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도!! 기도문 !!

[스크랩] 성경에 보인 금식에 관한 언급.

하나님아들 2016. 3. 24. 12:26

성경에 보인 금식에 관한 언급.

 

"나의 기뻐하는 금식은
흉악의 결박을 풀어주며 멍에의 줄을 끌러 주며
압제당하는 자를 자유케 하며
모든 멍에를 꺾는 것이 아니겠느냐."  (이사야 58장 6절)

"때에 내가 아하와 강가에서
금식을 선포하고 우리 하나님 앞에서
스스로 겸비하여 우리와 우리 어린 것과
모든 소유를 위하여 평탄한 길을 그에게 간구하였으니 " 
(에스라 8장 21절)

"나는 저희가 병들었을 때에
굵은 베옷을 입으며 금식하여
내 영혼을 괴롭게 하였더니
내 기도가 내 품으로 돌아왔도다."  (시편 35장 13절)

"너는 금식할 때에
머리에 기름을 바르고 얼굴을 씻으라"
(마태복음 6장 17절)

"만군의 여호와가 말하노라
사월의 금식과 오월의 금식과 칠월의 금식과

시월의 금식이 변하여
유다족속에게 기쁨과 즐거움과
희락의 절기가 되리니
오직 너희는 진실과 화평을 사랑할지니라.  (스가랴 8장 19절)

"사십 일을 밤낮으로
금식하신 후에  주리신지라"  
(마태복음 42장 2절)

●'금식'은 성경에 74회 언급이 되어있습니다.
●'금식'은 성경에 59군데의 절(節)에서
   언급이 되어있습니다.
●인터넷에서 성경에 관한 검색을 할 수 있습니다.
●개혁한글 성경에서는 '단식'을
  '금식'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공동번역 성경에서는 '단식'을
  '단식'으로 번역하고 있습니다.
●영문성경은 '단식'과 '금식'의 구분없이
  'fasting'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금식에 대해서  
"금식은 우리가 하나님의 입으로
나오는 모든 말씀으로 산다는 것을 상기시켜 준다. ...

그러므로 금식할 때
우리는 음식을 안 먹는 것이라기보다는
하나님의 말씀을 먹는 잔치를 하는 것이다."  
 - 리차드 포스터 -

이전에 금식을
해본 경험이 있는 분들은
잘 아시겠지만

처음 [금식]을 분들도
있을 것같아 금식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 주고자 글을 씁니다.

금식 방법 :

1. 금식 하고자 하는 날을 정한다.
   (하루-24시간, 이틀-48시간...)
2. 금식할 때는 음식을 금한다.
3. 금식 중에는 안에서 냄새가 나기 때문에
   끼니마다 양치질을 한다. (하루 세번)
4. 금식은 단순히 음식을 먹지 않는 것이 아니라
   끼니마다 성경읽기와 기도를 해야한다.
5. 금식 중 누워 있거나 앉아만 있으면
   더 힘이 들기 때문에 적당한 운동을 한다.
6. 금식할 때는 더 단정한 모습을 해서
   금식하는 표시를 내지 않는다.
7. 금식이 끝나면 금식한 날 수만큼 보호식이 필요하다.
   (보호식은 죽이나,
   야채을 먹고 맵고 짠 음식은 피한다 -특히 김치...)
8. 금식이 끝나자마자 음식에 대한 욕심이 생겨 과식하면
   위장을 버리게 되므로 조금씩 먹는다.
              

금식 할 때 :
1. 공동체나 개인의 죄가 있을 때,
2. 하나님의 일군을 세울 때,
3. 선교사를 파송할 때,
4. 하나님의 뜻을 간절히 구할 때,
5. 영적 부흥을 갈망할 때


금식의 유익 :
1. 육적인 삶과 영적인 삶의 균형 유지.
2. 우리의 근본적인 것과 중요한 것을 되찾게 함.
3. 하나님의 능력을 경험한다.
4. 몸의 노폐물 뿐만 아니라 나쁜 영들을 밖으로 내 보낸다.
5. 하나님과 사람을 더욱 사랑한다.
6. 신앙이 성장한다.
7. 음식의 귀함과 절제를 배운다.  


성경에 보면
하나님의 진노도 공동체적이었고,
하나님의 은혜도 공동체적이었습니다.

●기독교 금식이란
 
 「단식」 혹은 「금식」,「라마단」
단식을 영어로는 Fasting으로 통일되게 표현합니다.

한국에서는
일반적으로 '단식'으로
해석되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종교별로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특별히 한국기독교
개혁한글 성경에서는 'fasting'을
'금식'으로 번역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가톨릭에서는
'단식'으로 번역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스람에서는
단식을 '라마단'이라는
독특한 절기행사로 사용합니다.

단식에 대한
각 종교의 고유한 용어표기를 존중합니다

 

 


 

 

/출처ⓒ† : http://cafe.daum.net/cgsbong

출처 : 창골산 봉서방
글쓴이 : 봉서방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