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 웨슬리는 1703년 부친 사무엘 웨슬리와 모친 수산나 사이에서 첫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부친은 엡워드의 영국국교회 목사로서 청교도적 영향을 받았던 사람이었다.
요한 웨슬리의 신앙적 배경의 한 축을 이루는 부친의 영향을 몇 가지 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경관 - 사무엘 웨슬리는 "성경연구와 성경과 관련된 저술에 몰두했는데 욥기의 히브리어 단어를 일일이 검토하는 등 철저하게 연구하여 200여 쪽의 방대한 욥기 주석을 출판할 정도였다. 요한이 성경의 원어인 히브리어와 헬라어는 물론 라틴어에 대하여 능통한 것은 아버지 사무엘의 영향이었다."
둘째, 세계관 - 사무엘은 교회가 세계를 향한 선교적 차원에서 사역을 감당해야 된다는 환상과 확신을 갖고 있었다. 그는 젊었을 때 이러한 확신 때문에 "복음전파를 위한 신도회"를 위한 선교사로 자신을 헌신한 적이 있다. 그의 노년에 자신이 다 할 수 없는 조지아 선교를 위하여 사랑하는 사위를 추천했으며 요한도 복음적 회심을 경험하기 전에 미국의 인디안들을 위하여 선교사로 간 바 있다. 그리고 저 유명한 올더스게이트의 회심 이후에 "세계는 나의 교구"라는 신념으로 사역하였다.
셋째, 조직의 면모 - 사무엘 웨슬리는 당시의 신도회를 옹호하였는데, 그는 후에 스스로도 그러한 신도회를 만들었다. 요한 웨슬리의 신도회에 대한 자세는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것이었다. 그는 복음적 회심 이전에도 가는 곳마다 신도회를 만들었다. 그리고 복음적 회심도 올더스게이트에 있는 어느 신도회에서였다. 실제로 1739년에는 존 웨슬리도 아버지, 사무엘의 모형을 사용하여 신도회를 시작하였던 것이다. 옥스퍼드에서의 Holy Club 운영과 후일 메도디스트 운동의 핵이 되는 속(Class)의 운영 등은 부친의 조직가적인 면모를 이어받은 것이라 할 수 있다.
웨슬리는 죽을 때까지 독립된 교회를 조직하기를 완강히 거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미 여러 형태의 조직을 형성하고 유용하게 사용하였다. 그의 여러 조직 가운데 조모임, 속회, 회개회, 선택자회 등은 웨슬리가 조직하고 요긴하게 활용한 소그룹 운동이었다. 웨슬리의 이러한 조직들은 산업화 사회에서 극빈층으로 전락되고 노동력을 정당한 대가없이 착취당하던 노동자들의 규합체인 노동조합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실제로 노동조합의 조직 및 핵심인물들은 '속회'의 조직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고 실제로 이 '속회'의 지도자들이 후일 노동조합의 중요한 인물들이 되기도 하였다
한편 그의 어머니 수산나는 청교도에서 영향을 받은 이로서 웨슬리 형제들에게 있어서 경건생활의 모범이었으며 그것을 지도한 선생이었다. 수산나는 "엄격한 시간표, 하나님 앞에서의 묵상과 자기 성찰을 위한 규칙적인 시간, 영적 일기의 기록, 안식일의 엄수"등의 청교도적 경건을 가르쳤다. 무엇보다도 수잔나는 자녀들의 영적 생활을 체계화시키려고 노력하였다. 그녀는 다른 어떤 것보다 "자녀들의 영혼 구원을 숭고한 목적"으로 삼고 있었다. 그 목적을 이루기 위한 가장 좋은 장은 역시 가정이었다.
청교도들에 의하면 가정은 "작은 단위의 교회로서, 기도, 성경 읽기, 교리 문답 및 세부적인 신앙에 대한 지침을 함께 나눌 수 있는 곳"이었다. 자녀들이 하나님을 경외하면서 성장하려면 될 수 있는 대로 어려서부터 고집이 꺾여야 했다. 수잔나는 의지를 제어하려는 목적으로 여러 가지의 규율을 만들었으며, 그것들을 자녀 훈련에 엄격히 적용하였다. 물론 이런 수잔나의 교육방법은 너무 엄격하다는 비난을 받은 것도 사실이었으나, 존 웨슬리는 어려서부터 굴복과 단련을 터득하였다. 그녀는 자녀들과 더불어 신앙 문제는 물론 그들의 영적 성장에 대하여서도 토론하였다. 요한 웨슬리의 인격에 미친 어머니의 영향은 절대적이었다.
요한이 감리회 운동을 시작했을 때 어머니의 삶을 본받아 각별한 노력을 기울여 개개인의 영혼을 돌보았을 뿐 아니라, 소그룹을 통하여 각 개인의 필요를 채워 주었던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사무엘과 수산나의 영향이 내적인 것이었다면 다음의 몇가지 요소들은 그가 18세기 부흥운동을 주도하는데 목회적, 신학적 형성과 실천의 토대가 되는 것들이었다. 그는 영국국교회, 청교도, 모라비안 경건주의, 마틴 루터의 주석, 가톨릭교회의 신비주의, 동방교회의 교부들 등 많은 것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그뿐 아니라 웨슬리는 토마스 아켐피스, 제레미 테일러, 윌리암 로와 같은 신비주의 저자들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았다. 그 외에도 퀘이커 교도와 미국의 조나단 에드워즈도 웨슬리에게 영향을 미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