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인의 영적 생활
(The Spritual Life)
내적인 영성
1. 묵상(meditation)
1)묵상은 우리의 마음속에 하나님이 들어오실 수 있는 공간(divine center)을 만드는 작업이다
2)묵상은 하나님과 대면하는 시간이다
3)기독교의 묵상은 순종(실천)하기 위해 묵상하는 것이지 묵상 자체를 위한 것이 아니다. 불교의 묵상은 세상에 대한 집착에서(자녀성공, 이성, 세상에의 관심) 떠나기 위한 염세적인 것이라면 기독교의 묵상은 떠남(끊음)과 동시에 새로운 참여를 일으키는 묵상이다. 즉 기독교의 묵상은 실천과 관계되어 있다.
4)묵상의 내용
하나님의 말씀
누름과 받음(근심,염려,죄악,..등을 누르고 은혜,사랑,평화,축복등을 받는다)
하나님이 지으신 세계(자연)
하나님의 역사(개인과 역사 속에서 일하시는 하나님의 역사)
2. 기도(prayer)
1)그리스도인은 그리스도와 연합된 자이고 기도는 우리의 주인이 되시는 그리스도와 교통하는 것이다.
2)기도는 배워야 하는 것이다. 옳게 기도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자신을 위해 기도할 때는 반드시 아버지의 뜻대로 되기를 원합니다 하는 하나님의 의지에 복종하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 반면 타인을 위해 기도할 때 즉 이웃에 대한 관심(동정, compassion)을 가지고 기도할 때는 적극적이고 강권적으로 기도해도 무방하다.
3)기도는 하나님의 음성을 듣는 것이다.
4)기도는 무엇에 대하여도 말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기도 내용에는 제한이 없다.
3. 금식(fasting)
1)최근에 이르기까지 금식의 전통은 교회에 그리스도인들 사이에 잊혀져왔고 금식에 대한 부정적인 편견들이 있었다. 즉 금식은 고통을 자처하는 행위라든지 혹은 일일 삼식을 꼭 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2)금식은 꼭 해야된다는 식의 율법적인 명령으로 하기 보다는 금식의 유익을 알면서 자원적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식의 유익
1)우리를 주장(control)하는 것들 - 세상의 다양한 관심사들이 실은 그리 중요치 않은 것임을 발견하게 된다. (해방시켜 준다)
2)하나님의 말씀이 음식보다 중요한 것임을 발견하게 해 준다.
3)일상 생활에서 영적인 균형을 찾게 만들어 준다.(하나님께 더 가까이 가게 한다)
4)건강과 육체적으로 좋은 결과를 가져가 준다.
4. 연구, 독서, 사색, 학문(study)
-공부의 대상
1)성경 말씀을 읽고 연구한다.
2)신앙 서적을 읽고 연구한다.
3)일반 서적을 읽고 연구한다.
-공부의 방법
1)되풀이 해서 읽는다.
2)집중해서 읽는다.
3)생활과의 연관성을 명상하며 읽는다.
-지식
1)사람의 행동을 변화시키지 못하는 지식 혹은 정보(information)는 참다운 지식이 아니다.
2)참다운 지식은 사람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3)사람을 성화시키는 것들(노동,고난,학문,중보기도,예술-E.underhill)
외적인 영성
1. 소박함, 단순함(simplicity)
1)소박함 혹은 단순함은 세상 물정을 모르는 어리석음과 무지와는 다르다. 이는 그의 생각과 삶이 분명한 것 혹은 깨끗한 것 또 그이 가는 길과 가치관이 분명한 것을 말한다.
2)이런 단순성은 하나님이 우리의 중심을 잡고 계실 때에 이루어진다. 이때의 우리의 삶의 방향이 정리되고 단순하게 되고 깨끗하게 된다.
-소박함 가운데 사는 비결
1)물건을 살 때 유용성을 보고 사지 결코 유명 상품을 보고 사지 말라.
2)습관성있는 것들 (술, 담배 같은 것들과 또 우리를 매이게 하는 것들)을 피하라.
3)남에게 주는 습성을 키워라 그러면 우리 생활이 단순해 진다.
4)현대의 기계 도구에 집착하지 마라(자동차, 핸드폰 등등)
5)내가 소유하지 않은 것을 즐기는 법을 배우라 그러면 마음에 만족이 찾아온다.
6)자연(흙)과 가까이 하라.
7)돈 있을 때만 물건을 사라 절대 빚을지지 마라.
8)말을 바르고 분명하게 하라.
9)다른 사람에게 해되는 일을 하지 마라.
10)하나님의 일에 방해되는 것을 멀리 하라.
2. 고독함(solitary)
1)고독은 외로움(loneliness)과 다르다.
외로움은 혼자 있을 때에 두려움과 불안을 느끼는 것을 말하고 고독은 혼자 있으면서도 하나님의 평화가 있는 것을 말한다. 외로움은 좋지 못한 것이고 고독은 좋은 것이다.
2)고독은 침묵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사람의 말의 대부분은 자기 변명과 자기 체면을 세우기 위한 말이다. 그러나 우리가 변명하지 않아도 우리는 하나님의 의롭다하심의 인정을 받은 사람임을 기억하라.
3. 순종, 지기 부인(submission, self-denial)
1)기독교의 자기 부인은 불교에서 말하듯 자아가 없어지는 자기 소실이 아니다. 오히려 기독교는 개인을 온 우주 만물에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여긴다. 하나님의 사랑은 각 개인들을 향하고 있다.
2)순종 혹은 자기 부인이란 나의 원하는 바대로 모든 것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포기하는 것을 말하며 순종하는 마음을 가질때에 마음의 평화가 찾아온다.
3)그러나 순종의 결과가 파괴적일 때에는 순종하지 말고 항거하여야 한다.
4. 봉사(service)
옳지 않은 봉사와 옳은 봉사
1)인간의 노력으로 봉사하는 것은 옳지 못한 봉사이다. 옳은 봉사란 하나님이 주신 은혜에 감사해서 행하는 봉사이다.
2)사람들에게 드러나고 그래 칭찬받을 수 있는 큰 일을 위해서만 봉사하는 것은 옳지 못한 봉사이다. 옳은 봉사란 드러내지 않는 작은 일이라도 봉사하는 것이다.
3)큰 결과를 바라고 행하는 봉사는 옳지 않은 봉사이다. 옳은 봉사란 하나님의 뜻을 행하는 것 자체에 만족하며 행하는 봉사이다.
4)계산을 가지고 행하는 봉사는 옳지 않은 봉사이다. 옳은 봉사란 이웃을 사랑하는 것에 만족하며 행하는 봉사이다.
5)상대를 선택해서 봉사하는 봉사는 옳지 않은 봉사이다. 누구에게나 다 봉사하는 것이 옳은 봉사이다.
6)가끔 봉사하는 것은 옳지 못한 봉사이다. 옳은 봉사란 전 인생관과 생활이 봉사의 정신으로 차 있어야 하는 것이다.
7)상대방의 느낌을 무시하고 행하는 봉사는 옳지 못한 봉사이다. 상대방의 느낌을 이해하며 행하는 봉사가 옳은 봉사이다.
기독교 공동체적(교회적) 영성
1. 죄에 대한 고백(confession)
죄를 서로 고백하며 받아들이는 양식을 만들라
2. 예배(worship)
3. 상담(counseling)
치료, 격려, 위로
4. 축제(celebration)
신앙이란 구원의 토대 위에 기쁜 마음으로 하나님의 뜻을 찾는 것이다. 교회는 기쁨과 감사, 행복의 분위기가 넘쳐야 한다. 가정도 마찬가지이다.
끝으로 용서와 사랑 또 봉사란 고통 없이는 사람에게 전달되지 않는다.
하나님의 사랑은 그리스도를 십자가에 못박는 희생을 통해 나타났다.
진정한 봉사 사랑 용서는 자기 희생의 대가를 통해서 이루어 진다.
*미국 프린스톤신학교 이상현 박사님의 강의를 요약하였다
효덕교회 이경남 목사
'신앙의 생각! 말!! 행동!! 영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네 가지 영적 진리 (0) | 2015.08.02 |
---|---|
[스크랩] 한국 개신교의 영성운동의 새로운 방향 (0) | 2015.07.19 |
[스크랩] 네 가지 영적 진리 (0) | 2015.06.22 |
[스크랩] 기독교 영성 (0) | 2015.06.21 |
[스크랩] 영성과 영성학 (0) | 2015.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