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교리!! 교의신학!! 변증학!!

[스크랩] 자유의지에 대해서

하나님아들 2014. 3. 9. 21:47

자유의지에 대해서


칼빈은 자유의지라는 말을 쓰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하였습니다. 그만큼 그것을 싫어했지요. 루터도 자유의지에 대해서 글을 썼지요. 그것을 노예의지론이라 하지요.


1. 태초의 인류조상에게는 완전한 자유의지가 있었다. - 선택의 자유와 능력

확실히 모든 사람에게 자유의지는 있습니다. 창조시에 인간에게는 자유의지가 있었습니다. 선이나 악을 선택할 능력이 있었습니다.  


2. 타락 후에는 오직 악만을 선택할 자유만이 남아있었다. 

인간은 타락 후에는 그대로 선을 선택할 자유는 보유하나(선을 선택할 능력은 없음) 그 본성이 부패하므로 오직 악만을 사랑하고 선을 행할 능력이 없게 되었다. 인간의 의지가 오직 죄만을 선택할 능력밖에 없다. 인간의 부패한 본성에 소속된 의지도 역시 부패하여 오직 악만을 선택한다.


3. 하나님의 선택된 성도들은 자유의지가 회복된다.

하나님께서는 그의 택한 자들에게 죄사함의 복음을 믿는 믿음을 통하여 인간의 부패한 본성을 그의 피로 덮어 주신다. 그의 부패한 본성이 여전히 중생후에도 남아 있으나, 하나님께서는 자유의지를 회복하신다. 선을 택할 자유의지를 회복하신다. 양심을 깨끗게 하신다. 또한 선을 행할 능력을 주신다. 그러나 이러한 자유의지의 회복과 능력은 오직 예수의 피와 성령의 능력으로 가능하다. 그리스도 안에서만 자유의지가 회복된다. 하나님께서는 이제 궁극적으로 지옥갈만한 죄(사망에 이르는 죄)를 짓지 않게 하신다. (중생한 신자가 선을 택할 때도 인간의 능력이 아니라 성령이 은혜로 주시는 능력으로만 택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얘기임)


4. 회복된 자유의지(새사람)와 인간의 부패한 본성(남은 죄, 옛사람)은 지상에서 투쟁한다. 

이 지상에서는 여전히 인간의 부패한 본성이 남아 있어서 성도의 마음속에서 옛사람과 새사람의 투쟁이 끊임없다. 이 육체를 벗고 인간이 천국에 갈 때에야 비로소 참다운 안식이 있다.


그외 좋은 내용을 여기에 함께 싣습니다.

 

펌글

 

소교리문답강해.

G.I 윌리암슨. 최덕성역.

개혁주의신행협회. 2002


제 24 과 구원의 순서


제 29 문: 우리가 어떻게 그리스도께서 값 주고 사신 그 구속에 참여자가 됩니까?(대58문)


답: 그리스도께서 값 주고 사신 그 구속에 참여자가 되는 것은, 그의 성령으로 우리에게 구속을 효력 있게 적용함으로 말미암아 됩니다.


p.148.

개혁주의와 알미니안 견해의 대조는 다음 성경 본문이 제시하는 표현에서 아주 생생하게 보여진다.


예수께서 "보라 내가 문에 서서 두드리노니 만약 누구든지 내 음성을 듣고 문을 열면 그에게로 들어가리라."(계3:20)고 말씀하셨다.


알미니안은 실제로 죄인들의 마음에 들어오려고 간청하는 자는 성령이시며 성령님이 영혼에 들어오시고, 중생 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죄인이 자력으로 자기 자신의 마음을 열어야만 한다고 말한다.


한편, 개혁주의 견해는 들어오기를 간청하는 이는 그리스도시며(이것은 계시록이 실제로 말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죄인에게 문을 열 수 있도록 능력을 주시는 분은 성령님이시다. 본질적으로 인간은 허물과 죄들로 말미암아 죽었다. 그는 자신의 의지와 욕망으로 그리스도의 음성을 들을 수 없고, 그리스도를 들어오시게 할 수도 없다. 그러나 성령님이 역사 하실 때 중생의 기적은 일어나고 죽은 죄인은 살게 된다. 죄인이 이 성경 구절이 요구하는 바를 행할 수 있는 것은 오직 성령님께서 중생의 위대한 사역을 이룩하신 이후부터이다.

 

이제 개혁주의 견해를 요약해 보자. 허물과 죄로 죽은 한 죄인이 전파되는 복음을 듣고, 그리스도께 가야 한다고 생각은 하지만, 그리스도께 막상 가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그는 생각하는 것과 행동 사이에서 투쟁한다. 그때 성령님께서 자기의 임의대로 죄인의 마음에 들어가시고 그를 중생시키신다. 그 순간에 죄인은 죄를 미워하기 시작하고 그리스도를 원한다. 그는 회개하고 믿는다. 그러면 그는 즉시로 의롭게 되고 하나님의 자녀로 입양된다. 그 시간 이후로 그의 나머지 사는 날 동안 그는 예수님을 굳게 붙잡고 그 분을 위하여, 그리고 그 분과 함께 살려고 분투 노력한다. 마지막 심판 날에 그는 죽음에서 일어나며, 몸과 영혼 모두가 그리스도처럼 된다. 그리고 그가 영원히 말하고 싶어할 한 가지는 홀로 하나님께만 찬양이 돌려진다는 것이다. 이는 그의 구원이 자신의 어떤 공로에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성경 소요리문답 해설.

토마스빈센트. 홍병창역.

여수룬. 1999.


제31문 : 유효적 소명(effectual calling)은 무엇인가?

 

답 : 유효적 소명은 하나님의 영의 역사인데, 이로써 우리의 죄와 비참을 깨닫게 하시고 또 우리의 마음을 밝혀 그리스도를 알게 하시고 우리의 의지를 새롭게 하시고 우리를 권하사 복음을 통해 값없이 주시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도록 하시는 것이다.


p.160.

1. 유효적 소명(효력 있는 부르심)과 무효적 소명(효력 없는 부르심)사이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⑴ 무효적 소명은 단순한 말씀의 외적인 부르심인데, 모든 죄인들이 그로 말미암아 생명과 구원을 얻도록 그리스도께로 자유로이 초대받지만 그것 자체만으로는 그에게 나아오기에 불충분하다.

"청함을 받은 자는 많되 택함을 입은 자는 적으니라"(마22:14),

"그러나 너희가 영생을 얻기 위하여 내게 오기를 원하지 아니하는도다".(요5:40)

⑵ 유효적 소명은 말씀의 외적인 부르심을 동반한 성령의 내적인 부르심인데, 그가 복음 안에서 우리에게 값없이 주신 바 될 때 우리는 그리스도께로 초대받을 뿐만 아니라 그의 품에 안기게 된다.

"아버지께 듣고 배운 사람마다 내게로 오느니라".(요6:45)


펌글

 

출처 : 주님의 경고 119
글쓴이 : 빛나는 길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