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용어 사전

[스크랩] 십일조는 무엇인가?

하나님아들 2017. 9. 11. 21:48

십일조는 무엇 인가 ?

 

 “ 화 있을진저 외식하는 서기관들과 바리새인들이여 너희가 박하와 회향과

근채의 십일조는 드리되 율법의 더 중한 바 (심판)와 인(긍휼)과 신(믿음)

버렸도다 그러나 이것도 행하고 저것도 버리지 말아야 할지니라“( 23:23)

토지를 영영히 팔지 말 것은 토지는 다 내 것임이라 너희는 나그네요 우거

하는 자로서 나와 함께 있느니라“ ( 25:13)

땅의 십분의 일 곧 땅의 곡식이나 나무의 과실이나 그 십분의 일은

여호와의 것이니 여호와께 성물이라(27:30)

 

십일조를 하는 의미에는 ()()()이 있는데 그것을 버리면

안 된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로 번역된 헬라어 '크리신'심판, 정의,

, 등을 의미합니다. 즉 이 땅은 여호와의 것이고 너희는 이 땅에 소작인으로

살고 있음으로 땅의 소산의 십분의 일인 십일조(소작료)를 낼 때마다 너희들이

본향(소작료가 없는)을 사모하되, 본향에 돌아갈 때 각자의 행함에 따라

심판이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라는 것입니다. 아브라함을 비롯해 믿음의

선진들이 모두 세상에서 나그네로 본향을 사모하는 삶을 살았습니다.(11:13-16)

 

'은 자비와 긍휼 그리고''은 믿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하나님이 너희를

구원하시기 위해 자비와 긍휼을 베풀고 있다는 것을 믿음으로 바라보라는

의미입니다. 곧 십일조는 여호와의 구원과 심판이 있다는 확고한 하나님의

의지를 표명한 제도입니다.

 

  종종 말라기 3:10을 들추며 십일조를 하면 세상 복을 받는다는 말은 어불성설

입니다. 남의 땅에 우거하는 나그네들에게 편안하고 부족함이 없게 세상 복을

주어 본향에 돌아가고자 하는 생각을 없애준다는 것은 십일조의 근본취지와

사뭇 어긋나기 때문입니다.

 

  십일조를 하는 것이 잘못입니까?

세상 복을 받기 위해서 또는 율법이니까 의무지킨다면 잘못입니다. 

주변사람들을 의식해 체면상,형식상 드리는 것은 주님도 기뻐하시지 않으시며

자칫 힘써 불법을 행하는 것이 될 수 있습니다. 

반면 세상에서의 소득이 하나님의 자비와 긍휼이라는 것을 깨닫고 청치기의

삶을 사는 자가 감사와 기쁨으로 드리는 십일조나 각종 헌금은 아름답고

귀한 것입니다. 우리 성도는 십일조를 주신 하나님의 영적의미를 깨닫고

우리 몸 전체까지도 산 제사로 드려야 합니다.

 

교회는 예수님이 직접 세우신 공동체입니다(16:1) 교회라는 말은 헬라어인

'에클레시아'를 번역한 것으로 세상 밖으로(에크) '불러냄을 받은 믿는 자들의

모임'을 의미합니다. 교회는 하나님의 요새요, 도피성으로서 하나님의 교회에

대한 목적은 성도들이 자기를 깨끗게 하는 거룩함을 이루기 위함입니다.

(살전 4:3, 요일 3:3)

 

교회가 하는 일은 예수 그리스도의 피로 사신 교회(성도)들이 모여

하나님의 뜻을 이루기 위한 복음전파와 구제사역과 말씀공부와 형제들

간의 교제 등입니다. 교회의 머리는 예수님이시고 성도들은 그 지체들입니다.

성도들은 각자 교회의 지체들이 되어야 하고, 찬양과 예배 그리고 하나님의

일을 이루기 위해 예배당에 모여야 합니다. 아울러 예배당 관리와 목회 사역자

들을 위해 감사함으로 드리는 헌금은 필요하고 아름다운 것입니다. 어쩌다 간혹

헌금봉투를 무엇이 부족한 사람에게 주는 듯, 무성의하게 드리는 것을 봅니다.

헌금 액수의 많고 적음 보다는 드리는 자의 마음 자세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결코 잊으시면 안 됩니다.

 

오늘날 교회가 사랑이 없다고들 말합니다. 하나님은 교회(성도)들이 모이는

성회에서 어떤 종교 생활을 잘하는 것보다 형제 간에 자비와 긍휼인 이웃사랑

더욱 원하십니다. 우리 모두 서로 한 피 받아 한 몸 이룬 형제들을 사랑함

으로써 행복한 신앙공동체를 만들어 가시기를 소망합니다.

 

    송전서 (초대교회로 돌아가는 사람들)

 

출처 : 초대교회로 돌아가는 사람들
글쓴이 : 송전서 원글보기
메모 :

'성경 용어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영생의 내용  (0) 2017.09.30
[스크랩] 성경에서의 이름  (0) 2017.09.12
[스크랩] 도그마 [dogma]  (0) 2017.09.09
[스크랩] 복에 대한 연구  (0) 2017.09.04
[스크랩] `고난`에 대한 5가지 해석.  (0) 2017.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