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도!! 기도문 !!

[스크랩] 특별한 기도들

하나님아들 2013. 3. 18. 00:01

특별한 기도들

 

 

1.신유기도

1)성경적 근거
사 53:3, 마 8:16-17
2)예수께서 병을 고치신 실례
3)제자들이 병을 고친 실례
행 3:1-11, 9:32-35, 14:8-10, 16:16-18, 20:9-12
4)신유기도의 필요성
하나님의 명령이며 약속인 까닭에(약 5:13,16)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길이기 때문에(요 11:4)
사단의 저주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5)신유기도에 임하는 바른 태도
죄를 자백하고 버려야 한다(요일 5:14)
치유는 하나님의 일반적인 뜻이지만 모든 병을 치유하는 것이 하나님의 뜻이 아님을 알아 야 한다(고후 12:7-9)
의사나 의약품은 질병을 치유하기 위해 만들어진 하나님의 뜻이다(사 38:21, 딤전 5:23)
하나님의 치유사역은 하나님에게 완전히 순종할 때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자세한 내용은 “능력 치유”에서 구체적으로 다루었다.)

2.금식기도

“예수께서는 요단강에서 성령을 가득히 받고 돌아 오신 뒤 성령의 인도로 광야에 가셔서 사십일 동안 악마의 유혹을 받으셨다. 그 동안 아무것도 잡수시지 않아서 사십 일이 지났을 때에는 몹시 시장하셨다.”(눅 4:1-2)
금식은 구약시대부터 신약시대를 거쳐 오늘에 이르기까지 하나님의 백성들이 자연스럽고도 중요하게 실시해 온 기도의 한 방법이며 수련 방법이다. 금식의 방법에는 부분적인 금식, 보통금식, 절대금식, 개인적인 금식, 정기적이고 공동체적인 금식 등이 있다.
금식의 올바른 자세로서는 금식의 동기와 목적이 영적이고 순수해야 하며, 금식의 방법이 개인의 영성 생활의 진보 과정과 건강에 알맞는 것이어야 한다. 또한 자기의 죄를 바로 보고 회개를 하기 위한 금식이어야 하며, 잘못된 습관이나 습관적으로 빠지는 죄에서의 해방을 위한 금식이어야 한다. 금식은 이웃에 대한 사랑과 섬김으로 열매맺는 것이 더욱 아름답다.

1)신약성경이 말하는 금식
①예수의 제자들에게는 요구되지 않았다(마 9:14, 눅5:33)
②금식할 때가 있다고 했다(마 6:16-18, 마 9:14-15)

2)성경이 말하는 금식의 지침
①겸손히 그리고 은밀히 할 것(마 6:16-18, 눅 18:9-14)
②하나님의 말씀을 읽으면서 기도에 전념할 것(삼상 1:6-8, 17-18, 느 1:4, 9:1-3)
③온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한다
온전한 금식의 예(신 9:9,18, 스10:6, 스 4:16, 행 9:9, 27:33,)-40일간 물도 마시지 않고, 음식도 먹지 않은 완전한 금식
부분적인 금식의 예(왕상 17장, 단 10:3)
④집단 또는 개인금식
집단금식의 예(삼상 7:5-6, 대하 20:34, 스 8:21-23, 느 9:1-3, 욜 2:15-16, 욘 2:5-10, 행 27:33-37)
개인적 금식의 예(삼하 12:15-16, 22-23, 왕상 21:27-29,시 35:13, 단 9:3, 눅 2:36-37,행 9:9)
⑤금식 자체는 아무런 영적 가치가 없다(사 58, 렘 14:12, 고15:50)
–올바른 동기로 해야 하나님에게 영광이 된다(사 58, 스 7:5-6, 마 6:16-18, 눅 18:9-14)
–식물로 하나님을 시험하지 말라(마 4:7)
–우리의 몸은 성령의 전이다(고전 6:9)
–우리의 몸이 극심한 훈련을 견딜 수 있도록 단련되어야 한다(고전 9:27)
–마지막 날에는 혼인을 폐하고 식물을 금하라고 거짓으로 가르친다. 이를 분별해야 한다(딤전 4:1-3)
–육체의 욕구를 부인함으로써 하나님의 음성을 정확히 들을 수 있다(신 9:18, 25)

3)얼마나 오래 금식해야 하나
성경적인 인물들은 원하는 것을 얻을 때까지 열성적으로 하나님께 구해서 얻었다(한나-삼상 1:6-8, 바울-행 9:9, 17-19). 단순하게 구하면 얻지 못한다는 사실을 분명히 하고 있다(다윗의 예-삼하 12:15-23).
①하루 밤(단 6:18)
②하루(삼상 7:6, 삼하 1:12, 3:35, 삿 20:26)
③사흘 밤과 낮(에 4:16, 행 9:9, 17-19)
④7일(삼상 31:13, 삼하 12:16-23)
⑤21일(단 10:3-13)
⑥40일 모세(2회 출 24:18, 34:28, 신 9:9, 18, 25-29, 10:10) 엘리야(왕상 19:8), 예수(마 4:2, 막 1:13, 눅 4:2)

4)언제 금식해야 하나
①장로 임직과 사역자의 파송(행 13:3, 14:23)
②하나님의 백성을 위한 중보기도(출 24:18, 신 9:8-9 12-20, 23-27, 스 10:6, 단 9:3-4, 욜 2:12-24, 욘 3:5-10)
③자신을 겸손케 하려 할 때(왕상 21:27-29, 시 35:13, 69:10)
④하나님의 인도하심을 구할 때(삿 20:26-28, 대하 20:3, 스 8:21-23)
⑤죄를 고백하고 회개할 때(삼상 7:6, 왕상 21:27-29, 스 10:6, 느 1:4, 9:1-3, 렘 36:6-10, 단 9:3-5, 20)
⑥치유를 구할 때(삼상 1:5-11, 18-20, 삼하 12:15-16, 22-23, 사58-8, 행 9:9, 17-19)
⑦심판의 팔을 거두기를 구할 때(신 9:18,25, 사 58:9)
⑧하나님의 말씀을 받을 준비를 할 때(신 9:18, 25 사 58:9)
⑨영적 싸움에서(사 58:6, 막 9:29, 마 17:21)
⑩두려울 때 도움을 구하면서(대하 20:3)
⑪다른 사람의 죽음을 애도하며(삼하 1:12, 3:35, 단 6:18, 에 4:3, 9:1-3)
⑫하나님의 보호하심을 구할 때(스 8:21-23)
⑬물질이 필요할 때(고후 11:27)
⑭금식은 신앙생활에 매우 중요하지만 하나님으로부터 응답 받는 통로로 사용해서는 안된다(렘 14:12, 삼하 12:15-1)

5)금식기도의 필요성
①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일(사 58:6)
②하나님을 섬기는 일(행 13:2)
③육신과 싸우는 일(고전 9:27)
④회개하는 일(욘 3:5, 삼하 12:15-17)
⑤기도에 전념하는 일(시 35:13)
⑥더 큰 축복과 사명을 감당하는 일(눅 4:1-2,14)

6)금식에 임하는 바른 태도
①반드시 기도로 행하라(눅 2:37)
②죄를 자백하라(느 9:1-12)
③애통하는 마음으로 하라(욜 2:12, 마 5:4)
④겸허한 마음과 태도를 가지라(대하 7:14)
⑤하나님이 기뻐하지 않는 금식(시 58:3-5)에 주의하라

7)금식기도의 결과
①하나님의 인도하심(삿 20:26)
②사단의 시험에서 승리(마 4:1-11)
③능력충만을 받음(막 9:29)
④감사생활(고후 11:27)
⑤섬기는 생활(눅 2:37)

8)금식 후의 유의점
①사단의 시험이 있음을 주의
②하나님과 사람 앞에서 겸손할 것
③건강에 특별히 주의할 것(고전 3:16)

8)금식 훈련
목적: 금식 기도를 통해 인간의 끝없는 욕망과 한없는 안락을 원하는 몸의 요구들을 극복하며,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살려는 결의를 다진다. 또한 금식으로 인해 모아진 음식을 굶주린 이웃과 나눔으로 이웃 사랑을 구체적으로 실천하며 그들과 내가 그리스도 예수의 피로 맺어진 형제 자매임을 깨닫고 확인하여 공동체 의식을 높인다.
성경 본문: 마태복음 6:16-18, 이사야 58:6-7, 마태복음 25:40, 고린도전서 9:27.
대상: 크리스챤이면 누구나
인원: 20 - 30명 또는 인원 제한없이 교회 단위로 할 수 있다.
소요시간: 사순절 기간과 나눔과 섬김을 위해 하루의 시간을 미리 정한다.
장소: 각자 자기 집이나 삶의 자리에서

기대되는 효과
a)사순절 동안, 특히 성주간의 금욕과 금식을 통해 예수님의 고난에 동참한다.
b)금식하는 동안 기도를 지속적으로 드림으로 기도를 생활화 한다.
c)몸의 요구를 스스로 제어하는 힘을 기른다.
d)습관적인 악행을 끊을 수 있다.
e)금식으로 모은 음식비로 이웃을 구체적으로 사랑할 수 있다.
f)어려운 이웃 안에서 고난 받는 그리스도를 찾아 섬길 수 있다.

진 행
a)사순절이 시작되는 재의 수요일 예배 후에 담당 목회자가 사순절의 뜻을 설명하고 사순절 동안 주님의 고통에 동참하는 의의를 설명한다.
b)주님의 고통에 동참하고 우리 죄를 구체적으로 참회하기 위해 수요일이나 금요일에 금욕과 금식할 것을 권면한다.
c)금욕과 금식의 기준을 교회의 현실에 맞게 정해서 알려 준다(예:사순절 동안 매 수요일과 금요일에 한 끼씩 금욕, 금식하고 성금요일에는 하루 온종일 금식한다). 이때 노약자나 병자, 어린이들에 대한 금식 기준은 보통 어른들과 다르게 해야 한다.
d)사순절의 마지막 주일이나 부활절 전야예배 혹은 부활 예배 때, 그 동안 금식으로 모은 음식비를 함께 모아 어려운 이웃과 나눌 것이라는 사실을 광고한다. 이때 도울 대상을 분명히 밝히면 참여도가 높아질 수 있고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금식의 열매를 나누는 봉사의 날을 미리 알려 준다.
e)금욕이나 금식이 자기의 의를 드러내는 도구가 되거나 타인의 신앙을 재는 자가 되지 않게 해야 됨을 일깨워 준다.
f)사순절 동안의 공중집회에서 금식의 뜻과 성실한 실천을 고무시킬 수 있는 권면의 말을 들여 줄 필요가 있다.
g)정해진 날 금식의 열매를 함께 모아 어려운 이웃을 찾아 나눈다.
h)교회 단위로 할 때는 대표나 원하는 참가자들이 음식을 실제로 만들어서 주거나, 그들이 오래 두고 먹을 수 있는 쌀 등을 직접 사서 주는 것도 좋다.
i)조별로 할 때는 회원들이 모여 어려운 사람을 직접 찾아 가서 사랑을 나누는 것이 공동체 의식을 높이고 신앙의 성숙을 가져오는 데 도움이 된다.

3.안수기도

1)안수기도의 의미: 기도하는 사람이 상대방의 몸이나 머리에 손을 얹거나 대고 기도하는 것
2)안수 받는 사람에게 믿음을 증진시키고 위로나 안위를 준다.
3)안수 받는 자는 안수하는 사람으로부터 성령의 다양한 증상들(몸이 뜨거워지거나 전기가 흐르듯 따끔거리거나 진동 등)을 느끼게 됨으로써 확신을 가지게 된다.

신구약에 나타난 안수의 예
1)구약에 나오는 안수의 예
–축복을 빌 때 안수하며 기도(창 27:1-29, 48:8:22)
–제사를 드릴 때 제물에 안수(출 29:10, 레 1:4)
–성직을 임명하거나 위임할 때(민 27:1-8, 신 34:9)
2)신약에 나오는 안수의 예
–어린아이에게 안수하여 축복함(마 19:13-15, 막 10:16)
–병자에게 안수하여 고칠 때(마 8:3, 막 7:32, 눅 13:11-13, 행 28:8)
–집사와 성직을 임명할 때(행 6:6, 9:17-18, 딤전 4:14)
–성령의 은사를 받기 위해 기도할 때(행 8:15-17, 9:17-18, 19:6-7)
3)안수에 대하여 주의할 점
안수하는 사람이 주의할 점(딤전 5:22)
–먼저 자신의 신앙이 바른지를 살필 것
–안수 받을 자의 신앙 정도와 태도를 살필 것
–교회의 덕이 되는지를 살피고 특히 이성간에는 각별히 주의할 것
–안수할 때 때리거나 무리한 힘을 가하지 말 것
안수 받는 자의 주의할 점
–안수하는 사람의 신앙 태도와 그 사람의 영을 분별할 것(솔타이가 이루어지기 때문)
–공개적인 장소에서 받도록 할 것
–충분히 기도하여 준비한 상태에서 기도를 받도록 한다.
–안수기도는 오직 믿음으로 받을 것이며 사명 감당을 위하여 받도록 한다.

4.예언기도

1)성경에 나타난 예언의 특성
–하나님께서 권위를 주심(사 41:22-23)
–성경의 완성을 위하여 특별 계시로 주신 예언(벧후 1:21)
–사사로이 해석해서는 안됨(벧후 1:20, 계 22:18-19)
–신자들의 올바른 생활을 위해서 주시는 은사적 예언(고전 12:10, 14:3)

2)예언의 목적(고전 14:3)
–덕을 세우기 위해서
–권면하기 위해서
–안위하기 위해서
3)잘못된 예언
–전문적인 예언기도
–말씀의 분별이 없이 예언을 행하는 것
–교회의 덕을 생각하지 않고 예언하는 것(고전 14:2)
–자기 생각대로 임의로 하는 예언(신 18:22, 겔 13:2-3)
–예언을 자기 욕망의 도구로 사용하는 사람
–예언을 마치 점치는 식으로 하는 사람
4)예언 은사를 받은 사람이 주의할 점
–질서를 따라 덕을 세우며 할 것(고전 14:3, 14:40, 14:31-32)
–예언의 은사(감동)가 없는데 억지로 예언하지 말 것
–예언을 사용하거나 점치는데 쓰지 말 것
–예언기도로 하나님의 뜻을 알려고 하지 말 것
(‘예언’에서 자세하게 다룸)

5.대표기도

공적인 예배에 회중을 대표하여 기도하는 것을 말한다.

–중보기도로서의 기능
–공동기도로서의 기능
–사랑의 실천으로서의 기능
–경건한 예배의식으로서의 기능
–기도의 방향을 제시해주는 기능
–책임감 있는 봉사로서의 기능
–논리적 사고와 발표력을 기르는 기능

대표기도는 개인기도와 차이가 있다. 그 점들을 살펴보면,

–기도의 범위:
–기도의 형식:
–중보기도적 특성:
–시간과 공간의 제한성:
–기도를 위한 준비성:

대표기도를 할 때 아래와 같은 점들에 주의해야 한다.

a)대표기도자는 회중의 감사하는 마음을 헤아려 잘 반영되도록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고 기도해야 한다(빌 4:6)
b)대표기도자는 회개와 용서를 구함으로 회중의 누적되어있는 감정의 나쁜 요소들을 제거하도록 하여야 한다.
c)대표기도자는 기도의 내용이 주관적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세심한 배려를 해야 하며 너무 지루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d)대표기도자는 모든 사람들의 마음이 하나되도록 간구해야 하며 위로와 힘이 되는 내용으로 간구해야 한다.
e)대표기도자의 음성은 모든 사람이 다 잘 들을 수 있을 정도의 음량을 고려해야 하며 표준어를 써야 하고 비속어나 은어는 배제해야 한다.
대표기도자는 다른 사람을 가르치거나 설교하는 식으로 하여 듣는 사람의 기분을 상하게 해서는 안되며 온유와 겸손으로 하나님께 드리는 기도가 되어야 한다.
f)대표기도자는 미사려구나 중언부언하지 말아야 하며 솔직하고 담백하게 기도해야 한다.
g)대표기도자는 태도와 옷차림이 남의 모범이 되어야 한다.

대표기도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a)준비
–기도하는 곳이 어디이며 언제인지를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
–회중의 성격이 어떠한지를 파악하여 무엇을 기도해야 할지를 알아야 한다.
–공중의 요망사항이 어떤 것인지를 살펴 기도해야 한다.
b)형식과 내용
–하나님께: 찬양과 감사, 경배, 회개 ,믿음의 헌신
–자신과 이웃에 대해: 청원, 연민, 신뢰
–찬양과 아멘: 하나님께 찬양하고 신뢰에 대한 확신으로 아멘

성경에 나타난 대표적인 대표기도의 예는,

a)예수 그리스도(요 17:1-26)
b)느헤미야(느 1:3-11)
c)엘리야(왕상 18:36-37)
d)솔로몬(대하 6:14-42)

-장봉운

출처 : 행복충전소 † 대명교회
글쓴이 : DMpastor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