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 마드리드 의대 연구팀 연구결과 발표 4개국 200만명 건강조사DB활용 연구 진행 사망예방 효과, 운동량 많을수록 고령층에서 커
사진은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이미지투데이
일주일에 중강도 신체활동(PA)을 150분 이상 하면 사망 위험을 평균 22% 줄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운동을 통한 사망 예방효과는 고령층이 컸다.
스페인 마드리드대 의대 데이비드 마르티네스-고메스 교수팀은 22일 미국의학협회 학술지JAMA네트워크 오픈(JAMANetworkOpen)에서 미국·영국·중국·대만 성인 200여만명의 운동량과 사망 위험을 11년간 추적,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미국과 영국, 중국, 대만의 건강 조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20~97세 201만1186명을 대상으로 신체활동 가이드라인 충족 여부와 연령대별 사망 위험 간 연관성을 평균 11.5년 동안 추적했다. 이 기간 사망자는 모두 17만7436명이었다.
분석 결과 주당 권장 운동량 이상 신체활동을 하는 사람들의 사망 위험은 운동하지 않는 사람들보다 22% 낮았고, 사망 예방 효과는 운동량이 많을수록, 그리고 고령층에서 더 큰 것으로 조사됐다.
주당 권장량만큼 운동하지 않는 그룹과 비교할 때 권장량만큼 운동하는 그룹의 사망 위험은 14% 낮았다. 운동량이 권장량의 2배인 그룹은 22%, 3배인 그룹은 25%, 4배와 5배인 그룹은 각각 26%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또 권장량 이상 운동할 경우 연령대별 사망 위험 감소 폭은 20대에서는 16%였으나 80세 이상에서는 22%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신체활동과 사망 위험 간 연관성이 전 생애에 걸쳐 일관되게 유지됐다며 이는 교육 수준이나 흡연, 음주, 체중, 고혈압, 당뇨병 등 다른 요인들과 사망 위험 간 연관성이 나이가 들면서 감소하는 것과는 대조되는 것으로 모든 연령대에 동일한 신체 활동량을 권장하는 현행 가이드라인을 뒷받침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