상 끝날 성취되어질 그분이 다시 주신 새 약속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중간기적 상황이 바로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신약시대인 것입이다.
    * 섭리(攝理) : 세상의 모든 것을 다스려 나가는 신의 의지 또는 은혜 (공의와 사랑으로 하시는 하나님의 간섭)

    결론적으로 다시 요약하면 신.구약 양자가 모두 다 인간구원을 위해 하나님으로부터 예수를 통한 구원의 진리를 중심으로 주어졌다는 점에서는 같으나 구약은 예수가 성육신하기 전에 일단 구속사역의 성취를 위해 초림하실 예수에 대한 약속에 불과한 반면 신약은 초림하여 구약을 일단 성취하신 예수가 직접 새로이 주신 구원의 최종성취에 대한 약속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세부적 차이점을 보입니다. 이런 신구약의 관계는 예수를 중심으로 서로 상호 연결된 점진적 발전관계에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처럼 동일성과 점진성의 관계로 서로 연결된 신.구약을 중심으로 각각 전개된 신.구약시대의 역사도 상호 연속성을 가진 것으로서 결국 태초부터 종말까지의 역사는 예수의 구속사역을 통한 인간 구원이라는 한가지 목적으로 진행되는 구속사인 것입니다. 그래서 영어로 역사를 History=His + Story (예수의 이야기)라고 합니다.

    출처 : 임마누엘 샬롬
    글쓴이 : 임마누엘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