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들어가면서 : 문제 제기 및 연구방법
고백교회의 경우 스스로의 움직임을 가리켜서 ‘교회의 투쟁’(Kirchenkampf)이라고 한다. 이는 교회로 하여금 교회가 되게 하자는 운동이었으며, 교회가 교회 되게 하자는 것은 고백교회 당시의 정치․사회적 현실에서 교회가 “부름 받은”대로의 자기 정체성(Identity)의 확인과 동시에 “보냄 받은”대로의 선교적 실천이라는 모습의 두 가지의 면 모두를 포함하고 있다. 고백교회가 교회의 투쟁을 통해서 교회가 교회되게 하려고 했듯이 ‘교회가 교회되게 하는 것’이야말로 교회가 올바른 자기 인식(Self-Knowledge)을 하게 되는 것이다. 교회가 교회되기 위해서 역사 속의 모든 교회는 자기본질과 자기인식이라는 물음과 대답을 끊임없이 던져왔고, 지금도 동일한 문제로 몸부림치고 있다.
교회가 교회되기 위한 몸부림이 역사 속에서 계속되어왔고, 특별히 프로테스탄트의 교회는 루터 이후 칼빈으로, 그리고 20세기에 이르러서는 바르트에 의해서 그 개혁 전통의 맥과 함께 교회되기 위한 몸부름이 계속되어져 오고 있다. 그러면, 프로테스탄트의 신학을 정리했다고 할만큼 명성을 얻은 한 대가가 이해했던 ‘교회는 무엇인가?’, 또한 ‘교회의 본질은 무엇인가?’ 라는 질문과 함께 본 논문을 시작하고자 한다.
이제 바르트의 교회 이해를 살펴나가면서, 21C를 맞이하는 교회가 기존의 가치관의 붕괴와 혼란을 겪으면서 새로운 상황 속에서 스스로의 본질을 어떻게 이해해야하며, 어디에서 교회의 기초를 발견해야하며 교회의 사명을 어떻게 세워 나가야 하는 지에 대한 내용들을 그의 교회론을 통해 하나의 모범(paradigm)으로서의 내용을 살피고자 한다.
Ⅰ. 서 론
A.논문의 의의와 목적
우리가 살고있는 20세기를 에큐메니칼시대라고 한다. 이는 교회의 일치 운동이 20세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며 의미있는 일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펙커( J.I. Packer ) 는 말하기를 오늘날 신학적 관심이 가장 집중된 분야 가운데 하나가 교회론이라고 말한다. 김의환 , “ 칼빈주의의 교회관 ” , 「 신학지남」 , 제 42권 3집, P. 8.( 재인용 )
따라서 우리가 앞으로 다루어야할 교회론에 대하여 그 중요성을 새삼 강조하지 않더라도 그 의의는 결코 퇴색될 수 없다. 특히 일치운동을 주장했던 그의 교회론은 오늘 우리에게 있어서도 귀중한 교훈을 준다.
이 논문은 신학적으로 교회론을 최초로 종합적인 정리를한 어거스틴의 교회론을 연구함으로써 초기 기독교의 교회론에 관하여 이해하여 참다운 교회론을 정립하고자하며, 또한 어거스틴과 도나투스트파와의 논쟁의 과정과 결과를 연구함으로 오늘의 교회 일치운동의 하나의 모델로 삼아 교회 연합운동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B.논문의 범위 및 전개방법.
어거스틴은 75세의 삶을 살면서 유년기와 초기 청년기를 제외하고는 끊임없는 저작 활동을 계속하여 232권의 책으로 구성된 92개의 단행본 이외에도 교리문제와 여러가지 쟁점등에 관하여 그리스도교 변호의 내용이 담긴 220개의 서신을 포함한 방대한 저작을 남겼다. 그러므로 당시 어거스틴과 서신을 왕래한 사람중의 하나인 밀레비스(Milevis)는 어거스틴을 가리켜 “ 분방한 꿀벌”이라고까지 말하였던 것이다. Ray.W.Battenhous, The Life of Augustine , A Companion to the study of Augustine, P.54.
이러한 그의 방대한 저술들은 신학이 정립되지 못한 시대의 격변기 속에서 교회에 대한 끊임없는 질문의 답변이었다.
이처럼 어거스틴의 신학은 방대하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도나투스트파와의 논쟁의 와중에 정립된 그의 교회론에 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어거스틴의 교회론을 전개함에 있어서 먼저 서론 부분에서는 본 논문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며, 본론에서는 어거스틴의 신학의 중요성 과 어거스틴의 생애, 어거스틴 시대의 역사적 배경, 로마제국과 기독교의 박해, 도나티즘, 그리고, 어거스틴의 교회론과 어거스틴의 교회론을 비판하고자 한다. 또한 결론 부분에서는 지금까지의 전체 내용을 요약하고, 어거스틴의 교회론을 통한 교회일치운동에 있어서 나아가야 할 길을 제언 하고자 한다.
Ⅱ. 본 론
A.어거스틴 신학의 중요성 --
암브로시우스,제롬,어거스틴은 다 카톨릭 교회가 로마제국에 승리를 거둔후에 야만인들이 침입할때까지 짧은 기간에 활동한 사람들이다. 이들이 죽은후에 이탈리아,스페인,아프리카의 주인공들은 야만인들과 아리우스파의 이단들과 도나투스트파의 사람들이었다. 아무튼 이들의 권위는 암흑 시대와 중세 시대를 통하여 언제나 존중되어왔다. 이들의 공적은 누구보다도 교회에 대하여 고정된 체제를 부여한 것이었다. 대체적으로 암브로시우스는 교회와 국가의 관계에 대한 교회의 입장을 확립하였고, 제롬은 서방교회에 라틴어 성경과 수도원 생활의 기초를 닦아 놓았으며, 어거스틴은 종교개혁이 일어날때까지의 교회의 신학을 체계화하였다. B.러셀, 「서양철학사 上」, 죄홍문역 (서울:검문당,1982),P.427.
최초로 서방의 신학에 명확한 방향과 독특한 특징을 부여한 것은 터툴리안과 시프리안이었으며, 또한 서구(로마)신학의 독특한 성격은 어거스틴의 저작의 영향에 의해서 결정적으로 형성되었다.
'교회란! 예배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교회의 직분론(職分論) (0) | 2012.07.25 |
---|---|
[스크랩] 성만찬연구 (0) | 2012.07.25 |
[스크랩] 개혁주의 교회론 요약 (0) | 2012.07.25 |
[스크랩] 성례론 - 천주교의 7성례를 중심으로(교회론) (0) | 2012.07.25 |
[스크랩] 에큐메니칼 운동(교회론) (0) | 2012.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