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윤리학! 상담학! 교육학!

[스크랩] 역경을 이겨내는 방법(회복탄력성)

하나님아들 2014. 11. 8. 15:14

  사람이 살아가다 보면 좋은도 있고 나쁜 일도  있기 마련이다.

  전자 보다는 후자에 처했을 때에 어떻게 역경을 이겨내는 방방법이 더 중요하다.

   이런 역경을 이겨내면서 자기 나름대로 생활 유형이 유지된다고 본다.

 

그러나 자신이 처한 사회나 가정 등의 조직환경에 따라서 대처하는 기술이 상이하다.

역경을 이겨내는 방법을 보고 작은 정보를 탐구하고자 하면 아래를 클릭하고 감미로운 음악과 함게 3분만 투자하면 대처하는 해답이 보일 것이다.

  

 

1. 회복 탄력성(Resilience) 정의

 

회복탄력성이란 충격, 모욕, 방해를 받았을 때에 저항이나 회복하는 능력이다(The ability to recover from or resist being affect by shock, insult or disturbance).

 

  2. 회복탄력성에 기여하는 개발자산:

 

1). 외부적 요인들:

환경에서 사람이나 조직으로 부터 긍정적인 경험들(지원, 열정, 시간의 효율성, 경계/기대들)

2). 내부적 요인들:

판단이나 선택을 좋게 하는 내면의 감정을 억제하는 (긍정적 가치, 정체성, 학습에 기여, 사회적 능력)

 

3.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는

      1). 추가 교육

      2). 성장

     3). 사회적 지원

     4). 특수 훈련

     5). 외상 스트레스를 없엠

    6). 유전요인

    7). 잔의 물이 가득 차있다고 느끼기(Looking at glass half full)

 

4. 만성 외상 스트레스 증후군을 위한 인지적 행동치료

   1). 노출치료:

(1). 스트레스 유발자에 대한 상황, 사람, 감정에 대항하도록 사람을 도와준다.

(2). 상상의 노출

(3). 생체 내면으로 부터 노출

        2). 인지적 치료:

(1). 불합리한 신뢰나 사고를 교정한다.

(2). 합리적인 사고를 가지도록 촉진을 한다.

5. 개인들 회복 탄력성요인들

 

1). 체질의 강건함

    2). 사회적 기술, 감정의 기복이 관대함

    3). 자율성, 통제의 내면적 본질

    4). 적응, 자신감

    5). 인지적 능력

    6). 응집력

    7). 창의성(symbolization)

    8). 취미, 특별한 관심들

 

  6. 가족에서 회복탄력성 요인들

 

     1). 좋은 어린이 어린 시절 부모와 상호작용을 한다.

     2). 가족구조, 규범, 예절이 분명함.

     3). 최소한 회복탄력성이 있는 부모가 사람 존재함.

     4). 부모가 다른 사람이 도움도록 허락함.

     5). 부모와 자식간에 공동의 가치가 존재함.

     6). 강력한 가족간의 연력고리가 존재함.

     7). 높은 사회경제적 지위

     8). 낮은 감정표현

     9). 도움을 요구한다

 

2013년 5월 29일

아담스 

출처 : 암담스 블로그(Adams blog)
글쓴이 : Lab Management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