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장교회와 선교에 관한 자료입니다.
목장교회의 선교와 사회봉사(구제)사역
목장교회는 이제 지구촌교회와 함께 지역교회로서의 동일한 특성을 갖습니다. 이에 지역교회가 갖는 보편적인 사역을 균형있게 추구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별히 모든 성도를 향한 주님의 지상명령이자 교회의 본질적인 사역이라고 할 수 있는 선교와 사회봉사(구제)에 대하여 목장교회가 다른 어느 사역보다 우선적인 관심과 균형있는 실천의 노력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에따라 올 해 부터는 목장교회가 교회 선교와 사회봉사 담당부서의 도움을 받아 후원할 선교사(혹은 선교기관)와 사회봉사 대상자(혹은 기관)를 선정하고 그에 대한 사역 및 후원 계획을 세우게 됩니다.
목 장 교 회 와 선 교
1. 목장교회와 선교 연결
- 각 목장교회는 의무적으로 한 선교사나 혹은 한곳 이상의 기관을 연결합니다.
- 기관이라 함은 국내의 미자립 교회나 혹은 선교단체를 말합니다.
♣ 원칙 : 1) 한 목장당 한 선교사나 기관 후원
2) 파송 선교사인 경우 한 선교사당 10개의 목장을 연결하고
협력선교사인 경우 한 선교사당 3개의 목장을 연결
미자립교회 및 기관은 2개의 목장과 연결한다.
♣ 가용한 목장 수 : 650개 예상
선교사 :21 파송 선교사 : 21 x 10개 목장 = 210개 목장
82 협력 선교사 : 82 x 3개 목장 = 246개 목장
기관:77개의 미자립 교회 77 x 2개 목장 = 154개 목장
20개 정도의 기관20 x 2개 목장 = 40개 목장
총 650개 목장
2. 목장 교회와 선교 헌금
- 각 목장의 목장원은 선교사(기관) 후원을 위해 월정 후원금을 약정하고 이에 대해 매월 첫 모임때 헌금하는 시간을 갖도록 합니다. 목장교회 행정담당자가 이를 수합하여 교회에 목장교회 이름으로 제출하면 교회에서는 이를 목장교회의 이름으로 해당 선교사나 기관에 송금하게 됩니다.
- 체계적인 선교 지원을 위해서는 개 목장교회별로나 개인적으로 연결된 선교사나 기관을 따로 지원하지는 않지만 특별한 경우 목장교회의 요청이 있을시 검토하여 공식 후원 대상자로 선정할 수 있습니다.
- 이렇게 모아진 재정이 부족할 경우 교회의 예산으로 부족한 부분을 채웁니다.
3. 목장교회와 선교 활동
1) 목장 교회는 선교사 가정에 관심을 가진다.
목장 교회는 선교사를 위해 모일 때 마다 기도한다.
목장 교회는 선교사의 사랑의 배려를 한다 ; 때마다 작은 관심의 표현이라도
목장 교회는 선교사의 전인적 성장에 관심을 가진다.
목장 교회는 선교사 자녀들에게까지 관심을 가진다.
2) 목장 교회는 선교사의 사역 지원에 관심을 가진다.
목장 교회는 선교사를 위해 작은 양이라도 재정적으로 지원한다.
목장 교회는 선교사의 필요를 자기 목장의 필요로 동일시 한다.
목장 교회는 선교사의 구체적인 필요까지 관심을 가지고 참여한다.
목장 교회는 선교사를 파송한 선교 단체에도 관심을 가진다.
3) 목장 교회는 선교사역에 참여한다.
목장 교회는 선교사가 사역하는 민족에 관심을 가진다.
목장 교회는 선교사의 사역지를 방문할 기회를 만든다.
목장 내에 동원 가능한 전문적인 사역 경험이나 기술 등을 활용해 사역에 참 여한다
4) 목장교회의 선교사역에 참여 방법의 예:
선교축제기간중 목장별 후원선교사에게 함께 격려의 편지, 카드 보내기
년말에 후원선교사에게 격려의 선물 보내기
후원선교사가 국내에 들어와 있을 때 초청해서 만남의 시간 갖기
각 해외선교단체에서 발행하는 선교회지 구독하기
단기선교여행에 가능한 목장식구들과 함께 참여하기
교회에서 열리는 선교세미나, 특강이 있을 때 함께 참가하기
4. 목장교회별 선교 담당자
- 각 목장별로 선교 담당자를 두어 모든 선교에 관계된 행정업무나 진행 사항을 주
관하게 합니다.
- 선교 담당자는 최소한 선교 폭발 과정을 마쳐야 합니다.
5. 특성화 목장교회 활성화
- 특성화 목장교회의 활성화를 통해 특별한 영역에서 종사하는 전문가들이 자신의 영역이 선교 사역에 동원되어 활용되도록 기회를 만들고 참여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합니다.
- 선교사역에 필요한 영역 예; 사역적인 분야에서 컴퓨터 팀, 영어 교사 팀, MK 지
원팀, 외국인 근로자 사역팀등, 지역적 관심 분야에서는 중국 선교관심자 모임, 라오스족 선교헌신자 모임, 캄보디아, 위그루족등
- 가능하면 이 사역을 담당하는 부서를 만들어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도 있습니다.
6. 선교훈련의 기회를 제공
- 목자나 선교 담당자의 정기적인 훈련 기회 마련
- 연합 목자모임이나, 개별 목장 모임을 활용해 선교적인 훈련의 기회를 만드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목장교회와 사회봉사
1. 목장교회와 사회봉사 연결
- 각 목장교회는 의무적으로 한 구제대상자(기관)을 연결합니다.
2. 목장 교회와 사회봉사 헌금
- 선교헌금 원칙과 동일하게 적용
3. 목장교회별 사회봉사 담당자
- 각 목장별로 사회봉사 담당자를 두어 모든 선교에 관계된 행정업무나 진행 사항을 주관하게 합니다.
- 사회봉사 담당자는 별도의 사회봉사 사역 훈련을 받게됩니다.
출처 : 행복†충전소
글쓴이 : 행복충전소 원글보기
메모 :
'NCD cell 두날개 구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마을장 가이드 (0) | 2013.07.19 |
---|---|
[스크랩] 목장교회주일 인도자 지침서 (0) | 2013.07.19 |
[스크랩] 목장내 선교와 구제 후원대상자 양식 (0) | 2013.07.19 |
[스크랩] 건강한 소그룹 지도자의 6가지 습관 (0) | 2013.07.19 |
[스크랩] 특성목장교회 설립 청원서 (0) | 2013.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