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CD cell 두날개 구역

[스크랩] Cell 리더의 자격

하나님아들 2013. 7. 19. 18:29

1. 사람들을 섬기는 삶
2. 매주 셀 그룹 멤버들을 만날 것
3. 기초 훈련을 받을 것
4. 담임 목사의 지도자 훈련을 받을 것
5. 십일조 생활을 할 것
* 기초 훈련 후 담임 목사와 면담 통해 확인 받음


목자로서의 셀 리더

1. 양을 돌보라(행 20:28-29)
2. 양을 알라(요 10:14-15)
3. 양을 찾으라(눅 15:4)
4. 양을 먹이라(시 23:1-3)
5. 양을 지켜라(요 10:10, 엡 6:12)


셀 리더가 할 일

1. 앞으로 셀 식구가 될만한 모든 사람들에게 전화하고 심방하며, 친교 카드를 작성하라.
2. 장소 제공자와 함께 사람들을 편안하게 만들라.
3. 모임 전에 장소 제공자와 함께 의논하고 기도하라.
4. 담임목사에게 매주 보고하라.
5. 뜨거운 기도 시간을 주도하라.
6. 삶의 나눔 시간을 인도하라.
7. 셀 모임의 각 책임자를 임명하고 훈련하라.


셀 모임 장소 제공자가 할 일

1. 편안한 집(사무실,기타 공간)을 제공한다.
2. 모임 시간 전에 가벼운 다과를 준비한다.
3. 리더와 함께 의자를 정리한다.
4. 잊고 오는 사람들을 위해 여분의 성경과 연필을 준비한다.
5. 사람들의 외투를 받아 정리한다.
6. 모든 사람(정기적인 참석자들과 손님들)에게 사랑과 수용의 분위기를 조성한다.
7. 손님들이 다 떠나고 난 후에 청소를 하고 가구를 정리한다.


셀 리더가 갖추어야 할 요소(PACE)

1. 정기적인 기도(Pray)
양떼들 중에는 심방이나 교역자들의 관심을 부담스러워 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일부는 자기 집에 방문이나 전화를 하지 말라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확실한 것은 “우리를 위해서 기도하지 마세요.”라고 요구할 사람은 없다. 셀 멤버를 위한 기도보다 더 중요하고 절실한 사역은 없다. 셀 리더들이 자신의 양떼를 위해서 기도할 때 그들 자신의 신앙이 자랄 뿐 아니라 상대방과의 말할 수 없는 신뢰관계가 형성되고 더욱 효과적으로 양육할 수 있는 힘과 지혜를 얻게 된다.

2. 셀 멤버와 가까이 있어야 한다(Available).
이것은 양떼들이 필요로 할 때 언제나 그 곁에 있으라는 뜻이다. 이를 위해서 셀 리더들은 셀 멤버가 언제라도 연락할 수 있도록 자신의 연락처(명함)를 주어야 한다.
3. 셀 멤버와 계속적인 접촉 유지(Contact)
셀 리더는 셀 멤버와 정기적인 만남을 통해서 교제 관계를 원활하게 유지해야 한다.

4. 모범된 삶(Example)
디모데 전서 4장에 보면 바울이 당시 에베소 교회에서 사역하고 있던 디모데에게 “누구든지 네 연소함을 업신여기지 못하게 하고 오직 말과 행실과 사랑과 믿음과 정절에 대하여 믿는 자에게 본이 되라”고 말하였다. 여기서 본이 된다는 것은 셀 리더는 굳게 선 자이고 앞선 자인데 셀 멤버는 죄인이고 뒤로 처진다는 의미가 아니다. 셀 리더도 똑 같은 인간으로서 약한 점이 있으므로 성령의 힘으로 자신을 복종시켜 겸허하고 신실한 사람이 되도록 해야 한다.


예수님의 방법

1. 공동체를 만드심. 삶과 사랑과 수용 방식을 보여 주심.
2. 타인의 결점을 너그러이 보아 넘김.
3. 3년간 함께 사시면서 잠재적인 가능성을 보게 됨
4. 경쟁적 관계를 버리고 섬기는 관계로 발전되어야 한다.
5. 명성, 타이틀이 아니라 자신을 아낌없이 주어야 한다.
6. 여행, 음식 나눔, 산에서 같이 잠, 돈도 같이 씀
7. 기도하는 방법을 거의 언급하지 않으셨다.
8. 배워지는 것이(not taught) 아니라 포착되는 것
(caught)이다.

셀 리더에게 필요한 헌신

(요12:26) 사람이 나를 섬기려면 나를 따르라
내가 있는 곳에 나를 섬기는 자도 거기 있으리니

1. 시간과 에너지를 드리는 헌신
2. 주님이 인도하시는 한 수년 간 드리는 헌신
3. 지속적으로 구비되고 성숙하려는 헌신
4. 맡은 양무리에 대한 충성과 책임을 다 하려는 헌신
5. 교회와 담임 목사에 대한 헌신
6. 셀 리더 주간 모임에 꼭 참석하는 헌신


예수님께 배우는 촉진자의 역할

1.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자신의 가치관을 모델로 볼 수 있게 하셨다.
2. 예수님은 다양하고 구체적인 정보들을 나누셨다.
3. 교실 상황이 아니라 실제적인 삶의 현장에서 배우도록 하셨다.
4. 배운 것을 실제로 해 볼 수 있도록 하셨다.
5. 실수를 허용하셨다.
6. 동료들끼리 서로 배우도록 하셨다.
7. 그들의 가치관이 틀렸을 때 인내하고 기다리셨다.
8. 가르칠 만한 때가 될 때까지 기다리셨다.
9. 시간을 변화의 인자로 생각하셨다.
10. 주변 환경을 진리를 심어주는 도구로 활용하셨다.

출처 : 행복†충전소
글쓴이 : 행복충전소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