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식(禁食)에 대한 이해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금식'이란 하나님의 뜻과 상관없이 오로지 자신의 소원을 이루기 위한 방법으로 인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금식'이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도깨비 방망이인양 성도들을 기만하는 거짓 선지자들이 활개를 치고 있습니다.
그들은 나아가 건강과 미용에도 좋다고 선전하여 '단식(斷食) 또는 절식(絶食)을 금식(禁食)과 혼용하는 무지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이런 연유로 '굶식'이란 신조어(新造語)가 생긴 것입니다. 문제는 단식과 절식을 하고도 '금식'을 했다고 드러내는 그리스도인이 많다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금식'의 본질을 잘 모르거나 왜곡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성경에서 요구하는 '금식'에 대한 바른 이해에 도움이 될 자료를 제공합니다. 도움이 되기를 소망합니다.
1. 금식의 성경적 배경(背景)
성경에서 금식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모세가 시내산에서 하나님께로부터 십계명을 받을 때였다(출34:28;신9:9).
1) 일 년에 한 번인 경우(境遇)
① 유대 월력으로 7월 10일 대속죄일에 금식을 하였다(레16:29-34;민29;7;레16:11,23:27;사58:6-9;욜1:14).
② 초기 신약시대에는 사순절 기간에 하루 중 한 끼만 금식을 하였다.
2) 일 년에 네 번인 경우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가 있는 동안에 다시는 그러한 비극을 당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일년에 4번(4,5,7,10월) 금식을 하였다(슥8:19).
① 4월 9일(성전 함락일) : 시드기야왕 11년에 바벨론왕 느부갓네살왕에게 포위되었다가 멸망당해
그 아들들이 왕 앞에서 죽임을 당하고 왕 자신도 두 눈이 뽑히고 쇠사슬에 결박당하여 바벨론으로 끌려간 날이다(렘52:6;왕하25:3-4).
② 5월 7일(성전이 불탄 날) : 바벨론 왕의 시위대 장관 느부사라딘이 예루살렘에 이르러 여호와의 전과 왕궁을 사르고 모든 귀인의 집을 불사르고 예루살렘 사면 성벽을 헐었을 뿐 아니라 모든 백성들을 바벨론으로 사로잡아 간 날이다(왕하25:8~12;렘52:12,13)
③ 7월 2일(그달리야 피살일) : 바벨론왕이 유다에 남아있는 이스라엘을 관할하는 책임자로 사반의 손자 아히감의 아들 '그달리야'를 세웠다. 그러나 예레미야 선지자를 도와준 것에 대해 반발하여 10여명의 사람들이 그를 죽이고 말았다(왕하25:25;렘40:5,6,41:1-7)..
④ 10월10일(성전 포위 개시일) : 예루살렘 성이 시드기야왕 때 바벨론왕 느부갓네살에 의해 포위된 날이다. 2년 넘는 포위로 말미암아 서로 상대방의 자녀를 잡아서 먹을 정도로 극심한 기근과 고통이 시작된 날이다(왕하25:1;렘41:1-).
3) 일주일에 두 번인 경우
① 유대인들은 월요일(모세가 시내산에서 내려 온 날)과 목요일(모세가 시내산에 올라 간 날)을 금식일을 지켰다(눅18:12).
② 초대교회 그리스도인들은 주 2회로 수요일(유대인의 음모의 날)과 금요일(예수님이 십자가에 못 박히신 날)에 금식했다.
4) 필요시 하는 경우
율법으로 요구된 것은 아니지만 사람들은 금식으로 하나님 앞에 소원을 표현하기도 하였다(삿20:26;삼상7:6,31:13;삼하12:21-23;에4;16).
① 여호사밧 : 모압과 암몬의 공격을 받자 온 백성에게 금식을 공포하였다(대하20:3).
② 에스라 : 유다 백성이 예루살렘까지 무사히 귀환할 수 있도록 금식을 선포하였다(스8:21-23).
③ 요엘 : 임박한 재앙을 보면서 거룩한 금식일을 정하도록 하였다(욜2:15).
④ 에스더 : 하만의 계략으로 멸절 위기를 당했을 때 백성들로 금식케 하였다(에4:15,16).
⑤ 니느웨 백성 : 니느웨 성이 무너지리라는 경고를 듣고 거족적으로 금식하였다(욘3:5-9).
⑥ 안디옥교회 : 바나바와 바울을 선교사로 세우고 파송하면서 금식하였다(행13:2,3).
⑦ 각 교회 : 장로를 택하여 세울 때 금식하였다(행14:23).
5) 금식을 행한 사례(事例)
① 40일 : 모세(출34:28;신9:9), 예수님(마4:1,2;눅4:1,2)
② 21일 : 다니엘(단10:2,3)
③ 14일 : 바울 및 함께 행선한 사람들(행27:33)
④ 7일 : 길르앗 야베스 거민들(삼상31:11-13)
⑤ 3일 : 에스더와 유대인들(에4:16), 사울(행9:8,9)
⑥ 하루 : 속죄일의 백성들(레23:27), 여호수아와 군대들(수7:6), 사무엘과 백성들(삼상7:6), 이스라엘 자손들(느9:1)
⑦ 주야로: 다윗(삼하12:16-23), 한나(삼상1:7), 안나 선지자(눅6,37)
⑧ 밤이 맞도록 : 다니엘(단6:18)
2. 금식의 어원(語源)
1) 히브리어 '촘'(som) : '자발적으로 음식을 삼가' 할 때 사용되었다.(느9:1).
2) 히브리어 '아나 네페쉬'(ana nepes) : '자신의 영혼을 괴롭힌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3) 헬라어 '네스테이아'(nesteia) : 종교적 훈련으로서 '식물 없이 지내다'를 의미한다(고후11:27). 이 어근의 기본적인 의미가 '식량이 없다'라는 점을 말해준다.
4) 헬라어 '네스티스'(nestis) : 주로 '굶주림', '먹지 못함'을' 뜻한다.
3. 금식의 정의(定義)
음식을 금하여 몸과 영혼에 고통을 가하면서 회개하여 죄를 씻고 자기 부정을 통하여 하나님께 간청하는 기도의 행위이다(느9:1,2;에4:3,16;레16:29;삼상1:7;사58:3-5).
4. 금식의 목적(目的)
1) 하나님의 부르심에 대한 응답으로 한다(욜1:14,2:15;눅5:33-35).
2) 성령의 감동과 인도로 한다(마4:2).
3) 예배의 준비로 한다(눅2:37;행13:2,3).
4) 죄를 회개하기 위해서 한다(삼상7:6;삼상12:16-23;왕상21:27;느9:1-3;단9:3;욜1:4,12-15;욘3:5,7).
5) 하나님 앞에서 자기 영혼을 경계하고 열납되는 기도를 드리기 위해서 한다(시35:13,69:10-13).
6) 여호와를 위하여 한다(슥7:5).
7) 특정한 문제에 하나님의 뜻을 찾기 위해서 한다(사20:26,행14:23).
8) 하나님의 긍휼과 자비를 구하기 위해서 한다(느1:4).
9) 하나님의 구원이나 보호를 구하기 위해서 한다(대하20:3;스8:21-23;에4:13,16;에9:31).
10) 깊은 슬픔을 만날 때, 고난을 당하였을 때 한다(삼상31:13;삼하1:12;삼하12:16-23;시35:13;단6:18).
5. 금식의 유익(有益)
1) 하나님께서 원하신다(사58:6-8;욜2:12).
2) 기도를 강하게 한다(사58:6).
3) 특별한 상황에 대처하는 대안이다(대하20:2,3;스8:21,23).
4) 경건 훈련에 유익하다(시69:10).
6. 하나님께서 기뻐하시지 않는 금식
1) 남에게 보이기 위함이며, 알아주기를 원하는 금식(사58;3).
2) 세상의 것을 즐기며 하는 금식(사58:3).
3) 남과 다투며 하는 금식(사58:4).
4) 금식함을 드러내려는 용모(사58:5).
7. 하나님께서 기뻐하는(*선택한) 금식
1) 억눌린 자에게 자유를 주는 것(사58:6). 2) 주린 자를 먹이는 것(사58:7).
3) 유리하는 자를 보살펴 주는 것(사58;7). 4) 벗은 자를 입히는 것(사58:7).
[ 기뻐하는->선택하신(사58:6) : 히브리어 본문에는 '나의 기뻐하는 금식'이라는 구절이 없다는 것입니다. 마소라 사본은 '기뻐하다'는 말이 아니라 '선택하다'는 뜻의 히브리어 '바하르'(bachar)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구절은 '내가 선택한 금식은 ...'이라고 번역해야 옳습니다. 모든 영역본은 'the fast that I choose'라고 번역하고 있습니다. KJV. ESV. NIV. NASB. RSV. JPS 등 거의 모든 영역본은 마소라 사본에 따라 '내가 선택한 금식'이라고 번역하고 있으며, 오로지 TNK 만 '내가 바라는 금식'(the fast I desire)이라고 번역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중국어 성경도 '선택한 금식'이라고 번역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 한글 성경은 개역 성경을 비롯하여 최근에 번역된 거의 모든 성경이 한결같이 '내가 기뻐하는 금식'이라고 번역하고 있습니다. 금식을 장려하기 위한 것인지 아니면 다른 의도가 있는 것인지 알 수 없지만 이는 분명 오역입니다. 개역 성경 오역의 한 구절이 한국 성도들의 신학과 신앙에 너무 깊이 뿌리를 내려 성경 번역자들에게까지도 무의식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대표적인 예가 아닌가 싶습니다.
/출처 : 손석태 (철학박사 개신대학원대학교 총장) ]
8. 금식에 관한 예수님의 가르침
1) 슬픈 기색을 나타내지 말 것(마6:16).
2) 얼굴을 흉하게 하지 말 것(마6:16).
3) 머리에 기름을 바르고 얼굴을 씻을 것(마6;17).
4) 은밀한 중에 하나님께 기도할 것(마6:18).
기도를 수반하지 않는, 건강이나 미용을 위한 단식(斷食), 식량 절약을 위한 절식(絶食)을 금식(禁食)이라 할 수 없습니다. 또한 '금식'은 모든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도깨비 방망이가 아닙니다. 하나님께서 하시는 일은 '금식'으로도 막을 수 없습니다. 한가지 예로, 하나님께서 다윗이 간음하여 낳은 아이를 죽이려고 작정하셨습니다(삼하12:14,15). 그런데 다윗은 아이를 살리려고 금식기도 하였습니다(삼하12:16,17). 그러나 아이는 죽었습니다(삼하12:16). 하나님은 금식하고 ,울고 , 떼쓴다고 응답하시지 않으신다는 증거입니다. 금식기도가 모든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만능은 아닙니다.
금식으로 응답 받는 경우는 하나님의 영광과 그의 나라와 그의 의를 위한 동기이고 목적이어야 합니다(마6;33).
자신이 속한 공동체의 죄를 회개하고 고난 중에 있는 형제들에게 관심을 가지며, 그들과 함께 재에 앉아 하나님의 뜻을 기다리는 것입니다. 그렇게 할 때 하나님께서 응답하신다고 하셨습니다(사58:8-11). '금식'하는 일, 그것은 하나님께 헌신하기 위한 한 방법일 뿐입니다.
자신이 해 왔고, 하고 있는 것이 '굶식(단식 또는 절식)'인지? '금식'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하면 네 빛이 아침 같이 비췰 것이며 네 치료가 급속할 것이며 네 의가 네 앞에 행하고 여호와의 영광이 네 뒤에 호위하리니 네가 부를 때에는 나 여호와가 응답하겠고 네가 부르짖을 때 내가 여기 있다 하리라"(사58:8,9상).
'기도!! 기도문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스미스 위글스워스 목사의 짧지만 강력한 간증 (0) | 2014.02.01 |
---|---|
[스크랩] 기도란 무엇인가? (0) | 2014.02.01 |
[스크랩] 위대한 기도의기술 (0) | 2014.01.13 |
[스크랩] 말씀의 능력과 기도 응답받는 비결 (0) | 2013.09.18 |
[스크랩] 관상기도에 대한 총회적 입장 정리 (0) | 2013.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