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한 기독교자료2
유용한 기독교자료 |
|
원본보기
http://cafe.daum.net/cgsbong/21Ky/558
|
성경의 장절(章節) 구분자 및 연대 5584 |
성경이 하나님 말씀인 이유 |
건강한 교회에 꼭 필요한 여덟 가지 질적 특성 |
로마의 기독교 공인 과정 |
주의 날, 그리스도의 날, 하나님의 날 |
사탄과 마귀의 사역적 상이점 |
동서교회 분열 |
앗시리아 마지막 왕 산혜립(다음 백과사전 발취) |
외경이 정경이 될 수 없는 이유 |
사본이란 무엇인가 |
칠십인경과 에클레시아 |
이스라엘 역사개관 (제2차 성전시대 이후 ) |
성경 말씀을 최초로 기록한 종이원료 파피루 |
성경에서 말하는 인간의 죄(부패, 행악) |
기독교 윤리 요약 |
로마제국의 노예제도-로마의 '종'과 바울의 '종'(doulos) |
신약 성경의 교리적 근거 |
로마문명과 정치제도 |
창세기 사건들과 관련된 족장들의 연대와 나이에 관한 연구 |
성경과 신조 |
성경속 5가지 면류관 |
족장들의 수명과 후손 |
각 은사에 대한 정의 |
교회란 무엇인가? |
알미니안주의 와 칼빈주의의 비교 |
율법적 신앙의 특징 |
우림, 둠밈 |
제사장은 누구일까? |
천사와 악마의 계급 |
천년 왕국(千年王國)에 대한 여러가지 견해 |
니골라 당의 행위와 교리 |
사랑(愛, love)에 대한 이해 |
지구라트(바벨탑) |
히브리어 알파벳-쓰기와 읽기와 듣기와 명칭들 정리 |
성경의 난제는 어디서 오는가? |
교회의 명칭과 사명 |
구약성서는 어떻게 만들어졌고 어떻게 우리 손에 들어오게 되었을까? |
방언의 유익 29 가지 |
종교다원주의란 무엇인가? 5528 |
이슬람제국의 형성과 발전 |
유대인 안식일 금령 39가지 |
유대인의 안식일 |
예수님은 어느 나라 말을 쓰셨는가? |
히브리어와 아람어의 관계 |
십자군 전쟁이란? |
아시아 일곱 교회 |
거짓말에 대한 성경적 이해 |
경건의 시간을 갖는 방법 |
이스라엘의 형벌에 대한 예언과 성취 |
에서의 아내들 (Esau’s Wives) |
유대적 배경에서 본 복음서 |
마태, 마가, 누가, 요한 복음 - 4복음서의 특색과 공통점, 차이점 |
금식의 성서적 배경 |
비유를 사용하신 목적 |
성경 400년간의 침묵기 |
신구약 중간기에 무슨 일이 있었나? |
기독(基督)의 뜻을 아십니까? |
칼빈의 교회론 |
카타콤 |
막달라 마리아는 창녀가 아니었다 |
언약궤(출 25:10-22) |
하나님의 이름 |
유대기독교와 헬라기독교 (행 6) |
교회론 |
믿음의 종류들 |
교회의 본질 |
구약의 배경 |
유대인의절기 |
예수님의 제자들의 순교 5484 |
은사와 봉사 |
이스라엘의 기원 |
신약성경의 종교적 배경 |
성경은 가르치고 찬송을 불러야 한다 |
천사론 |
기독론 |
삼위일체론 |
하나님의 작정 |
상대적인 속성 |
하나님에 대한 여러가지 호칭 |
상징적인 이미지 |
경건주의 운동 |
창세기 어떻게 읽을까? |
출애굽기 어떻게 읽을 것인가? |
헬레니즘과 크리스트교 문화(헤브라이즘)의 비교 설명 |
영성 |
성경의 형성사 및 번역사 |
십자군 전쟁이란? |
예수님 당시의 유대 사회 여성의 지위 |
죄의 정의 |
성도의 성화 |
에센파와 쿰란 공동체 |
유대인의 식탁법 |
성경이 말씀하는 죄들의 목록 |
장로는 어떤 사람을 말하나요? |
신유의 은사와 영적치유의 연관성 |
성경적인 장로직에 대하여 |
"인자" |
대제사장 계보 |
“귀신(Demon)에 대하여" |
“사단(Satan)에 대하여” |
역사적 예수의 기록 |
개혁주의 신앙이란 무엇인가? |
성경과 성서의 차이 |
성경의 역사 |
하나님의 섭리에 대하여 |
거룩한 성 예루살렘 성의 성곽의 기초석들 |
마르틴 루터의 95개조 반박문 |
로마의 기독교 10대 박해 요약 |
현대 유대인은 안식일을 어떻게 지키나? |
구속사적으로 본 성경의 중심주제 : 구원 |
집사의 사명과 상급 |
성경에서 말하는 색의 상징 |
삼위 일체론의 견해들 |
단테가 묘사한 지옥의 모습 5430 |
성경이 말씀하는 죄 |
구약성서에 나타난 거룩의 개념 |
신약시대의 로마군병들 |
직분자의 자세 |
성경에 기록된 예루살렘의 시대별 변천사 |
율법과 복음 |
성경에 나타난 주요 악령들 |
사본과 인쇄본의 역사 |
방언에 대하여 |
히브리어 성경의 비밀 |
초기 번역본들의 증거 |
십자가 대속(代贖)에 대한 이해 |
이스라엘 풍습을 통해서 본 유대인의 정체성 |
그리스도인의 죽음과 부활 |
신학서론 |
신론 (Theology Proper) |
하나님의 속성 |
교회력(敎會歷:Liturgical Year)5407 |
유대인의 할례 (브릿트 밀라) |
각 은사에 대한 정의 |
제사장의 옷이 우리에게 주는 영적 교훈 |
유대인의 신년(新年) |
BC와 AD, 어떻게 사용되었을까? |
레위기의 제사법 |
은혜의 자급자족 큐티가 주는 유익 |
하나님에 대한 여러가지 호칭 |
하나님의 아들들 |
구약 언어학 |
소아시아 계시록의 일곱교회 |
바울은 왜 고린도에서 1년 반을 머물렀을까? |
창세기의 톨르도트(톨도트) 구조 |
도피성 |
죽음 이후의 삶 그리고 부활 |
십자군 전쟁 |
성전(聖殿)과 교회 그리고 예배당의 차이 |
하나님의 이름(1999년 5월호) |
복음에 대한 상식 |
세례의 의미 |
구원에 관한 아홉 가지 용어들 |
성경의 형성과정 |
성경의 권위는 성령에 의해 확증된다 |
성경 연대기 및 교회사 |
교회력과 의미알기 |
어거스틴연구 |
금식 |
지식의 은사 |
로고스 " 와 " 레마 |
천국(天國)-> 하나님 나라 |
동양적 명상법과 성경적 묵상법 |
은 사 |
구약의 배경 |
히브리어 성경의 원본과 사본 |
외경의 요약 5364 |
성경의 영감 |
오리엔트의 신비 |
창세기 사건들과 관련된 족장들의 연대와 나이에 관한 연구 |
칼빈의 성경론 |
유대적 배경에서 본 복음서 |
이스라엘 주변국왕조의 연표 |
성경의 영감설 |
헤롯의 무덤발견과 계보들 |
고대 이스라엘의 성전 재정 운영에 관한 연구 |
고대 근동과 이스라엘의 사회제도 비교 |
이스라엘 풍습을 통해서 본 유대인의 정체성 |
일반계시와 특별계시-하나님이 우리에게 나타나시는 방법 |
예수님의 아름다운 이름 |
목회자 및 교역자라면 꼭 알아야 할 곳 BEST 모음 |
하나의 복음 안에 있는 교회 |
교회의 권징에 대한 이해 |
성경 내용별로 시대구분 |
자녀를 훈계하는 성경적인 방법 |
십자가의 종류와 그 유래 |
구약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구원 받았는가 ? |
성경 역사의 시대 구분 |
성경의 흐름 |
칼빈의 성경해석방법/유해신 |
이 스 라 엘 의 역 사 |
삼위일체,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하나님의 성품: 하나님은 나에게 어떤 분이신가요? |
신비주의 그 기원과 발전을 주시하라 |
회개란? |
성경의 靈感(Inspiration of the Bible) |
아담의 계보 |
신약성경 요약 4595 |
면류관은 무슨 의미인가?” |
어거스틴과 칼빈의 기독교 교리와 신앙 |
팔레스타인과이스라엘의 분쟁이유 |
바벨탑과 니므롯 |
묵시문학의 기원 |
마카비혁명과 하스몬왕조1 |
마카비혁명과 하스몬왕조2 |
회심이란 무엇인가? |
고대배경 |
복음주의/근본주의/개혁주의의 비교 |
바리새인의 안식일 39종 금지법 |
한국교회 주요 교파 |
'네피림에 대한 연구'(모세오경에서의 쓰임에 대해) |
안티오쿠스 4세의 박해 |
성경속에 나타난 WORSHIP DANCING |
신약성경에 나타난 예수님의 사역 |
"구약성경에 나타난 내세" |
"신약성경에 나타난 내세" |
교회가 중요시해야 할 신약의 네 단어 |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가 소유한 일곱가지 |
진정한 회개 |
회개 용어의 정의 |
신약성경에 나타난 회개 |
하나님의 절대적 속성들 |
성경의 靈感(Inspiration of the Bible) |
신약성서 배경사 |
유대인의 성인식 |
하나님의 절대적 속성들 |
기독교의 구원론 |
새 예루살렘의 12 보석 |
조직신학 [평신도용] |
구원의 5대 교리(敎理) |
기독교와 자본주의와 맘몬니즘 |
기독교 강요 요약 |
죄의 정의 |
하나님 나라의 성장에 관한 비유들 |
수호천사 |
성경의 정경과 외경 |
기독교에서 술담배 금하는 이유 |
신약의 배경과 總論 |
새 예루살렘의 12 보석 |
공관복음서 이해 |
"바이블"이란 말은 어디서 유래되었는가? |
외경(外經, Apocrypha)과 위경(僞經) 및 기타 문서에 대하여 |
칠십인역(Septuagint, LXX) |
그리스도의 음부강하(Descended into hell) |
대요리문답 (大要狸問答) |
성령님은 누구이신가 |
시편에 나오는 음악용어들 |
이스라엘의 사사시대 (사사기) |
예수님의 제자 - 11명 |
율법과 복음 |
新約의 역사적 배경 |
칼빈주의 연구 |
죽음이란 무엇인가? |
집사의 직분을 잘한 자는 (딤전3:8-13) |
구약의 배경 4529 |
유대인의 할례 |
성경 장별 정리 [66권, 1189장] |
聖 어거스틴의 고백론 |
하나님의 존재에 대한 7가지 증거 |
성경의 올바른 사용 |
예수님12 제자들의 생애의 순교 |
위경(僞經)에 대하여 |
조화를 이루는 율법과 복음의 관계 |
각 교단별 교리 및 신앙관행의 차이 |
주기도문 비교 |
존 웨슬리 |
정경과 외경의 차이 |
각 교단별 교리 및 신앙관행의 차이 |
구약과 고대 근동의 문화적 배경 |
성경 분류와 구원의 역사 |
신약에 나타난 기독론, 구원론, 성령론, 종말론 |
히브리어 주기도문 |
초대교회 10대 박해사 |
개신교 박해사(迫害史)와 종교재판 |
역사적 예수의 족보 |
마태복음에서 요한 계시록까지 요약 |
신양성경 총정리 |
신양성경 총정리 |
교회와 하나님 나라 |
진정한 교회 |
순교의 역사 |
상실된 두 지파:에브라임(EPHRAIM)과 단(DAN) |
구약성경에 나타난 놀이문화 |
구약 포로기 이스라엘의 역사적 위기와 신앙적 극복 |
하나님의 종에 대한 정의 |
교회의 본질은 무엇인가? |
스가랴의 환상과 계시 가운데 등장하는 나무들 |
교회란 무엇인가? |
웨 스 터 민 스 터 대 교 리 문 답 |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 |
성만찬연구 |
교 단 사(敎 團 史) |
교회의 조직과 정치 그리고 직분 |
주기도문비교 4474 |
유용한 기독교자료1
경건의 시간 5362 |
신약 성경의 정경적 권위의 근거 |
예루살렘 10개의 문과 의미 |
로마의 기독교 박해 이유 |
사해사본의 어제와 오늘 |
구약에 나타난 안식일/바리새인들 |
성경의 영감론 |
교회의 명칭과 사명 |
신약의 배경과 總論 |
영화와 상급에 대하여 |
교회력의 중요성 및 각 절기의 기원과 의미 |
제비 뽑기 |
사탄과 마귀와 악마의 정리 |
유대인의 안식일 |
“세 가지 형태의 설교” |
지구라트(바벨탑) |
썩어 없어지기 보다는 닳아서 사라지리라 |
하나님이란 이름에 대하여 |
네피림은 누구인가? |
신약의 역사적배경 |
동방박사들은 몇명이 왔는가? |
동방박사들은 누구인가? |
동방박사(Magi) 집중탐구 |
교회론 |
대림시기 의미와 전례, 생활 |
기독교 가정의 각종 예식에 관한 자료 (결혼/약혼/장례/추도) |
성경 66권을 통해 만나는 하나님 |
'예슈아(예수)'라는 이름의 두 가지 이유 - 아셰르 인트레이터 - |
살인(殺人)에 대한 성경적 이해 |
그리스도인의 재능 |
구원(救援)에 대한 이해 |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과 묘사 137가지 |
하나님의 이름 |
지구가 중심으로 생각되던 시대 |
유대인의 세계 유랑과 유대교 |
방언(方言)에 대한 이해 |
잠언 30장 아굴의 잠언에 대한 소고 |
서신서 첫 구절 끝 구절 |
예수님을 믿는 이들은 죽으면 어떻게 되는가? |
주여!" 삼창에 대한 이해 |
구약의 언어 |
그리스도의 3직론 |
원죄 (존 웨슬리) |
히브리어의 기원 |
감독(Bishop), 장로(Elder) |
히브리어 정경은 어떻게 형성되었나 |
개혁주의 신앙이란 무엇인가? |
성경적 직분(봉사)관 |
칼빈의 기독교 강요 요약 |
영적전쟁Spiritual Warfare이란 무엇인가? |
섬김의 종류, 규범 |
섬김의 본질 |
섬김이란 무엇인가 |
히브리어 주기도문 송 |
창세기의 다스리게 하다, 라는 세 단어 |
이사야 선지자와 술 취한 불량배들과의 대화 |
초대교회 연구 |
하나님의 이름 |
'최후의 심판'(審判)에 대한 이해 |
로고스와 레마가 다른가? |
순교자(殉敎者) |
구약성서는 어떻게 만들어졌고 어떻게 우리 손에 들어오게 되었을까? |
여호와의 의미 |
기독교 교리 개요 |
구약 총론 |
사단의 정체와 그가 하는 일의 특성 |
로마가 기독교을 선택하게 된 동기 |
구약의 5대 제사 |
성경과 성서의 차이 |
교회론 |
기독교 강요 요약 |
성경에 기록된 지옥을 언급한 말씀들 |
겉 사람과 속 사람, 옛사람과 새사람 |
교회의 역할과 사명 |
구약 성서의 613 계명 목록 |
창세기에 간격이 있는가? |
예수님의 마귀론과 천사론 |
○ 구약의 언어 ○ |
고대 근동과 이스라엘의 사회제도 비교 |
피의 복음 |
유다 왕국의 종말(대하 36:2-20) |
신약 성경상의 하나님의 율법 |
성경에서의 수(數) |
예수그리스도에 대한 예언과 성취 |
성경의 고유명사 음역에 관하여 |
요한복음의 논리 |
구약에 있어서의 부와 가난 |
기도의 응답이란 무엇이냐? |
사해 |
8일만의 할례, 과학적 이유 |
천사론(天使論:ANGELOLOGY) 천사 |
모세의 율법과 이방 법전 |
구약성서에서 본 그리스도의 그림자 |
니골라 당의 행위와 교리 |
성경 연대기 총망라 |
에스라서에 나오는 바사 왕들... 역사책에서는 어디쯤에 나오나? |
기독교 사상사를 결정지은 니케아 회의 |
간추린 이스라엘 역사 |
남왕국 유다와 바벨론 포로 |
이스라엘 역사 |
금식의 역사적 배경 |
이스라엘의 나팔절 |
율법과 복음 |
유대인 역사가 요세프스(Josephus)- 마사다 (MASADA)를 말하다 |
이스라엘의 왕권 형성 |
사회봉사에 대한 성서적 이해 |
천사의 수, 조직, 서열 |
사탄의 용어 |
전도하러 가지 않고 전도하는 방법 |
집사,장로,전도사 명칭개요 |
성경상의 기적에 대한 연구 |
예수 그리스도의 족보에 나타난 이방 여인들 |
성경은 어떠한 책인가? |
종말론적 의식을 가진 설교자 칼빈 |
집사의 위치(딤전 3:8-16) |
성경에 나오는 언약(축복) |
성경 저자와 그 배경 |
유대인의 세계 유랑과 유대교 |
성화 (聖化) sanctification |
찬송가와 복음성가 그리고 CCM |
죄의 정의 |
예수에 대한 예언과 그 성취 |
헬레니즘과 크리스트교 문화(헤브라이즘)의 비교 설명 |
모세와 Pascha / 유월절의 유래 |
박해 속에서 확장되는 교회 |
사 복음서 저자의 관점 비교 |
유대인 역사와 유대인 가정 |
바벨론과 다니엘 |
2C 말 까지의 신약성서의 정경화 |
제사장 |
칭의의 성격 |
비잔틴 제국과 로마교 |
구약성서에 나타난 거룩의 개념 |
신약성경의 정경화 과정 |
성경해석의 역사 |
구약의 지리적 배경 |
성막에서 거행된 제사와 영의 |
신약과 구약의 상호관계 |
경건의 시간 (QUITE TIME) |
죄의 분류(큰 죄와 작은 죄) |
기독교의 뿌리는 십자가다 |
십자가 문양과 해석 |
기복신앙은 기독교가 아니다 |
교회를 기업화하지 말자 |
교회(敎會)혁신(革新)개혁(改革)은 시급한 과제 |
주님의 사역과 구속 |
왜 성경이 무오한 하나님의 말씀인가 |
왕에 관련된 문제들 |
헤롯의 무덤발견과 계보들 |
성경에 기록된 우주의 신비 |
신,구약성경 장별정리 |
구약시대 / 앗시리아의 침공 |
복음서의 기록 |
바울의 회심후 아라비아의 행적 |
구약 제사의 종류와 그 상징적 의미 |
'방언'에 대한 이해 |
성막에 대한 다른 명칭들 |
개혁파 신앙과 알미니아니즘 |
가나안의 자연 지리 |
누가복음에만 나오는 내용 |
비교 성찬론 |
사해(死海)두루마리의 개념과 역사적 배경 |
성경이 말씀하는 죄들의 목록 |
계보(족보) |
교회란 어떤 곳인가 |
사본과 인쇄본의 역사 |
히브리어의 기원 |
초대교회 사도들의 주소 |
신구약 중간과 신약 시대의 대제사장들 |
쿰란에 대하여 |
사해에 대하여 |
성찬의 진정한 의미 |
포로후기의 유다공동체 |
이스라엘 왕과 유다왕을 한눈에 보기쉽게 정리한표 5121 |
모라비안(Moravian) |
이스라엘의 지정학(Geopolitical) 개요 |
중생의 정의와 본질 |
성화 (聖化) sanctification |
창조의 주체 |
신약의 이해 |
올바른 성경 해석의 원리 |
유대교연구 |
성경적 직분(봉사)관 |
열광자 시몬 |
구원의 확신과 구원에 대한 의혹 |
시편 연구 |
고대 근동과 이스라엘의 법규 비교 연구 |
새 예루살렘의 12 보석 |
순교란 무엇인가? |
성도의 죽음에 대한 묘사 |
교회직분을 맡은 일꾼들(일꾼: 집사) |
구약성경에 나타난 부활의 희망 |
사탄의 본질 |
각 은사에 대한 정의 |
“아멘”이라는 말의 사용에 관하여 |
하나님(God) - 최고의 존재 |
유대인의 할례 (브릿트 밀라) |
그리스도인과 담배 |
유대인 안식일 금령 39가지 |
쿰란 Qumran Dead Sea Scrolls |
바빌론 유배 이후 이스라엘과 초기 유다교 문헌 |
구약에 나타난 하나님의 이름 |
쿰란 사본들은 무엇을 뜻하는가 |
구약성경과 식생활 |
신약성경과 식생활 |
성경에 나타난 예배 변천사 |
성경만이 갖는 특수한 가치 5048 |
신약성경에 나타난 ‘복있는 사람들’ |
유대인의 `키파`는 왜 쓰는 건가요? |
신관의 유형 |
기독교 진리의 확실성 |
예수 그리스도의 족보에 나타난 이방 여인들 |
교회절기와 스톨색상 |
헤롯 왕가에 대하여 |
안티오쿠스4세박해에 대하여 |
신관의 유형 |
예루살렘 10개의 문과 의미 |
성령의 열매와 성령의 은사 |
십자가의 종류와 그 유래 |
성경의 의의와 특성 |
구약 언어학 |
기도는 신앙의 기본이다 |
성경의 형성사 |
초대교회의 10대 박해 |
구약성경의 12가지 주제 와 분류 4958 |
콘스탄티누스 대제와 그리스도교 |
죄란 무엇인가? |
성경이 말씀하는 죄들의 목록 |
성경적 음란의 의미 |
찬송에 대한 자료들 |
성경에 있어서의 다양성과 통일성 |
회 개 |
유아세례의 여러가지 견해들 모음 |
교회의 종류 |
공관복음서의 중요차이점 |
싯딤나무(조각목) 로뎀나무, 쥐엄나무 |
은사의 종류 |
율법에 대한 잘못된 고정관념 |
성찬식의 의미 |
위경과 외경의 종류 |
장로의 본분 |
천지 창조의 순서 |
예수님의 5가지 칭호와 의미 |
신약 성경의 정경적 권위의 근거 |
히브리어 성경의 원본과 사본 |
공격적인 전도 |
400년간의 침묵기 |
성령 세례를 받는 일곱가지 단계 |
'드라빔'은 무엇일까? |
성경의 각종 새의 상징 |
성경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인물들은? |
구약 성경에 나타난 점과 예언" |
수도원의 유래 : 파코미우스(St. Pachomius) |
마카비 혁명과 하스몬 왕조 |
성경속 5가지 면류관 |
누가 순교자인가? |
유대인의 욕설과 게헨나 (마태5:22) |
사탄의 용어 4791 |
성령의 인격성 (聖靈의 人格性) |
방언의 유익 29 가지 |
이스라엘 주변국왕조의 연표 |
애굽의 약사 |
그리스도 배척의 죄와 그 대가 |
예수님의 기도론 |
성경의 언약 |
야웨의 이름의 기원과 의미 |
구약성서에서 본 그리스도의 그림자 |
성경의 영감성(靈感性)과 성경해석의 원리 |
구약성서에 나타난 거룩의 개념 |
성경과 신발 |
신구약 성경의 일관성과 통일성 |
콘스탄티누스 대제와 그리스도교 |
우슬초 |
왜 성경이 무오한 하나님의 말씀인가 |
헬레니즘과 크리스트교 문화(헤브라이즘)의 비교 설명 |
이스라엘의 국어 |
기독교와 한글 연표 |
히브리어와 아람어의 관계 |
동방 정교회 특징 |
구약과 돈 |
오경의 통일성 |
목사의 칭호 유래 |
찬송가와 복음성가의 구분법 |
쿰란 사본들은 무엇을 뜻하는가 |
성경에 많이 등장하는 도량형과 화폐 |
교회의 본질 |
구약성경에 나타난 놀이문화 |
구약 외경 및 위경 연구 |
모세의 율법과 이방 법전 |
고대 유대 동전 연구 |
성경에서 말하는 색의 상징 |
일반계시와 특별계시-하나님이 우리에게 나타나시는 방법 |
예수 당시에 유대인들은 세금을 얼마나 냈을까? |
영감이라는 말의 올바른 적용 |
세례의 의미 |
영감의 범위 |
새벽기도의 유래 5362-4640 |
<생각 한 꾸러미> 통전적인 해석
성경 해석을 시작할 때는 반드시 먼저 구약에 대한 바른 이해가 있어야 한다.
구약 성경에 대한 이해가 없이는 신약 성경의 해석은 거의 불가능하다.
지금까지의 신학이 기록된 성경을 통하여 하나님의 뜻을 가르치려고 여러 가지 방법으로 노력해 온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 여러 가지 방법으로도 하나님의 뜻을 알기는 어려웠다.
1. 교리(敎理)는 너무 간추려서 알기 어렵고
2. 주석(註釋)은 너무 방대하게 확대하여 알기 어렵고
3. 설교(說敎)는 평생 들어도 미흡하고
4. 신학(神學)은 어렵기도 하고 시대 따라 변동한다.
그러나 성경을 통독하면서 통전적인 안목으로 성경을 해석하는 방법은
교리처럼 축약(縮約)되지도 않았고
주석처럼 부풀리지도 않았고
설교처럼 미흡하지도 않고
시대를 따라 변동하지도 않는 방법이다.
1.성경을 전체적(全體的, 通全的, 通時的, 通視的)으로 보고 해석해야 한다.
2.66권 각권을 통하여 말씀하시고자 하는 하나님의 뜻을 찾아야 한다.
3.교리적(敎理的) 선입관(先入觀)에 지나치게 매이지 말고 온 성경 전체를 살펴서 해석해야 한다.
4.성경이 본래적(本來的)으로 말씀하시는 그 뜻이 드러나도록 해석해야 한다.
5.불변적(不變的)인 진리와 가변적(可變的) 윤리 사이에서 책임성 있는 해석을 해야 한다.
6.특수성(特殊性)보다는 보편성(普遍性)에 관심을 가지고 성경을 해석해야 한다.
7.성경이 문자로 계시된 신언(神言)이라는 관점에서 신 중심적(神 中心的)으로 해석해야 한다.
8.해석하지 않고도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은 전혀 해석 없이 읽어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9.성경에 나타난 하나님의 약속(約束)에 대하여서는 믿음을 가지도록 해석하야 한다.
10.성경에 나타난 하나님의 명령(命令)에 대해서는 순종과 실천을 할 수 있도록 해석해야 한다.
11.66권 중에 필요 없는 성경은 단 한 권도 없다는 관점에서 모든 성경을 고루 해석해야 한다.
12.성도들로 하여금 66권의 성경 말씀을 통시적(通視的) 안목으로 성경을 볼 수 있게 해석해야 한다.
13.전체(全體)가 부분(部分)을 해석한다는 관점에서 성경을 짦은 기간 내에 통독을 하면서 해석한다.
14. 번역이 불완전한 부분에 대해서는 원어 성경에서 직역하여 보완하고
그 외 부분에서도 번역된 성경의 자구(字句)보다는 전체를 흐르는 신의(神意)에 관심을 가지고 해석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