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용구사(九容九思)
九容
두용직(頭容直) : 머리는 똑바르게 가져야 한다. 말을 할 때에는 머리를 흔들
지 말고 곧게 들어 몸을 바르게 하는 것을 말한다.
목용단(目容端) : 눈은 바르게 가져야 한다. 눈매나 눈빛은 중요한 만큼 눈매
는 안정시켜 흘겨보거나 곁눈질하지 말며 좋은 인상을 줄
수 있어야 한다.
기용숙(氣容淑) : 숨소리는 맑게 가져야 한다. 숨소리는 낮추며 마땅히 숨을
고르게 하도록 해야 한다.
구용지(口容止) :입은 신중하게 가져야 한다. 음식을 먹거나 말을 할 때만
제외하고 입을 다물어야 한다.
성용정(聲容靜) :소리는 조용하게 가져야 한다. 말을 할 때에는 시끄럽게 해
서 않되며 바른 형상과 기운으로 조용한 말소리를 내도록
해야 한다.
색용장(色容將) :얼굴빛은 장엄하게 가져야 한다. 예의를 지닌다는 것은 얼굴
빛에도 나타나 안색도 가지런히 하여 태만한 빛을 띄지 않
는 것을 말한다.
수용공(手容恭) :손은 공손하게 가져야 한다. 손을 사용할 때가 아니면 마땅
히 단정히 손을 맞잡고 공수(拱手)해야 한다.
족용중(足容重) :발은 무겁게 가져야 한다. 즉, 발놀림을 가볍게 하지 않으
며 경솔히 거동하지 말아야 한다.
입용정(立容正) 서 있는 모습은 의젓하게 가져야 한다. 중심을 잡고 바른
자세로 서서 덕이 있는 기상을 지녀야 한다.
九思
시사명(視思明) : 눈으로 볼 때는 밝고 바르고 옳게 보아야겠다고 생각한다.
청사총(聽思聰) : 귀로 들을 때는 그 소리의 참뜻을 밝게 들어야겠다고 생각 한다.
색사온(色思溫) : 표정을 지을 때는 온화하게 가져야겠다고 생각한다.
모사공(貌思恭) : 몸가짐이나 옷차림 등을 공손해야겠다고 생각한다.
언사충(言思忠) : 말할 때는 참되고 거짓없이 해야겠다고 생각한다.
사사경(事思敬) : 어른을 섬길 때는 공경스럽게 할 것을 생각한다.
의사문(疑思問) : 의심나고 모르는 것이 있으면 물어서 완전히 알아야 겠다
고 생각한다.
분사난(忿思難) : 분하고 화나는 일이 있으면 어려움에 이르지 않을까를
생각한다.
견득사의(見得思義) : 자기에게 이로운 것을 보면, 그것이 정당한 것인가를
생각한다.
* 옛 선비들이 자녀들에게 구용구사를 행하도록 교육했다 한다.
가정의달에 다시 한번 되새겨보고 혼사를 앞둔 자녀들께 배워
주었으면하여 소개합니다
%EA%B8%80%EC%9D%98%20%EB%82%98%EB%A8%B8%EC%A7%80%20%EB%B6%80%EB%B6%84%EC%9D%84%20%EC%93%B0%EC%8B%9C%EB%A9%B4%20%EB%90%A9%EB%8B%88%EB%8B%A4.
'신앙의 생각! 말!! 행동!! 영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이런 선언이 축복과 성공을 부른다 - 마귀로 틈을 타지 못하게 하라 (0) | 2012.09.04 |
---|---|
[스크랩] 하나님의 말씀은 처방약입니다 - 찰스 캡스 (0) | 2012.09.04 |
[스크랩] 아이에게 『자신감을 심어 주는』 14가지 말.. (0) | 2012.09.04 |
[스크랩] 논쟁에서는 지는 것이 이기는 것이다. (0) | 2012.09.04 |
[스크랩] 아이에게 자신감을 심어주는 14가지 말 (0) | 2012.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