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법과 복음과 언약!!

행위 언약과 은혜 언약 비교 도해

하나님아들 2023. 12. 5. 11:30

행위 언약과 은혜 언약 비교 도해

 

 

 
행위 언약과 은혜 언약 비교 도해 
같은 점 1) 계약의 창시자가 하나님이시다.
2) 계약의 당사자는 하나님과 인간이다.
3) 계약의 외적 형태는 "조건"과 "약속"이다.
4) 계약의 "약속내용"은 양자가 모두 영생이다.
5) 계약의 목적은 모두가 하나님의 영광이다.
다른 점 행위언약 은혜언약
하나님은 창조자와 주님
(하나님의 사랑과 자비)

인간은 하나님의 피조물


중보자 없음

인간의 불확실한 상태
(순종과 불순종)

율법을 지켜야 영생

행위계약은 본성으로 일부분 알려졌다.
하나님의 법이

인간의 마음에 기록되었기 때문.
구속자와 아버지이신 하나님
(하나님의 돌보심과 특별은혜)
 
인간은 죄인/그리스도(보증인)안의 당사자

중보자 있음

중보자 그리스도의 절대적이고
확실한 순종

예수그리스도를 신앙함으로써 영생

은혜 계약은 전적으로
특별 계시를 통해서
알려진다.
은혜 언약의
계약당사자
제1당사자는 하나님이시다. 제2 당사자가 자기에게 대해 가지실 관계를 솔선하여 은혜롭게 결정하시는 당사자. 제2당사자는 목적 자체(생명의 교통의 언약)로 볼 때는 피택자이다. 그러나 목적에 대한 수단(합법적 관계의 언약)으로서 넓은 의미의 언약에서는 객관적 협약이므로 언약의 생명을 받지 못하는 자들도 포함한다. 그렇지만 구원의 실현이라는 수단적 의미에서는 신자들과 그 자녀들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은혜언약의
약속과 요구
약속-하나님과 백성의 참된 관계 회복, 영적 상징으로서의 현세적 축복의 약속,
        죄의 사유와 양자, 칭의의 약속, 성령의 약속, 최종적 영광의 약속(영생)
요구-믿음과 순종이다. 믿음으로 언약과 그 약속들을 받아 언약의 생명에 들어가고
        새 생명의 원리에 따라 새로운 순종으로 하나님게 헌신해야 한다.
은혜언약의
특징
1) 은혜로운 언약
2) 3위 1체의 언약
3) 영원하여 파기될 수 없는 언약
4) 오직 피택자에게만 해당되는 특수적 언약
5) 본질상으로는 모든 시대에 동일한 언약(내용, 약속, 실현 방법)
6) 조건적이면서도(신앙) 무조건적이다(공로에 의지하지 않음)
7) 하나의 유언이다. 전적으로 하나님이 주시고자 하는 축복의 계획이다.
    특히 그리스도의 죽음으로 소개되었다.
은혜언약과
그리스도와의
관계
  그리스도는 언약의 중보자이다.
  그리스도는 특별한 중보자이다. 그 이유는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 개재하셔서
  중재만 함이 아니라 실제적인 능력을 가지고 보증인과 율법 완성자로서 그가
  대표하는 사람들이 하나님과 정상 관계를 갖도록 회복시키기 때문이다.
언약 안에
있는 확신
언약 안에 있는 성인 성인은 신앙과 신앙 고백을 통해서 합법적 협정으로서의 언약에 들어갈 수 있다. 신앙은 유일한 방법이다.
신자의 자녀들 신자의 자녀들은 나면서부터 합법적 관계로서 언약에 들어간다. 그 자체가 생명의 교통으로서의 언약 관계가 아니고 조만간 현실이 되리라는 합법적인 관계이다.
비중생자 합법적 협약으로서 언약에 참여된 비중생자는 회개하고 신앙을 가진 의무와 책임이 있다. 그들이 하나님께 돌아와서 그리스도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언약의 파기자로서 심판 받게 된다.
여러
경륜시대의
언약
창3:15의 언약의 최초 계시 원복음이라 불리우는 창3:15에서 인류가 두 부분으로 구분되며 장차 두 후손이 어떤 관계에 있으리라는 언약의 관념이 명백히 나타나고 있다.
노아와의 자연의 언약 자연은 언약, 또는 일반 은총의 언약이라고 하는 노아와의 언약은 자연의 세력과 악의 권세가 제어 함을 받는다는 자연적 축복의 약속이다. 이것도 역시 하나님의 은혜의 언약이다.
아브라함과의 언약 칼빈은 아브라함과의 언약을 대단히 중시한다. 구약의 특수한 언약 수행의 시초이다. 선민이 시작되는 언약이다. 현세적, 영적 축복이 모두 약속되었다. 이 약속은 아브라함의 믿음을 따르는 후손에게 실현된다.
시내산의 언약 율법은 본질적으로 아브라함 계약과 같다. 예배를 포함하는 이 언약은 은혜 언약에 공헌한다. 죄의식의 증진과 그리스도에게 이끄는 교사 역할을 한다. 하나님의 요구와 메시지에서 그 상징과 전형이 나타났다.
신약 시대의 언약 신약의 언약도 본질은 같다. 다만 보다 보편적으로 되었으며, 영적 축복이 더욱 풍성해졌다. 언약의 경륜시대는 재림시까지 계속된다. 이 언약 관계는 하나님과의 친밀한 생명의 교통에서 실현될 것이다.

 

/출처ⓒ† : http://cafe.daum.net/cgsbong

'율법과 복음과 언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7가지 복음들(비교표)  (0) 2024.01.01
요한계시록의 언약적 구조  (0) 2023.12.24
성경의 주요 언약들  (0) 2023.12.05
7가지 복음들(비교표)  (0) 2023.11.27
구약시대의 법  (0) 2023.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