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세 오경

레위기 요약

하나님아들 2024. 5. 9. 16:24

레위기 요약

 

1. 레위 지파의 제사장직분에 대해 다루고 있다.(레8~10, 21~22장)

 

(1) 레위기는 레위지파에게 희년과 관련하여 간단하게 언급. (레2:32~33)

(2) 민수기 : 전적으로 레위지파의 역할을 다루고 있다.

 

2. 개요 : 레위기란 단어는 레위지파가 아니라 제사직분과 관련된 용어이다.

 

(1) 제사장 제도를 통해 거룩한 분에 나가는 길

 

➀ 제사에 대한 율법들(1~7장) ➁ 제사장 위임에 대한 율법들 (8~10장)

 

(2) 위생, 성화를 통한 거룩에 이르는 길

 

➀ 육체적, 도덕적 부정에 대한 율법들(위생 : 11~16장)

➁ 육체적, 도덕적 거룩에 대한 율법들(성화 : 17~26장). 맹세에 관한 율법들(27장)

 

3. 제사 제도

 

➀ 하나님과 인간 관계를 지속 시키기 위한 제사 제도.(1~7장)

➁하나님께서 명하신 희생 제사(외적인 행동)와 회개(내적인 마음 가짐)

➂ 평범한 개인이 반복해서 드리는 제사 강조. (공적 제사 강조 :출30,38~41)

 

(2) 제사의 종류 ; 자발적으로 하나님께 드리는 찬양과 감사. 하나님께 바치는 효과 언급.

 

➀ 전번제-올려드림(1장) ➁ 소제 -곡식(2장) ➂ 화목제 -언약의 식사(3장)

 

(3) 제사를 드리는 자에게 미치는 결과 (4:31)

 

➀ 속제죄 -회개의 제사(4:1~5:13) ➁ 속건제 -죄에 대한 회개(원상회복, 5:14~6:7)

 

(4) 보충적 지시 사항

 

➀ 제사장 : 제물을 바치는 사람이 갖고 있는 책임들.(1:1~6:7)

➁ 신도 ; 제사를 집전하는 사람들의 책임. (6:8~7:38)

 

4. 제사에 대한 지시 사항들

 

(1) 교육적 순서 : 논리적, 개념적인 연관 관계에 의한 제사 배열.

(2) 절차에 따른 행정적 성전 기록 : 빈도수에 따른 제사 순서.

(3) 절차상 순서 : 죄가 먼저 해결

 

➀ 속죄제(정화의 제사)

 

* 제사장 위임식(레8장) : 속죄제→번제

* 아론의 대제사장직(레9장) : 속죄제 →번제

* 백성 제자 (레9장) : 속죄제 →번제→소제→화목제

 

➁ 전번제 / * 나실인 : 번제→속죄제→화목제 * 하나님 : 번제→속죄제→화목제

 

5. 제사들의 공통적인 요소

 

예배자가 예물을 가져오고 예물의 의미는 하나님과 친밀성이 강조.

 

➀ 제물은 흠없는 소, 염소, 양과 같은 가축(때로 곡식)이며 개인의 경제적 능력에 따름.

➁ 희생 제물로 사용되는 동물(타임 :히브리어) : 육체적, 도덕적 정결(신약 메시아 배경)

➂ 제사가 윤리적 부패를 가리는 연막으로 사용되면 안된다.

(외적인 순종과 내적 거룩 일치)

➃ 희생 제물의 정결성은 ‘너희 몸을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거룩한 산 제물로 드리라’

(롬12:1)

 

6. 예물을 바치는 자의 능력에 좌우된다. : 비천한 사람에게 터무니없는 요구를 안 하신다.

 

➀ 소, 양, 새 ➁ 제사장과 회중은 수송아지,족장은 숫염소,보통사람은 암염소,양,새.

'모세 오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주는 하나님의 창조의 미학  (0) 2024.06.06
민수기  (0) 2024.05.09
레위기 요약  (0) 2024.05.09
.레위기  (0) 2024.05.09
민수기(Numbers, Book of)  (0) 2024.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