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

[스크랩] 조직신학 서론

하나님아들 2015. 6. 21. 22:48

서론

신학을 연구하기 위한 기본적인 요건들

신학의 의미

신학의 구분들

조직신학의 필요성

조직신학의 주요한 부분들

주요 개신교 신학 체계들

서론에 대한 개관

 

 

 

 

 

                          서론

조직신학(systematic theology)의 내용을 연구하기 전에, 우리는 이 주제들과 관련된 다음과 같은 근본적인 질문들에 대한 해답을 고려해야만 한다. 이 연구들이 요구하는 것은 무엇인가? 신학의 의미는 무엇인가? 신학을 일반적으로 나누는 구분은 무엇인가? 왜 신학을 체계화해야 하는가? 조직신학의 주요한 부분들은 어떤 것인가? 개신교 신학 체계의 주요 신앙은 무엇인가?

 

신학을 연구하기 위한 기본적인 요건들

● 우리는 거듭나야만 한다(요 3:6-7).

신생(new Birth)은 우리에게 우리의 마음을 포함하여 인간의 내적 본질의 갱신과 하나님의 진리를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영적 무장을 가져다 준다(엡 4:17-21; 고전 2:12; 요일 2:20,27; 히 11:3을 비교해 보라).

 

● 우리는 성경에 대한 하나님의 권위(divine authority)와 무오성(inerrancy)과 그 교훈들의 무류성(infallibility)1)을 인정해야만 한다(시 36:9; 롬 3:4과 1:8을 비교하라).

피조물의 의무는 하나님의 말씀을 받아야만 하며 그의 사고를 하나님께서 말씀하시는 것에 맞추는 것이다(시 36:9; 롬 3:4과 1:18을 비교해 보라).

 

● 우리는 논증의 귀납적인 방법2)을 따라야만 한다.

이것은 성경과 함께 시작하며 성경에서부터 교리적인 진술들을 조직화한다. 이런 방법에 의해 우리는 성경에 주어진 진리들을 고려하며 그 진리들로부터 특별한 신학적 원리들과 교훈들을 끌어낸다(행 17:11; 딤후 3:16을 비교하라). 이런 객관적인 접근방법은 하나님께서 그의 말씀을 통하여 우리를 가르치시도록 허용한다. 성령에 의해 새로워지고 말씀에 의해 교훈을 받은 마음이 영적 이해와 경험의 입구임을 살펴보라(롬 12:2; 딤전 4:13-16; 요일 2:27).

 

● 우리는 성령님의 사역에 의지해야만 한다.

그 분만이 우리에게 신학적인 연구를 할 때 올바른 방향과 하나님의 진리의 분명한 이해를 제공해 주신다(고전 2:10-12). 이것은 우리 자신이 그 분에게 항복해야 하며 이 진리에 호감을 갖는 우리의 책임을 요구한다(시 119:18; 눅 8:18; 요 7:17; 딤전 4:13-16; 요일 2:27).

 

● 우리는 성경이 어떤 주제에 대해 가르치는 모든 것과 성경이 가르치는 모든 주제들을 이해할려고 노력해야만 한다.

하나님의 전체적인 의도를 배우고 섬겨야 하는 것이 우리의 의무이다(행 20:27).

 

신학의 의미

● 어원

신학(theology)이란 말은 그리스 말인 테오스(theos- 하나님 )와 로고스(logos- 말씀 , 이야기 , 이론 )에서 유래하였다. 신학은 하나님의 말씀과 하나님의 사역에 대한 이야기 혹은 교훈이다. 이것은 하나님에 대한 학문이다.

 

● 정의

신학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법으로 정의될 수 있다.  넓은 의미에서 신학은 성경에서 계시된 기독교 교리의 전체적인 관점이며, 좁은 의미에서 신학은 기독교 신론(Theology Proper)이다.

때때로 신학은 성경에서 계시된 진리에 근거한 계시 신학(revealed thology)과 동일시된다. 반대로 자연 신학(natural theolgy)은 자연에서 하나님에 관해 계시된 것에 단지 근거한 하나님에 대한 학문이다. 자연 신학의 근본적인 잘못은 이것이 자연을 만든 일들에 대한 하나님의 설명과 인간을 위한 하나님의 뜻에 대한 계시를 인식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신학의 구분

● 주경 신학(Exegetical Thelogy)

이 신학은 성경 계시에 근거하였으며, 성경 본문의 연구에 관심을 갖는다. 이것은 성경 언어 연구, 성경 고고학, 성경 개론, 성경 신학, 그리고 성경 해석학으로 나누어 진다. 성경 신학은 구약의 다양한 시대들(모세 시대, 왕정 시대와 같은) 내에서 그리고 신약의 저자들의 저서들(요한의 저서들, 바울의 저서들) 속에서 계시된 진리를 체계적으로 배열하려고 한다.

 

● 역사 신학(Histirical Theology)

이 신학은 교리적 사상의 역사에 근거하였으며, 교리의 기원, 발전, 그리고 교리와 제도와 실천들을  함께 한 참 기독교의 전파를 추적한다. 이것은 성경 역사, 교회사, 선교사, 교리사, 그리고 신조와 신앙 고백을 포함한다.

 

● 조직 신학(Systematic Thelogy)

이 신학은 주경 신학과 역사 신학에서 파생되었으며, 신학 연구의 분별 하에 논리적인 순서에 따라서 성경의 교훈과 그것에 대한 인간의 설명을 배열한 것이다. 교리의 조직적인 배열에 부가하여 또한 기독교 변증학과 논증학과 윤리학이 포함된다.

 

● 실천 신학

신학을 실천적으로 적용할 때, 이 적용은 복음을 믿는 사람들의 구원, 성화, 건덕, 교육, 봉사에 있어서 신학을 다르게 구분함으로 인해 이루어진 것을 이용하려고 한다. 이 구분은 설교학, 교회 조직 및 행정, 예배, 기독교 교육, 선교 사역, 그리고 목회 신학이다.

 

조직신학을 위한 필요성

신학의 체계적인 형태를 위한 필요성은 신학의 실천 뿐만 아니라 이 연구를 하도록 우리를 격려한다. 이 필요성은 다음과 나오는 것에 나타나 있다.

 

● 우리의 마음은 조직신학을 요구한다.

우리의 마음은 사실들의 축적에 만족하지 않는다. 우리의 마음은  그들 사이의 관계를 살펴 보며 그리고 논리적인 순서에 따라 그것들을 재배열함에 의해 이러한 사실들을 통일하며 체계화한다.우리가 하나님에 대해 연구할 때, 우리는 성경이 그 분에 대해 계시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배울 뿐만 아니라 또한 이 진리를 한 체계로 조직화한다. 이런 점에서 신학은 하나의 학문이다.

 

● 성경의 조직성은 조직신학을 요구한다.

성경은 공식적으로 하나의 조직 신학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다. 이것은 역사, 시, 예언적 말씀들, 자서전적 기록들, 그리고 서신서들과 같은 다양한 문학의 형태들로 구성되어있다. 이러한 문학 전체를 통해서 흩어져 있는 신학적인 진리는 하나의 논리적인 체계로 모아져서야만 한다. 비록 분명한 교리들을 강하게 다루는 성경 구절들도 있지만, 어떤 것도 어떤 교리를 완전하게 다루지는 않는다. 이러한 논리적인 구조 속에서, 우리는 우리의 추론들은 하나님께서 계시한 것을 넘어서서는 안된다는 것을 조심해야만 한다.

 

● 삶의 질문들과 문제들은 조직신학을 요구한다.

성경이 인간의 기원(인간은 어디서 왔는가?), 의미(인간은 누구인가?), 목적(무엇 때문에 인간은 존재하는가?), 관계(어떻게 인간은 우주를 조화시키는 모든 것과 관계를 맺는가?), 그리고 운명(인간을 어디로 가고 있는가?) 등과 같은 인간의 철학이 지닐 수 없는 우주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들에 대한 해답을 갖고 있음을 세상에 보여주어야만 한다. 더욱이 성경은 세상이 제시하는 것보다 더 나은 해결책들을 제시한다. 성경은 인간의 필수적인 본질에 동의하는 하나의 이성적이고 완전하고 계속적인 세상의 견해를 나타낸다. 이러한 요구를 접할 때, 체계적인 이해와 신학의 표현이 필요하다(벧전 3:15; 딤후 3:15; 고전 1:18-25).

 

● 영적인 삶을 위하여 신학이 요구된다.

신학이 영적인 삶을 죽게 하는 효과를 준다는 개념은 잘못된 것이다. 올바른 믿음은은 행동에 올바른 영향을 준다(잠 23:7; 마 7:15-20). 신학은 우리에게 우리가 마땅히 살아야만 하는 삶의 종류를 가르쳐 주며(딤후 3:16,17), 이러한 방법으로 살도록 격려해 동기를 부여해 주며(엡 4:1 이하와 1-3장을 비교하라; 골 3:1 이하와 1, 2장을 비교하라; 롬 12:1 이하와 5-8장을 비교하라), 그리고 우리에게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를 보여준다(빌 4:13).

 

● 기독교인의 봉사를 위하여 신학이 요구된다.

주 예수님과 그의 사도들은 교리를 가르쳤으며(막 4:2; 행 2:42; 딤후 3:10), 그리고 그의 백성들은 그와 같이 행하도록 권면을 받는다(마 28:19,20; 딛 1:9; 딤후 2:2; 4:2). 신학은 우리에게 본질, 원천, 그리고 기독교인의 봉사의 활동 뿐만 아니라 우리가 섬겨야 하는 것에 대한 필요를 가르쳐 준다.

 

조직신학의 주요 부분들

성경론(Bibliology)------------------------------------성경에 관한 교리

신론(Theology Proper)------------------------------하나님에 관한 교리

성부론(Paterology)-----------------------------성부 하나님에 관한 교리

기독론(Christology)----------------------------성자 하나님에 관한 교리

성령론(Pneumatology)--------------------------성령 하나님에 관한 교리

천사론(Angelogy)----------------------------------천사들에 관한 교리

인간론(Anthropology)---------------------------------인간에 관한 교리

죄론(Hamartology)-------------------------------------죄에 관한 교리

구원론(Soteriology)-----------------------------------구원에 관한 교리

교회론(Ecclesiology)----------------------------------교회에 관한 교리

종말론(Eschatology)-----------------------미래, 예언적 사건에 관한 교리

 

 

주요 개신교 신학적 체계들

이것은 기본적으로 성경이 다양한 신학적 주제들에 대하여 가르치는 것을 이해하기 위해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것이지만, 우리는 종교개혁 시대와 그 이후 그리고 많은 조직 신학이 정지해 있을 때 조차 발전된 신학적 체계들을 무시할 수가 없다. 이러한 체계들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 칼빈주의(Calvinism)

칼빈주의는 제네바의 개혁자인 존 칼빈(1509-1564)3)에 대한 연구와 그의 저서들을 발전시켜 나간 신학 체계이다. 본래 이 사상은 어거스틴(353-430)4)의 가르침을 발전시킨 개신교의 형태이다.

성경을 하나님의 말씀이 되도록 붙잡았기 때문에, 칼빈주의는 성경 위에 그 체계를 세울려고 노력한다. 그 근본적인 교리는 하나님의 완전한 주권이다. 인간의 책임감을 인식하면서, 칼빈주의는 이 책임감을 하나님의 포괄적인 계획에 연합시킨다. 하나님에 대한 순종은 인간의 최고의 의무이다. 순종은 타락 이전에는 가능하였지만, 이것은 이제 단지 하나님의 주권적인 은혜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께서는 단지 선택받은 사람을 구원하신다. 교회, 세례와 성찬의 제정, 그리고 시민 정부는 하나님께서 만드신 제도들이다. 이것은 개혁파(the Reformed), 조합주의파(Congregational), 그리고 개신교 교회의 신학이다.

 

● 아르미니우스주의(Arminianism)

아르미니우스주의는 화란의 신학자인 야콥 아르미니우스(1560-1609)5)에 대한 연구와 그의 저서들을 발전시켜 나간 신학 체계이다. 그는 16세기 말경에 압도했으며 테오도르 베자(1560-1609)6)에 의해 옹호된 칼빈주의의 극단적인 형태에 대하여 반대하였다. 아르미니우스는 칼빈주의에 있어서 두 가지 큰 잘못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 첫째, 칼빈주의는 하나님을 죄의 창시자로 만들며, 둘째, 이것은 인간의 진정한 자유를 없애버린다.

반대자들과의 토론에서, 아르미니우스주의자들은 칼빈주의자들의 5가지 신학적 관점을 거절하였는데, 왜냐하면 그들은 이러한 관점들이 성경에서 가르치지 않는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그들은 1610년에 작성한 항의서 (Remonstrance)7)에 나타난  5가지 조항들을 통하여 자신들의 입장을 고수하였다.

두 입장을 다음과 같이 대조하였다.

       

        칼빈주의8)

① 구원을 얻기 위한 공로와 능력에 있어서의 전적 타락.

② 무조건적 선택. 사람을 구원하시고자 하는 하나님의 선택은 인간의 어떤 것에 의지하지 않는다.

③ 제한적 속죄. 그리스도의 속죄의 죽음은 오직 선택받은 자에게 적용된다.

④ 불가항력적 은혜. 선택받은 자는 구원에 있어서 하나님께 끌려오는 것을 저항할 수가 없다.

⑤ 성도의 견인. 성도들은 믿음을 유지하기 때문에, 그들은 신앙을 잃어버릴 수가 없다.

 

        아르미니우스주의

① 하나님의 은혜에 의하여 모든 사람은 선을 행할 능력과 자유 의지의 힘을 가졌다.

② 선택과 저주는 미리 아신 사람들의 신앙 혹은 불신앙을 조건으로 한다.

③ 모든 사람들을 위한 속죄이지만, 그러나 단지 신자들은 그 유익을 즐긴다.

④ 저항할 수 있는 은혜. 하나님의 은혜는 인간의 파멸로 저항할 수 있다.

⑤ 견인은 질문(inquiry)에 공개되어 있다.

 

5개 조항을 고려하면서, 필립 샤프는 덧붙여 말하기를, 이 관점에서 볼 때, 아르미니우스의 제자들은 더 나아갔으며 신자들이 은혜에서 떠나 완전히 최종적으로 타락할 가능성을 가르쳤다.... 더욱이 그들은 로마 카톨릭교와 함께 어떤 사람도 특별 계시가 없이도 구원의 가능성을 가진다는 것을 부인하였다. 9)

독자들은 칼빈주의의 논리가 때때로 하나님께서 그의 말씀에서 계시하신 것을 넘어서는 결론들을 이끄는 것을 조심해야만 한다. 또한 독자들은 때때로 하나님께서 계시하신 것과 반대되는 순수하게 인간의 개념들에 근거하여 교리들을 세울려고 하는 아르미니우스주의의 합리성을 조심해야만 한다.

중용의 입장을 취하면서, 필립 샤프(독일 개혁파)는 기록하기를, 칼빈주의는 하나님의 주권과 자유 의지를 강조하며, 반면에 아르미니우스주의는 인간의 책임감을 강조한다. 전자는 선택받은 자에 대해 구원하시는 은혜를 제한하며, 후자는 구원하시는 은혜를 신앙의 조건에 있는 모든 사람에게 확대한다. 양쪽 다 그들이 주장하는 것은 옳으며, 그들이 거부하는 것은 잘못되었다. 만일 어떤 중요한 진리가 동일한 다른 중요한 진리를 배제하도록 억압한다면, 이것은 잘못이며, 그리고 양심을 잃어버리게 된다.성경은 우리에게 칼빈주의 보다 더 인간적인 한 신학을 주며 그리고 아르미니우스주의보다 더 신적인 한 신학을 주며 그리고 그들 중의 다른 것보다 더 기독교적인 신학을 제공해 준다. 10)

신학 연구에 있어서 어느 정도 칼빈주의적이거나 아르미니우스주의적이 되는 입장을 피하기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내가 아는 한, 우리의 목적은 객관적으로 성경적인 만큼 다른 신학적 체계에 순응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추구해야만 한다.

 

● 루터주의(Lutheranism)

루터주의는 3개의 고대 보편적인 신경들(사도신경, 니케아신경, 아다나시우스신경)을 인정하는 반면에, 구원을 위한 물세례의 필요성, 성찬 때 떡과 포도주의 안에, 함께, 그리고 밑에  있는 그리스도의 몸과 피의 실제적인 존재, 그리고 그리스도의 인성에 속한 신성의 특징들을 가르치는데 있어서 칼빈주의와 다르다. 루터주의는 전적 타락, 죄에 대한 의지의 종속, 그리고 영원한 삶으로 가는 선택받은 자의 무조건적 예정 등을 가르치는데 있어서 아르미니우스주의와 다르다.11)

 

● 국교회주의(Anglicanism)

국교회주의는 로마 카톨릭교나 혹은 칼빈주의는 아니지만 로마의 특별한 잘못들과 남용들을 거절하고 교회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문제들에 있어서 왕의 최고 지배권을 쥐고 있으면서 옛 영국의 카톨릭교를 보존하고 있다.12) 칼빈주의적 요소들은 영국교회의 복음적인 계층에서 지속되고 있다.

 

개신교의 많은 부분들의 교리적인 입장들이 아우구스부르크 신앙고백(1530)에 있어서 루터주의, 39개조(1571)에 있어서 국교회주의,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1646)에 있어서 장로교주의와 조합교회주의, 종교의 25개조(1784)에 있어서 감리교주의 등과 같은 역사적인 신조들에 언급되어 있음을 살펴보라. 역사적으로 침례교도들은 일반적인 신앙고백을 갖지는 않았지만, 그러나 그들은 보편적으로 그들을 구별짓게 하며(부록 P를 보라) 그리고 지역적인 신앙 고백들(필라델피아 신앙고백, 1742; 뉴 햄퍼셔 신앙고백, 1833)에 있어서 그들의 교리적 확신들을 표현하고자 해왔던 분명한 원리들을 고수하였다.

 

          서론에 대한 개관

 

 1. 신학의 연구를 위한 기본적인 요건들은 무엇인가?

 2. 왜 우리는 신학을 이해하기 위하여 성령님을 의지해야 하는가?

 3. 광의적이고 협의적인 의미에서 신학을 정의하라.

 4. 주경신학, 역사신학, 조직신학, 그리고 실천신학을 간단히 설명하라.

 5. 왜 우리의 마음과 성경의 조직, 그리고 삶의 질문들과 문제들은 기독교

    조직신학을 요구하는가?

 6. 어떻게 조직신학은 영적인 삶과 기독교인의 봉사와 관련이 있는가?

 7. 조직신학의 주요 부분들을 기록하라.

 8. 아르미니우스주의에 의해 거부된 칼빈주의의 5대 교리들을 기록하라.

 9. 이에 대한 아르미니우스파의 입장은 무엇인가?

10. 학생들이 칼빈주의와 아르미니우스주의에 대해 공부할 때 유의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

11. 루터주의는 칼빈주의와 아르미니우스주의와 어떻게 다른가?

12. 침례교도들은 다른 교파들과 어떤 점에서 다른가?

13. 침례교도들의 특성들을 기록하라.

14. 당신은 거듭났는가?


1) 무오성과 무류성의 차이

2) 귀납법과 연역법

3)

4)

5) 본 이름은 제임스 하르멘센(James Harmensen)이며, 야콥 아르미니우스(Jacob Arminius)는 라티어 이름이다.

6)

7)

8) ① 전적 타락(全的 墮落,             Total depravity).

    ② 무조건적 선택(無條件的 先擇,     Unconditional election).

    ③ 제한적 속죄(制限的 贖罪,         Limited Atonement).

    ④ 불가항력적 은혜(不可抗力的 恩惠, Irresistable grace).

    ⑤ 성도의 견인(聖徒의 堅忍,         Perseverance of the saints).

 *  칼빈주의 5대 조항을 첫머리를 따서 TULIP이라고 한다--역자 주.

 

9) Philip Schaff, The Creeds of Christendum (Grand Rapids: Baker Bookhouse, n.d.), I, 519. 자세한 설명을 위하여 509-23쪽을 보라.

출처 : 낙송사랑방
글쓴이 : 나그네 원글보기
메모 :

'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기독론 | 기독교 기본교리  (0) 2015.06.21
[스크랩] 조직신학 서론  (0) 2015.06.21
[스크랩] 장로교 조직신학  (0) 2015.06.21
[스크랩] 장로교 조직신학  (0) 2015.06.21
[스크랩] 조직신학 개론  (0) 2015.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