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원의 서정(순서)
제1편 구원 서정(순서)에 대한 견해
1. 개혁파의 구원의 서정
(1) 소명(召命): 그리스도에 의하여 이룩된 구원을 신앙으로 수납하도록 사람들을 초청하시는 하나님의 은혜로운 사역이다(롬 8:30)
(2) 중생(重生): 사람 안에 새 생명의 원소를 심고 영혼의 주관적 성향을 변화시키는 하나님의 행위(요 3:3-5)
(3) 회심(回心) : 죄인이 죄에서 떠나 하나님께 돌아가는 의식적인 변화(요일 1:9)
(4) 신앙(信仰): 죄와 죄의 결과로부터 구원을 얻기 위해 그리스도를 받아들이는 영혼의 운동으로서 하나님의 약속을 성심적으로 신뢰함이다(막 1:15)
(5) 칭의(稱義): 예수 그리스도의 의에 기초하여 죄인에 관한 모든 율법적요구가 만족된 것을 선언하시는 하나님의 재판적 행위이다(롬 8:30)
(6) 수양(收養): 사람을 외계의 세속적 가족으로부터 하나님 자신의 가족 중에 전입시키는 행위(요 1:12)
(7) 성화(聖化): 칭의로 죄인을 죄의 오염에서 건지셔서 그의 전 성품을 하나님의 형상으로 닮게 하시는 성령의 사역이다(롬 8:14)
(8) 성도의 견인(堅忍): 택함을 받은 자들을 기어코 구원을 받도록 하시는 하나님의 사역이다(딤후 4:18)
(9) 영화(榮化) : 그리스도의 재림으로 이루어지 구원의 완성이다(롬 8:30)
2. 루터의 견해
(1) 소명 (2) 조명 (3) 회심 (4) 중생 (5) 신앙 (6) 칭의 (7) 신비적 연합
(8) 갱신(renovation) (9) 보전(conservation)
3. 알미니안파의 견해
(1) 소명 (2) 회개 (3) 신앙 (4) 칭의(의의 전가) (5) 중생 (6) 성화 (7) 견인
4. 칼빈의 견해
(1) 소명 (2) 신앙 (3) 중생 (4) 회심 (5) 성화 (6) 칭의 (7) 예정 (8) 부활
5. 로마 가톨릭의 견해
(1) 충족한 은혜 (2) 협력 은혜 (3) 주입 은혜(성례)
6. 펠라기우스의 견해
(1) 회개(죄인의 자력으로) (2) 순종
제2편 구원의 각론
제1장 소명
1) 소명에 대한 정의
소명이란 그리스도에 의해 이룩된 구원을 신앙으로 수납하도록 사람들을 초청하시는 하나님의 은혜로운 사역이다(롬 8:30)
2) 외소(外召) 와 내소(內召)의 특징 및 차이점
<특징>
(1) 외소
① 일반적 보편적이다 : 말씀을 듣는 모든 사람에게 임한다.
② 외면적 자연 생활적이다 : 외면적이며 자연생활에 영향을 준다.
(2) 내소
① 개인에게 적용되는 유효성이다.
② 영원히 불변적인 성령의 사역이다.
③ 숭고, 신성, 천계성이다.
<공통점>
(1) 외소와 내소의 발령자는 하나님이시다.
(2) 외소와 내소의 공작자는 성령님이시다.
(3) 외소와 내소의 기구는 하나님 말씀이다.
<차이점>
(1) 외소는 하나님의 말씀을 듣는 모든 사람에게 임하나 내소는 피택자에게만 한다.
(2) 외소는 외면적 사죄와 구원에 관한 약속을 제시하고 내소는 구원에 이르는 효과를 가진다.
(3) 외소는 사죄와 구원에 관한 약속을 제시하고 내소는 구원에 이르는 효과를 가진다.
(4) 성령의 공작에 의하여 외소는 발생하고 내소에서 유효하게 된다.
* 외적 소명과 내적소명의 비교도표 *
|
외적 소명 |
내적 소명 |
정의 |
그리스도의 구원서술, 계시 열렬한 신앙권면 |
죄인 인도, 구원수납목적을 무오히 이루시는 소명 |
증명 |
청함받는자/택함받은 자 구별 믿는자/안믿는자, 복음배척 |
택함을 입은 자는 적으니라(마 22:14) |
발령자 |
하나님 | |
공작자 |
성령 | |
기구 |
말씀 | |
대상 |
하나님의 말씀을 듣는 사람 |
피택자 |
범위 |
외면적 자연적 생활에 |
내면적 영적 생활에 영향 |
효과 |
사죄 구원약속 제시 성령의 공작에 의해서 발생 |
구원에 이르는 효과 내소에서 유효 |
특성 |
일반적, 보편적, 성실한 능력 있는 소명 |
유효성, 불변성, 숭고, 신성, 천계성 |
제2장 중생
1) 중생에 대한 정의
중생이란 “사람 안에 새 생명의 원소를 심고 영혼의 주관적 성향을 변화시키는 하나님의 행위로 주관적 성향의 재창조”이다.
2) 중생의 성질
(1) 영적 새 생명의 심어들임과 주관적 성향의 변화이다[근본적 변화로서 전인격에 그 영향이 미친다].
(2) 홀연적 변화이다 : 즉각적 변화로서 중간계단이 없다.
(3) 비밀하고 헤아릴 수 없는 변화 이다 : 순간적으로 자신이 의식하지 못하고 변화된 다음에야 의식하게 된다.
중생이란 이렇게 영혼에 일어나는 변화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즉 겉 사람이 아닌 속사람을 말한다.
3) 중생의 필요성
1) 인간은 전적(全的)으로 부패했기 때문이다(렘 17:9)
2) 영혼의 전성향(全性向)을 갱신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인 내적 변화가 필요하기 때문이다(요 3:3)
렘17:9 “만물보다 거짓되고 심히 부패한 것은 마음이다”
요3:3 “ 사람이 거듭나지 아니하면 하나님 나라를 볼수 없느니라”
거듭나야만 하나님 나라에 입장할 수 있기 때문에 중생이 필요하다.
4) 구원 차서에 있어서의 위치와 중생의 동력인(動力因)
(1) 중생은 내적 부르심보다는 앞서고 외적 부르심은 넓은 의미에서의 중생보다 앞선다(외소, 중생, 내소)
(2) 성령만이 중생의 동력인이시다(요 3:5, 엡1:10, 빌2:13)
제 3장 회심
1) 정의
회심이란 “죄인이 죄에서 떠나 하나님께 돌아가는 의식적 변화”(요 3:9)를 말한다.
2) 특징
(1) 구원 과정의 한 부분이다.
(2) 재창조의 동작이다.
(3) 각성 의식에서 되어진다.
(4) 단회적 변화이다.
(5) 하나님의 초자연적 사역이다.
회심은 사람에 따라 변화되는 차이가 있다-바울, 디모데, 마틴루터
돌연적 회심과 점진적 회심이 있다.
3) 회심의 3요소
1) 지성적 요소 : 죄를 죄로 인식하는 것
2) 감정적 요소 : 죄를 슬퍼하는 것
3) 결의적 요소 : 죄에서 떠나는 방향전환
4) 회심의 조성자
1) 조성자는 하나님이시다
2) 사람은 협력자이다 : 사람은 피동적
3) 속사람에 관계된 하나님의 사역이다
제4장 신앙(信仰)
1) 신앙에 대한 정의
신앙이란 죄와 죄의 결과로부터 구원을 얻기 위해 그리스도를 받아들이는 영혼의 운동으로서 하나님의 약속을 성심적으로 신뢰함이다.
칼빈-“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자비를 확고하고 확실하게 인식함이다.”
벌콥“그리스도안에 있는 하나님의 약속에 대한 성심적 신뢰이다.
2) 신앙의 종류
(1) 역사적 신앙 : 역사적 사실만을 인식한다.
(2) 임시적 신앙 : 열매를 맺지 못하는 신앙이다.
(3) 이적의 신앙 : 개인의 확신이나 구원을 동반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4) 진정한 구원적 신앙 : 하나님의 약속에 대한 성심적 신뢰이다.
3) 신앙의 조성자에 대해 설명하라
1) 발령자는 하나님이시다 : 신앙은 하나님의 선물이다.
2) 조성자는 성령님이시다 : 전 인격에 조명하신다.
3) 기구는 하나님의 말씀이다. : 성령의 조명으로 말씀이 이해된다.
4) 신앙의 3요소, 혹은 신앙의 성분에 대해 설명하라.
1) 지성적 성분 : 진리 인식
2) 감정적 성분 : 정적 찬동
3) 결의적 성분 : 그리스도에 대한 인격적 신뢰
즉 知 情 意를 말한다.
5) 신앙의 대상에 대해 설명하라
1) 광의적인 신앙의 대상 : 하나님의 말씀에 포함된 하나님의 계시 전부
2) 특별한 신앙의 대상 : 예수 그리스도(구원을 완성시키신 예수 그리스도)
3)사도신경에 나타난 신앙의 대상
(1) 전능하사 천지를 만드신 하나님
(2) 그의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
① 성령으로 잉태되심
② 십자가에 못 박히신 그리스도
③ 부활하신 그리스도
(3) 성령(감동, 감화, 보호, 인도, 능력을 주시고 성경을 기록케 하심)
제5장 칭의
1) 칭의의 정의
칭의란 예수그리스도의 의에 기초하여 죄인에 관한 모든 율법적 요구가 만족된 것으로 선언 하시는 하나님의 재판적 행위이다.
2) 칭의의 성질과 특성
(1) 성질
① 은혜성 : 그리스도의 의에 기초한 하나님의 사랑이다.
② 법정성 : 하나님의 법정적 결정이다.
③ 선언성 : 죄인에 대해 의롭다고 선언하심이다.
④ 즉각 완전 최종성 : 반복되지 않는 최종 확정이다.
(2) 특징
① 죄책 제거 : 죄의 공포감에서 벗어나게 하신다.
② 외계에서 단행 : 하나님의 법정에서 단행된다.
③ 단번에 단행 : 점진적 과정이 아니며 반복되지 않는다.
④ 성부의 선고 : 성부의 사역이다.
* 칭의와 성화의 비교 도표 *
|
칭 의 |
성 화 |
1 |
죄책을 제거, 하나님의 자녀 영원한 기업을 부여함 |
죄의 오염 제거 죄인 변화, 신형상에 일치시킴 |
2 |
인적 외계에서 되는 신적 재판 |
인간내에서 되는 신적 행동 |
3 |
단번에 완성 |
점진적 과정 |
4 |
성부의 사역 |
성령의 사역 |
3) 칭의의 구성요소
1) 그리스도의 공로에 의해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죄에 적용되어 모든 죄책과 형벌 의 제거를 다 포함한다(사 43:24,롬 5:21)
2) 하나님의 자녀가 된다(요 1:12, 롬 8:15)
3) 하나님의 후사로서 영생을 기업으로 받는다(롬 8:17, 벧전 1:4)
제 6장 수양
1) 양자에 대한 정의
사람을 외계의 세속적 가족으로부터 하나님 자신의 가족 중에 전입시키는 행위이다.
2) 양자에 대한 기업
(1) 공포에서 해방, 참된 자유를 누림
(2) 하나님과의 간격 없는 교제
(3) 그리스도와 함께 영복을 누림
제7장 성화
1) 성화(聖化)에 대한 정의
성화란 칭의된 죄인을 죄의 오염에서 건지셔서 그의 전 성품을 하나님의 형상으로 닮게 하시는 성령의 사역이다(롬 8:14)
2) 성화의 필요
(1) 하나님의 거룩 때문이다.
(2) 성화 생활의 의무 때문이다.
(3) 죄가 남아 있기 때문이다.
3) 성화의 실제
(1) 여죄가 있을지라도 그 죄가 우리를 주관하지 못하기 때문에 성화 생활은 가능하다.
(2) 원칙상 성화되기 때문이다.
(3) 성령에 의하여 성화는 계속되는 것이다.
4) 성화의 성질
(1) 하나님의 초자연적 공작이다.
(2) 신자들이 협력하는 성령의 공작이다.
(3) 의식적으로 성령께 순종해야 한다.
5) 성화의 특징
(1) 악의 원소를 제거함이다.
(2) 전 인격에 영향을 미친다.
(3) 성화는 영적 성장이다 : 한평생 계속되는 것이다.
(4) 성령의 사역으로서 영혼에 호소한다.
6) 성화의 시기
성화는 내세에서 완성되는데 영혼은 사별의 순간 혹은 그 직후에, 신체는 부활 때에 된다.
제8장 성도의 견인
1) 성도의 견인(堅忍)에 대한 정의
택함을 받은 자들은 기어코 구원을 받도록 하시는 하나님의 사역을 말한다.
2) 성도의 견인에 대한 추론적 증명
(1) 선택의 교리 : 선택은 불변적이어서 피택자의 구원을 확실케 한다.
(2) 구속언약의 교리 : 성부 성자가 당사자이면서 성자가 중보이시므로 성도의 견인은 확실하다.
(3) 마음에 성령과 말씀의 역사 : 성령은 우리로 하여금 말씀에서 떠나지 않도록 역사하신다.
제9장 영화
1) 영화(榮化)에 대해 정의
영화란 하나님의 자녀들이 영혼과 신체가 함께 죄와 사망의 세력으로부터 완전히 해방되는 구속의 최종 완성을 말한다.
/출처ⓒ† : http://cafe.daum.net/cgsbong
'구원 이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성경으로 확인된 구원 (0) | 2013.04.30 |
---|---|
[스크랩] 구원의 10단계 (0) | 2013.04.17 |
[스크랩] 구원의 단계 (롬 8:28-30) (0) | 2013.04.17 |
[스크랩] 구원의 단계 (0) | 2013.04.17 |
[스크랩] 바울의 구원론 (0) | 2013.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