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 교사 교육

[스크랩] 청년사역

하나님아들 2015. 7. 18. 16:56

청년사역 개관


1. 서론 : 왜 청년사역인가?
   1) 한국 전체 인구분포와 다른 교회의 인구분포
      ☞ 풍만한 가슴 - 잘록한 허리 - 풍성한 엉덩이
   2) 미래가 보이지 않는 교회의 현실
   3) 대안을 만든다면 가능한 사역

2. 청년대학부의 현주소 : 청년대학부의 10대 현상
1) 철새 교역자
바쁘고 자주 교체되고 당회와 청년들 사이에 낀 목회자
2) 마당쇠 청년들
교사로, 찬양대원으로, 청년부 임원으로 정신없는 1인 다역(多役)의 청년들
3) 빠져나간 기둥들
선교단체로, 대형교회로, 선교지로 떠나가는 그나마 있는 기둥 같은 청년들
4) 터줏대감 증후군
기수 따지고 터줏대감 노릇하고 뺀질거리는 청년들, 특히 교회 중직자의 자녀들
5) 패잔병 증후군
이성교제로 얽히고 설키고, 학력, 학벌 차이로 어울리지 못하고, 열등의식과 패배의식에 사로잡혀 있는 청년들
6) 허수아비 청년들 : 돈 없고, 빽 없는 청년들
교회에서 청년대학부는 주일학교만큼도 힘이 없다.  주일학교는 교사인 제직들에 의해 운영되기 때문에 교회에서 목소리가 크다.  담임목사도 주일학교 교사회의 발언을 무시하지 못한다.  그러나 청년들의 발언은 쉽게 묵살된다.
7) 만년 야당 청년들 : 상처 많고, 불만 많고, 버릇없는 청년들
8) 범생이들 : 노인 같고, (모)범생이 같고, 바로 같은 이른바 성실한 청년들
9) 불신풍조 임원들
교역자에 대한 불신 때문에 지나친 피해의식, 보호의식, 방어의식으로 무장되어있는 임원들(청년대학부 교역자들이 자주 교체되는 데 큰 원인이 있다.  교역자가 바뀔 때마다 청년부의 모든 환경과 방침이 달라지니까 청년들은 더 이상 교역자들만 믿고 있을 수가 없다.  그래서 “청년부는 교역자가 지키는 것이 아니라 우리 청년이 지킨다.  교역자는 허무는 자일 뿐이다”라는 생각이 팽배해 새로 사역자가 오면 길들이기부터 하기 시작한다.  특히 열심히 하고자 하는 임원들이 있는 교회라면 이런 현상이 더욱 두드러진다.)
10) 달동네 청년들 : 자원난, 인재난, 시설 및 공간난에 시달리는 청년들

2. 청년대학부 사역의 실패 원인
   1) 청년들을 목회대상이 아닌 목회 수단으로 보는 잘못된 인식
   2) 청년 사역을 위한 전문 인력의 부재에 따른 대책 없는 청년목회
   3) 청년 사역을 위한 조사나 연구를 위한 기관의 부재 : 교단 교육부도 대안이 없다.
   4) 수동적, 또는 지나가는 과정으로서의 청년 목회자
   5) 청년들의 눈에 비친 현실 교회의 각종 문제
   6) 중고등부 신앙교육의 부재로 인한 기본적 신앙지식과 체험의 부재 현상
   7) 청년대학부에 대한 왜곡된 편견
      (1) 청년대학부가 강하면 골치 아프다.
      (2) 청년대학부는 교회에서 열심히 봉사만 하면 된다.
      (3) 청년대학부에 신경 쓰느니 헌금 잘하는 장년에게 투자하는 것이 유익하다.
      (4) 교회 내 젊은이들을 학생 선교단체에 빼앗길 수 없다.
      (5) 청년들이라고 해서 교회에서 특별대우해서야 되겠는가?

3. 건강한 청년대학부 세우기의 단계
   1) SURVIVAL 단계
      (1) 흡인력 있는 LGM(Large Group Meeting)을 구축하라.
          ☞ 잘 준비된 예배(Powerful Preaching, 찬양단, 중보팀, 행정팀의 역할)
      (2) 사랑이 넘치는 SGM(Small Group Meeting)이 돌아가게 하라.(GBS 또는 GQS)
          ① 훈련된 소그룹 리더가 이끌 경우 : Pastoral GBS
          ② 훈련되지 않은 소그룹 리더가 이끌 경우 : Serendipity 형 GBS, GQS
      (3) 무장시켜주는 리더모임(Empowering Leadership Level 2)을 가지라.
      (4) 훈련 중심의 차기 리더모임(Empowering Leadership Level 1)을 가지라.
          ① 제자훈련 토양의 중요성 : 제자로의 훈련 후에 사역을 담당
          ② 제자훈련 시 체질화 시켜야 할 것 : QT의 체질화
          ③ 청년부 상황에 맞는 제자훈련의 방식을 채택하라.
          ④ 성공적인 제자훈련을 위한 1년차 모임의 중요성 : 기초 양육 가능케 함.
   2) REVIVAL 단계
      (1) 훈련사역과 성령사역의 조화
      (2) 능력 있는 기도 사역과 강력한 중보기도단의 가동
      (3) LGM, SGM, 리더모임, 차기리더모임에서 말씀사역과 기도사역의 조화
      (4) 무엇보다 부흥된 개인들이 나와야 한다.(은혜의 자급자족 훈련)
      (5) 은혜의 바다인 수련회에 푹 빠지게 하라.
      (6) 은사를 개발하고, 다양한 은사중심의 사역이 일어나게 하라.
   3) GLOBAL 단계
      (1) Global Vision의 공동체
      (2) 열린 청년부 만들기 : 좋은 친구 캠페인
         우정을 바탕으로 한 생활양식 전도 + 전도 이벤트 + 전도 소그룹
      (3) 단기선교 모티브의 활용
          Vision Trip, 정탐훈련, Prayer Journey, 공동체 및 개인적 차원의 단기선교
  
4. 건강한 청년부 세우기의 3대 요인
   1) 담임목사 및 당회의 역할 : 정책과 토양 조성
   2) 지도 교역자 : 부르심에 대한 확신과 전문성
   3) 청년부 임원들과 리더들 : 자발적 주도성

5. 건강한 청년부의 4대 요소
   1) 하드웨어(Hardware)
      (1) 하드웨어(Hardware)의 다섯 차원
          ① 자기훈련(Self - Training)
          ② 일대일 관계(One To one)
          ③ 소그룹 모임(SGM, Small Group Meeting)
          ④ 정기집회(LGM, Large Group Meeting)
          ⑤ 교회 차원의 예배
      (2) 하우스 다이어그램(House Diagram)의 3차원
          ① 개인적 성장 : 경건의 시간(QT), 개인적 성경연구(PBS), 경건서적 독서
          ② 관계적 성장
             ㉠ 기초 : 기도목회 - 개인기도, 기도합주회, 중보기도단
             ㉡ 문 : 정기집회, 예배, 소그룹 모임
             ㉢ 두 개의 기둥 : 리더모임, 제자훈련반(LTC)
             ㉣ 4개의 방 : 새신자 관리 사역, 1년차 모임, 또래 모임, 부서모임
          ③ 사회적 성장
             여름 및 겨울 수련회, 철야기도회, 통독캠페인, 농활, 현장세미나, 사경회,
             전도집회, 단기선교 여행 등
   2) 소프트웨어(Software)
      (1) 교육구조를 위한 소프트웨어
소그룹 교육, DT 혹은 DTS, 새가족반, 복음과 성장 세미나, 은사 네트웍 세미나, 크로스웨이, 신구약 파노라마, 성경탐구 40일,
      (2) 훈련구조를 위한 소프트웨어
제자훈련(제자반, 제자학교, 일대일제자훈련), 특별훈련(귀납적 성경공부, QT 세미나, 소그룹 사역훈련, 영성훈련학교, 기도합주회인도자 훈련법, 중보기도단 훈련, 전도훈련학교, 열린예배, 예배인도자학교, 중견지도자 훈련학교, 문화학교, 멘토링)
      (3) 행정구조를 위한 소프트웨어
임원학교(은사네트웍, 리더십과 섬김, 영성과 쉼 사역, 관계, 갈등, 건설적 비판, 기획경영 등)
      (4) 사역구조를 위한 소프트웨어
섬김의 도, “믿자” 아카데미, 직장선교아카데미, 단기선교학교, 농촌봉사, 사경회, 수련회, 통독대회, MT, 문화학교, 찬양사역자(예배인도자) 훈련학교, 주보 만들기 웍샵
      (5) 교제구조를 위한 소프트웨어
또래장과 학년장 매뉴얼(친구, 우정, 관계, 또래상담, 또래중보기도, 또래간 이성교제 등), 결혼예비학교
   3) 휴먼웨어(Humanware)
      (1) 일대일 제자훈련
      (2) 소그룹 제자훈련과 제자학교(DTS)
      (3) 수련회식 집중리더훈련(IVF 방식)
      (4) 영적 멘토링
   4) 스피릿웨어(Spiritware)
      (1) 골방기도 - 개인기도 / 기도학교
      (2) 기도합주회 - 합심기도
      (3) 중보기도단 - 은사자기도 / 중보기도학교
      (4) 영적도해(Spiritual Mapping)를 통해 전략적 중보기도 / 영적전쟁

출처 : 유다의 노래
글쓴이 : 나그네의 샘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