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 바울의 에클레시아와 교부 시대의 가정 교회
(1) 홍성철
: 소위 가정 교회를 논의하는데 있어서 함께 모이지 않았던 더 작은 규모의 집에서 모인 모임은 소 그룹의 모임 (oikos)이었으므로 소 그룹 모임과 지역 교회의 모임(ekklesia)인 지역 교회 (local church)을 구별하여 정의해야 한다. 소 그룹은 은사를 가진 신자와 장로가 이끌었고 지역 교회도 장로와 감독이 그들의 은사를 활용하였다. 지역 교회에서 장로들과 감독들은 교회를 감독하고 돌보는 기능을 감당하였다.
서론
최근 초대 교회 가정 교회 (oikos, house church)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소위 가정에서 모였던 가정 모임(house church)과 지역 교회 (ekklesia, local church) 사이에 분명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고 초대 교회에서 가정 교회 (house church)의 중요성, 정의, 그리고 그 역할만 강조해왔다. 1) 대부분 학자들은 가정 교회는 예배를 위한 규칙적인 모임을 가졌고, 이런 가정 교회 모임은 전도 중심적 (evangelical)이었으며, 가르침이 있었고, 세례, 성찬과 잔치가 베풀어졌고, 기도와 교제가 있었다고 동의한다.
그러나 가정 모임(house church)과 지역 교회 (ekklesia, local church)를 정의하는데 있어서 무엇이 소 그룹인지 대 그룹인지 분명히 구별하지 못하는 혼돈을 가져왔다. 따라서 이 글은 (1) 사도 바울이 세운 교회는 소 그룹 모임과 지역 교회 모임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살펴보기도 한다. 지역 교회라고 볼 수 있는 에클레시아 교회가 가정 교회 (house church, oikos)안에서 어떻게 함께 공존하였는지 살펴본다. (2) 바울이 세운 에클레시아에서 소 그룹인 가정교회와 대 그룹인 지역 교회에서 누가 리더였고 어떤 역할을 했는지를 연구한다; (3) 교부 시대에 가정교회를 살펴본다.
우리는 먼저 바울의 에클레시아가 무엇인지를 그 어원적, 문화적 배경부터 살펴보기로 한다.
1 에클레시아 용어의 정의
사도 바울이 사용한 교회 (ekklesia)는 고대 헬라 도시의 국가의 도시 국가(polis)로서 사용되었다. 헬라의 도시 의회는 그들이 모임을 갖기 위해 그들의 신들에게 예배하며 기도하고 모임을 시작하였다. 헬라의 시의회인 에클레시아인 교회의 용어는 헬라 도시에서 정치적인 용어로 사용되었다.
이 헬라 도시의 법적인 시의회를 말하던 에클레시아는 사도행전 19: 39절에서 에베소 시의회가 지니는 법적인 집회를 말한다. 2)
구약성경에서 하나님의 백성 (qahal)을 상징하는 히브리어로 카할 (qahal)은 백성들의 모임와 정치적 단체 (body)임을 의미한다. 헬라어 구약 성경은 셉투아진트 (the LXX)는 하나님의 총회를 에클레시아로 번역한다 (신 9:10; 23:3; 사 21:5,8; 미 2:5). 구약성경에서 하나님의 회중인 에클레시아는 땅에서 하나님의 증인으로서 그 은혜와 진리를 보존하는 것이었으며, 모든 민족들에게 야웨 하나님을 나타내기 위한 영광과 진리와 은혜를 구체적으로 드러내기 위하여 부르심을 받은 공동체였다. 3)
사도 바울의 에클레시아인 교회는 세상의 미신 종교와 숭배 종교의식과는 전혀 달랐다. 1 세기 당시 많은 종교 사상과 이방 숭배 의식 중에서 예수 운동은 이 종교적 용어인 에클레시아란 용어를 사용하였다. 이것은 그들의 공동체가 다른 세상적 모임과 종교 사상과는 전혀 다른 공동체임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었다. 4)
신약성경에서는 하나님의 교회로 사용된 하나님의 에클레시아는 유대인의 회당 (synagoge)과 다른 공동체임을 생각하며 그리스도인들은 그들을 에클레시아라고 부른다. 왜냐하면 유대인의 회당은 (synagoge) 유대인들이 건물 중심으로 모였고, 회당이란 이름은 유대인의 모임이었기 때문이었다. 이것은 하나님의 에클레시아는 지역에서 건물 중심으로 모이던 유대인의 공동체와 다른 공동체임을 나타내고자 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이 용어를 사용한 교회 공동체는 건물 중심으로 모이고 지역 중심으로 모이는 유대교와 다른 하나님의 백성의 공동체를 구현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일반적으로 헬라어를 말하는 유대인들은 자신들이 회당 중심으로 모이는 유대인으로 불려지기를 원하지 않았다.
1세기에 헬라 도시의 시의회인 에클레시아는 로마 황제 숭배에 열을 올린 로마 황제와 제국주의 숭배에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로마 황제는 헬라 시의회를 제원하고 헬라 시의회는 황제를 신으로 숭배하여 충성을 맹세하는 주인과 충성을 맹세하는 보호와 수혜 관계로 맺어져 있었다.
사도 바울의 공동체인 에클레시아는 헬라 도시 시의회인 에클레시아와 유대인의 회당 (synagoge)과 다른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의 공동체임을 차별화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사도바울의 공동체인 에클레시아는 로마 황제 숭배에 지대한 공헌을 하던 헬라 도시의 시의회인 에클레시아는 분명히 다른 공동체였다. 따라서 사도 바울이 지향했던 하나님의 백성의 공동체인 에클레시아는 로마 제국의 수혜와 후원 관계에 열을 올린 헬라 도시의 시의회인 에클레시아 (행 19:39: 정식으로 민회에서 결단할지라)와 건물 중심으로 유대주의 회당 (synagogue)와는 다른 새로운 하나님의 사회를 만들고자 차별화하고자 하였다.
사도 바울이 교회인 에클레시아는 로마 사회가 계급 사회로 불평등 계급 사회였다면 예수를 믿는 하나님의 백성은 사회적 계급이 에클레시아에 존재하지만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평등 사회를 지향하는 새로운 사회임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5)
2 로마 제국 안에 불법적인 공동체로서 교회 공동체 에클레시아와 로마 종교
사도 바울의 공동체인 에클레시아는 로마 제국이 인정하지 않은 불법적인 집회와 모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함께 모여서 하나님을 경배하고 예수 그리스도를 왕으로 섬기는 공동체였다. 로마 제국은 네로 황제는 검투사 경기를 모든 백성들에게 제공했기 때문에 정치적으로 로마의 평화를 깰 수 있는 정치적 선동이 될 수 있는 정치적 집회를 인정하지 않았다.
로마의 종교법에 따르면 로마는 각 민족들의 종교가 로마 제국주의 사상이나 황제 숭배를 반대하지 않는다면 인정하였다. 그러나 로마의 종교법에 따르면 로마 제국이 합법적으로 인정하는 종교 (religio)는 로마 민족이 인정하고 진짜인 종교를 합법적인 종교로 여겼다. 그러나 이 합법적인 종교와 반대로 로마가 인정하지 않은 종교는 미신 종교로 (superstitio) 여겨졌다. 이 미신 종교는 로마 제국의 조상 대대로 내려오는 전통과 관습으로부터 벗어난 종교를 일컬었다. 로마 제국에 따르면 이 미신 종교는 도적적인 위기의 시기와 전염병이 도는 그런 시기에 백성들이 주로 찾는 종교 사상으로 예언을 부수적으로 믿고, 초자연적 존재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능력을 갖고, 이 초자연적 존재들로 말미암아 정신적 감흥 상태를 조장하는 종교를 일컬어 미신 종교라고 불렀다. 6)
따라서 로마가 인정하지 않은 유대 지역에서 생겨난 십자가에 못박히고 부활한 예수를 믿는 종교는 로마의 관점에서 미신 종교였다. 그런데 우리는 로마에 반역하여 무질서와 반란과 폭동을 일삼던 유대지 역에서 무질서와 정치적으로 혼란한 유대지역에서 일어난 기독교를 온전하게 평가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로마의 입장에서 기독교는 유대 청년 예수란 사람이 죽어 부활하고 재림하며, 신적인 존재로 불려진 그가 사람들을 치유한다는 교리는 초월적인 존재와 접촉하여 능력을 갖는다는 것을 미신 종교로 거부하던 로마 종교의 법에 따라 미신 종교로 여겨졌던 것이다.
따라서 로마가 인정하지 않은 종교는 미신이라고 규정되었다. 로마가 크리스천을 이식하기 시작한 최초의 문서는 로마 역사가 플리니 (Pliny)가 로마 황제 트라얀에게 쓴 편지에서 드러난다. 그에 따르면 초대 기독교는 로마 제국의 법에 따르면 공인되지 않은 종교였다 (collegium illicitum). 그는 기독교를 사악한 미신 종교라고 말했고 (Pliny, the Younger, Letters X.96.8), 그의 친구 타키투스 (Tacitus)는 로마 제국의 관습을 파괴하는 종교라고 규정하였다 (Tacitus, Annals, XV.44.5).
1세기 당시 로마의 법에 따르면 로마 제국의 황실을 모독하고 그 황제를 비방하는 글을 쓰거나 유포하는 자는 법으로 다스리는 로마의 법이 있었다. 로마 황제 디벨리우스 (TIBERIUS)는 A.D.26년 그는 자주 로마 제국에 대해 반역하는 것과 같은 형벌로 로마 황제를 모독하는 것도 반역 행위로 간주하는 법을 발표하였다. 이 법 (law of majesty, lese-majesty)은 원래 로마 제국에 대항하여 군사적 도발을 하거나, 로마에게 저주를 하거나, 그릇된 행정, 로마 제국의 황제를 중상 모독하는 행위를 포함하였다. 그런데 이 법은 디벨리우스 황제 이후에는 황제에게 모독하고, 황제를 중상 모략하여 비방하는 행위도 반역 행위로 처벌하여 그 반역 행위의 범위가 넓어졌다.
로마 황제 디벨리우스 (AD. 14-34)는 그의 정치적 입장과 자신이 언제 죽고 새로운 황제가 등장할 것이라는 것을 예언하는 것을 금하고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확고히 다지기 위해 다음과 같은 칙령을 발표하였다고 한다: 점성술사와 마술사는 이유를 불문하고 죽이라고 칙령을 내렸다. 만약 그들이 외국인이면 죽이도록 명령했고, 이 칙령 후에 점성술과 마술에 관련되어 있는 로마 시민들은 로마에서 쫓아내었다 (Cassius Dio, Roman History, 57. 15.8; cf. Suetonius Tiberius .36; Tacitus Annals .II.32.).
아마도 바울 사도가 전파한 복음처럼 그리스도인들이 예수께서 부활하시고 재림하시는 예수를 믿는다는 것은 로마인들과 황제가 보기에는 로마 황제를 폐위시키고 새로운 황제를 기다린다는 로마 제국의 법령에 위배되는 반역과 모반의 메시지로 여겨질 수 있었다. 따라서 이 법을 어기는 사람들은 고소되었고, 사형에 처해질 수 있었다. 그래서 거기에는 항상 이웃을 감시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었다. 로마에는 황제를 비방하고 모욕하는 그들을 써서 배포하는 사람들을 처벌하는 법령이 있었다. 그런데 로마 황제가 세상의 주라고 선전되는 상황 중에 예수 그리스도가 죽어다가 살아나시고 부활하셔서 승천하셨다는 이야기나, 그분이 세상의 유일한 주님이라고 선전하고 선포하는 행위는 로마 법에 위배되었다. 또한 로마 황제보다 십자가의 형벌을 받고 죽은 유대인 청년 예수가 세상의 주님이며 신이라고 선포하고 고백하는 것은 당시 로마 법을 깨뜨리는 행동이며, 황제를 중상 모독하는 행위로 로마 법에 저촉될 수 있는 고백이었다.
사도 바울이 주로 사역했던 동 시대의 로마 황제 네로는 (55-68 A.D.) 자기를 대항하는 잠재적인 대적들의 반역 행위에 대하여 이 법을 강화하였다. 네로는 새로운 이방인의 종교에 대하여 강한 편견을 가지고 있었다. 로마 역사가 탁키터스 (Tacitus, AD 56-117)는 네로 황제의 박해로 죽게 된 크리스천에 대하여 최초로 언급하는 로마의 역사가이다. 그는 로마 총독 빌라도가 유대 총독으로 재직할 때 유대에서 일어난 신흥 종교로 로마 제국의 질서에 대항하여 십자가에 죽은 예수를 주(kyrios)로 모시는 크리스천에 대해 “사악한” (pernicious) 종교를 믿는 사람들이라고 규정했고, 이 새 종교는 유대뿐 만 아니라 로마에서도 발흥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들은 붙잡혀 짐승 가죽을 쓴 채 개들에게 물어 뜯겨 죽었고, 십자가에 못박혀 죽었으며, 기름이 몸에 발라진 채로 밤새 횃불로 사용되어 태워지게도 하였다고 기록한다 (Tacitus, Annals, XV., Ch. 44).
네로 황제 후에 등장한 플라비안 왕조(the Flavian dynasty, AD 69-96)도 불법적이며 자발적인 모임이던 간에 그것들이 정치적 목적이 되어 불법적인 난동으로 발전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고 보았기 때문에 집회와 모임들을 인정하려고 하지 않았다. 그때 발견된 비문에 보면 어떤 모임과 합법적인 모임도 정치적 목적으로 도시에서 모임을 가지지 말아야 한다고 말한다. 만약 이 법령을 위반하는 사람들은 도시 의회에 엄청난 벌금을 물어야 했다. 7)
교회 공동체인 에클레시아는 로마 제국이 인정하지 않은 불법적인 집회였지만 그들은 모이기를 힘쓰라는 주님의 말씀에 따라 순종하였고, 로마가 인정하지 않은 불법적인 집회라는 정치적인 법령을 두려워하지 않았다. 사실 그리스도인의 공동체는 로마인들이 보고 지방 행정 장관들이 보았을 때, 정치 집단으로 오해할 수 있었다.
3. 사도 바울의 교회 (ekklesia)의 구성
바울의 교회는 소위 가정 교회 (oikos)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지역 교회 공동체(ekklesia)를 이루고 지역 교회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지방 교회로 [아시아에 있는 교회 (고전 16:19), 마케도니아에 있는 교회 (고후 8:1), 유대에 있는 교회들 (갈 1:22), 그리고 갈라디아에 있는 교회들 (갈 1:2)] 지방 교회가 모여 국제적인 대안 사회(international alternative society)로서 우주적 교회 (universal church)로 구성된다. 고린도전서 16:19: 아시아에 있는 교회들; 고린도전서 16:1: “갈라디아에 있는 교회들”이란 표현은 지방 교회를 지칭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사도 바울이 말하는 교회인 에클레시아는
(1) 건물 중심이던 유대인 회당과 헬라 도시의 의회인 에클레시아와 구별된 새로운 하나님의 백성의 공동체이다
(2) 구약에서는 이스라엘로 한정된 선민이던 하나님의 백성의 개념이 사도 바울의 에클레시아에서는 이방인들을 포함한 유대인+이방인의 하나님 백성의 공동체이다
(3) 사도 바울이 말하는 교회인 에클레시아는 어떤 일정한 도시에 있는 장로와 감독, 그리고 집사들을 포함한 제도적인 공동체의 개념이 포함된 지역 교회 중심의 공동체이다.
(4) 구약에서 이스라엘이 선택된 선민으로서 유일한 하나님을 섬기며 그의 법을 지키고 독특한 삶의 방식을 유지함으로 세상의 빛의 역할을 하도록 의도된 것처럼 바울의 에클레시아는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머리로 섬기고 하나님의 법을 성령의 도움으로 지키는 독특한 하나님의 백성의 공동체로서 하나님 나라 확장의 대행자이다.
4. 가정 교회와 지역 교회의 정의
1) 가정 교회는 소위 가정 집 (oikos)에서 소 그룹으로 모였던 그리스도인의 모임이었다. 사도 바울은 교회를 말할 때 지역 교회인 에클레시아 (evkklhsi,a)와 가정에서 모이는 가정 모임 (oikos) 소위 가정 교회 (household church)의 표현을 구별하여 사용한다.
헬라어 oikos와 oikia는 구약을 헬라어로 번역한 셉투어진트 (the LXX)에서 사용되며 히브리어 로서집의빌딩과장소를의미로서가정(household)혹은가족을의미한다(family). 용어 oikos는 하나님의 집인 성전 (temple) 혹은 지성소 (sanctuary)의 의미를 내포한다. 용어 oikos가 하나님의 공동체를 의미했을 때에는 하나님의 가족과 가정을 의미했다. 고대 그리스 로마의 개념에 따라 oikos는 노예들을 포함했는데 공동체로서 가정 (household)은 교회 구성원들의 가장 작은 기초(basis)와 공동체의 단위 (unit)였다 신약성경에 언급된 가정 교회들은 집을 만남의 장소로 사용했다 (행 11:14; 16:15,31, 34; 18:8; 고전 1:16; 빌 2; 딤후 1:16; 4:19). 복음은 이 가정 교회를 통해 확산되었고, 주님의 성찬도 이루어졌다 (행 2:46). 로마의 가정 집 (oikos)은 로마 양식의 집으로 큰 홀을 가진 집이었고 아래 층에 위치한 아파트 형식의 다세대 주택을 오이코스라고 불렀다.
2) 대 그룹인 지역 교회는 가정 교회가 모여서 지역 교회 (ekklesia)로서 대 그룹으로 모였던 모임으로 정의한다. 그런데 사도 바울은 소그룹인 아닌 지역 공동체의 개념으로서 교회인 에클레시아란 용어를 사용한다. 사도 바울은 헬라 도시의 시의회인 에클레시아와 “경쟁적인 개념”으로서 온 하나님 백성과 “지역 공동체” (local community) 개념으로서 에클레시아란 용어를 사용하였다 (살전 1:1; 고전 11:18; 고전 16:1; 16:19; 고후 8:1; 갈 1:2; 살전 2:14). 8)
사도 바울은 큰 집을 가지고 있는 호스트의 집에서 드려지는 대 그룹인 에클레시아는 가정 교회 역할을 한 것으로 여겨지며, 동시에 소위 지역 교회로서 가정 교회 전체가 가정 집의 큰 홀에 모여 성찬과 가르침과, 기도회, 그리고 예배를 드렸던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로마에서 브리스길라와 아굴라 집에 있는 교회-롬 16:3 (katV oi=kon auvtw/n evkklhsi,an), 라오디게아 교회 골4:15--눔바의 집에 있는 교회 (katV oi=kon auvth/j evkklhsi,an ), 빌레몬의 집에 있는 교회 몬2 (katV oi=ko,n sou evkklhsi,a|), 고린도 교회 가이오 집에 있는 가정에서 모인 교회만을 (Ga,i?oj o` xe,noj mou kai. o[lhj th/j evkklhsi,aj) 에클레시아 (evkklhsi,a)라고 부른다. 이 katV oi=ko,n란 표현은 모임의 “지역적 중요성” (local significance)를 강조하는 표현이었다. 9]
예를 들어 로마서 16장의 브리스길라와 아굴라 집에 있는 교회는 다른 그룹들과 달리 노예들과 애들을 포함한 다양한 계층들이 한데 어울러져 교회를 형성하였다는 점이 다르다. 로마서 16장의 다른 그룹들은 각자 그들의 후원자가 제공하는 전세집 (tenant house)에서 모이는 소그룹이었지만 이 그룹들을 교회란 용어인 에클레시아를 사용하여 교회라고 부르지 않는다는 점이다. 오직 브리스길라와 아굴라가 인도하는 모임만을 교회인 집에 있는 에클레시아라고 부른다. 이 브리스길라와 아굴라 집에 모이는 에클레시아는 서로 다른 인종과 계층들, 그리고 아이들과 노예들을 함께 모이는 모임이었다. 10)
따라서 소 그룹인 가정 교회 (oikos, oikia)만을 따로 에클레시아라고 부르지는 않는다. 따라서 필자는 바울의 교회인 에클레시아는 그룹인 가정에서 모이는 모임과 그 모임이 모여 지역 교회인 에클레시아를 이루었다고 본다. 11)
5. 사도 바울의 교회: 소 그룹 모임과 (oikos)과 대 그룹 지역 교회 (ekkesia)-두 날개를 가진 교회
1) 사도 바울이 세운 교회는 가족이 중심이 된 가정 교회 (oikos, household)교회와 그 가족 혹은 가정 교회가 주축으로 도시 내에 여러 가족 혹은 가정 교회가 모여 지역 교회 (local church)를 구성하였다. 12) 그리스-로마 사회에서 가족 (family) 혹은 가정 (household)는 가장, 그의 남자 계보의 가족들, 자유인들, 그리고 노예로 구성되었다. 크리스천 가정 혹은 가족 교회는 집주인, 자유민 노예들로 구성되었다.
가정 교회 (oikos, 혹은 oikia)는 소 그룹 모임으로 사용되었다. 데살로니가의 야손의 집이 이 목적을 위해 사용되었다. 가이사랴의 빌립의 집이 바울 및 그 일행들과 같은 뱃길 여행을 하던 사람들과 아가보와 같은 나그네들이 들렸던 장소로 여겨진다. 빌립보의 루디아 집은 모임장소임과 동시에 바울이 유숙했던 장소였다. 빌립보 간수의 집은 그의 개종 이후 복음전도의 센터 역할을 한 것으로 믿어진다. 스데바나의 가족들은 바울에게 세례를 받았고 바울은 그의 집을 “성도를 섬기는 일”에 사용했다. 예루살렘의 마가의 어머니가 소유한 집의 다락방은 최초의 교회가 모였던 장소였다.
가정 교회 모임은 개인의 집에서 모인 크리스천 그룹이었다. 그러나 지역 교회 (local church)는 마을이나 도시와 같은 지역에서 모인 모든 그리스도인들을 구성한 교회였다. 만약 특정한 지역에 오직 한 교회만 있었다면 지역교회와 가정에서 모이는 모임은 지역 교회이며 가정에서 모이는 같은 그룹을 말한다. 어떤 지역에서 ‘온 교회’ 라는 표현과 ‘지역 교회’란 표현은 같은 의미가 될 것이다. 13) 보편 교회 혹은 우주적인 교회 (universal church)는 모든 그리스도인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14)
2) 사도 바울의 교회는 단수로 복수로 표현되었다. 어떤 도시에서 복수로 표현되었을 때에는 그 도시 지역 교회에 존재하던 가정 교회들을 언급하고 있다. 고린도에 있는 가이오 집에 있는 교회로서 온 가정 교회가 한 장소에 모인 교회 (롬 16:23)로서 가이오 집에서 모두 함께 모여 예배하고 성찬하는 장소였던 것 같다. 또한 고린도 교회의 가정 교회들이 함께 한 장소에 모여 예배드리는 표현으로 (“온 교회가 함께 모여 다 방언으로 말하면..” (고전 14:23)이라고 표현한다. 로마서에서 브리스길라와 아굴라에게 “이방인의 모든 교회도 저희에게 감사하느니라” (롬 16:4)에서 이방인의 모든 교회는 지역교회와 지역 교회를 구성하는 가정교회를 말한다 (cf. 16:16). 고린도전서 7:17절에서 혼인에 대한 권고를 하면서 불신자 남편과 갈리지 말라고 권면하면서 “모든 교회에 이와 같이 명령하노라”고 말한다. 이 모든 교회는 고린도 지역 교회를 구성하는 가정 교회들에게 말하고 있는 것이다.
바울은 고린도 교회에게 교인들에게 “모든 교회를 위하여 염려하고 있다”고 말하면서 여기에서 모든 가정 교회와 지역 교회를 염려하고 있는 것이다 (고후 11:28). 바울 사도는 고린도 교회를 개척한 사람으로 그가 고린도 가정 교회와 지역 교회에서 가르치는 사역을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각처 각 교회에서 가르친 것을 생각나게 하리라” (고전 4:17).
3) 사도 바울은 지역과 도시를 언급한 것은 지역 교회를 지칭하고 있다고 여겨진다(롬 16:1: “겐그레아에 있는 교회”;고전 1:2: “고린도에 있는 지역 교회”; 고후 1:1; “고린도에 있는 지역 교회”; 골 4:16절: “라오디게아에 있는 지역교회”; 데살로니가에 있는 지역 교회 (살전 1:1; 살후 1:1).
4) 개인 후원자가 장소를 제공하는 집”(oikos)에 있는 교회들 (ekklesia)이 존재했다: 로마 교회 롬16:5--브리스길라 아굴라 부부의 집에 있는 교회 (katV oi=kon auvtw/n evkklhsi,an); 라오디게아 교회 골4:15--눔바의 집에 있는 교회 (katV oi=kon auvth/j evkklhsi,an ); 빌레몬의 집에 있는 교회 몬2 (katV oi=ko,n sou evkklhsi,a|); 고린도 교회-가이오 집에 있는 교회 (Ga,i?oj o` xe,noj mou kai. o[lhj th/j evkklhsi,aj). 이 집”(oikos)에 있는 교회들 (he ekklesia kata oikos)은 온 가정 교회가 함께 모이는 장소로 사용되었다. 이 집에 있는 교회는 지역 교회라고 볼 수 있다. 15]
5) 그러나 사도 바울은 브리스길라와 아굴라 집에 있는 교회 (롬 16:5), 골로새서 4:15--눔바의 집에 있는 교회, 빌레몬의 집에 있는 교회 몬2, 고린도 교회 가이오 집에 있는 교회를 제외하고는 우리가 지칭하는 가정에서 모였던 가정 교회 (oikos, 혹은 Oikia)를 에클레시아라고 분명하게 부르지는 않는다. 가정에서 모이는데 온 지역 교회가 모이는 모임 장소를 제공하는 주거 공간이 있는 장소인 하나님의 백성의 모임을 에클레시아라고 부른 것 같다. 따라서 지역 교회 개념이었던 에클레시아 (evkklhsi,a)가 가정에서 모였지만 이 에클레시아의 기능은 지역교회 개념이었고 모든 가정 교회들이 한 장소에서 모였다. 고린도 교회에서는 이 집”(oikos)에 있는 교회들 (he ekklesia kata oikos)가 사용되고 있지 않지만 고린도 교회에는 최소한 1개의 지역 교회가 존재했다는 것을 말해준다. 16)
6) 사도 바울은 소 그룹인 가정교회가 집에서 모였지만 가정 교회는 지역 교회에 속하여 함께 연합되기를 원했다. 에베소서에서 사도 바울은 가정 교회는 하나님의 권속 (household of God)이며 그들 건물마다 함께 지어져 성전이 되어가야 한다고 권면한다 (엡 2:19-22). 따라서 개인 가정 교회는 독립체로 인정되지만 함께 지역 교회 안에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함께 연합하고 서로 연결되어 지역 교회를 이루라고 권면하고 있는 것이다. 17) 사도 바울이 로마서를 기록할 당시 로마에 있던 로마 교회들은 가정 교회들이 독립되어 서로 모이지 않고 받아들이지 않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사도 바울은 실제로 가정 교회가 모여 지역 교회가 되기를 바랬던 동기가 있었음을 암시한다. 사도 바울은 로마서 16장에서 장황한 인사말로 그들에게 편지한 이유는 가정 교회가 함께 모이는 지역 교회로서 서로 연합하기를 바라는 의도였다고 보여진다.
또한 사도 바울은 지역 교회 안에 있던 가정 모임들이 서로 연합하고 유기적 관계를 맺도록 머리와 몸의 비유를 들어 서로 필수불가결의 관계임을 강조했다. (롬 12장; 고전 12장). 따라서 사도 바울은 고린도전서에서 가정 모임들이들이 서로 다른 지도자를 선호하고 독립된 사고를 갖는 파당을 비판한다. 그리고 그는 몸과 머리의 비유를 사용하여 가정 모임이 독립된 유기체가 아니며 고린도 교회인 지역 교회 속에서 존재하며 서로 연합할 것을 강조한 것이다.
7) 고린도전서에서 가정 모임과 지역 교회-바울은 그리스보와 가이오에게 세례를 주었다(고전 1:14). 사도행전에 의하면 그리스보는 회당장으로서 “그의 온 집으로 더불어” 주를 믿었다고 했다(행 18:8). 이것은 그가 자신의 집을 가정 모임 장소로 제공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가이오는 로마서에서 “온 교회의 식주”(롬 16:23)로 소개되었다. 이것은 가이오의 집이 가정교회로 사용되었으며, 때때로 전체 교회의 집회 장소로 제공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울은 고린도에서 스데바나의 가족에게 세례를 베풀었다(고전 16:15). 고린도에는 여러 가정 모임들이 연합하여 지역 교회인 고린도 교회를 이루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고린도에는 6-10개의 가정에서 모이는 가정 교회가 존재했다고 본다 (Robert Jewett, Romans, p. 980): 그리스보의 집 (행 18:8); 스데바나의 집 (고전 1:16; 16:15-18); 글로에의 집 (고전 1:11); 가까운 겐그레아의 뵈뵈의 집 (롬 16:1-2); 에라스도의 집(롬 16:23); 브리스길라와 아굴라의 집 (고전 16:19). 가이오 집 (롬 16:23)
1세기 당시 잘사는 부자의 주택은 30-50여명을 수용할 수 있는 사이즈였다. 18) 뱅크스 (Banks)는 고린도에 있는 ‘온 교회’는 고린도에 더 작은 가정 교회가 있었다는 것을 가정한다고 지적한다. 가정 교회가 온 교회에 있었고 그 가정 교회들이 분리되어 존재하였다는 것은 아니다. 19)
고린도 교회는 한 장소에서 지역교회로 모였다: “너희가 교회에 모일 때에는 너희 중에 분쟁이 있다 함을 듣고…(고전 11:18)”: 온 교회가 함께 모여 다 방언을 말하면..(고전 14:23). 20) 로마서 16:23절에 온 고린도 교회의 식주 (host)인 가이오를 언급한다. 가이오는 사도행전 18:11절의 디도 유스도 (Gaius Titus Justus)로 로마 시민권을 가진 부유한 귀족 출신이든지 아니면 노예에서 해방된 자유민일 것이다. 그의 라틴 이름은 키케로와 로마 시인 호라스가 언급한 명문가인 Titian family 일 것이다 21) 대부분 주석가들은 가이오가 그 당시 A.D. 49-54년에 로마로부터 그리고 여러 지방에서 고린도로 오는 피난민 크리스천과 유대 크리스천들에게 숙식을 제공했을 것이라고 보고 한 집에 고린도 교회가 다 모이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한다 22) 그러나 고린도에 있는 온 가정교회가 한 가이오 집에 모이는 특별한 모임을 가이오가 호의를 베풀었다고 보는 것도 본문에 적합한 해석이라고 본다. 고린도 교회가 한 집에 모든 가정 교회가 모였다면 비좁았을 것이다. 그래서 아마도 자주 모이지는 못하고 고린도의 온 교회가 가이오 집에 특별한 경우에 모였다고 가정할 수 있다 23)
가이오가 온 고린도 교회의 호스트였다는 표현에서 ‘온’ (whole)이란 표현은 고린도에 있는 더 작은 가정교회가 존재했고 그의 집에서 규칙적으로는 넘치는 신자의 모이는 숫자의 문제 때문에 자주 모이지 못했다는 추론을 해볼 수 있다 24) 고린도의 가이오와 같은 집에서는 온 도시의 가정 모임이 함께 모여 기도회, 가르치는 모임, 그리고 성찬 모임이 열렸을 것이다 25)
8) 이 소 그룹인 가정 모임은 매주 모였고 대 그룹인 지역교회는 한 달에 한번 정도 함께 모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26) 그 이유는 1세기 당시 로마 제국은 상업 조직인 길드 조직과 같은 모임은 정치적 이유 때문에 1달에 한번만 집회를 법으로 허용하였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매주 모이는 모임은 길드 조직의 활동으로서 보여질 수 있었다. 그러나 로마 관리의 입장에서 그리스도인의 매주 모임은 한 달에 한번 모이는 법을 깨뜨리는 정치적 선동 집회로 여겨질 수 있었다. 27)
6. 사도 바울의 가정 교회와 지역 교회인 에클레시아의 특징
1) 하나님의 가정 교회 이미지는 교회 본질의 신학적 존재론적 이해에 기여했다. 바울의 교회는 하나님의 백성이며 믿음의 가정으로서 근본적인 강조를 두고있었다. 가정에서 교회가 모여 상호 유기적 가정 생활에 대한 강조가 있었다. 가정에서 부모가 신앙 교육을 담당하는 히브리적 교육 방법을 채택했다.
2)가정 교회는 기독교의 건강한 사회적 통합을 이루었다.
가정 교회는 높은 계급의 부유한 땅 주인으로부터 노예에 이르기까지 넓은 사회적 평등과 통합을 이루기 위해 모인 공동체였다. 초기 기독교의 기독교는 가정 교회에서 사회에서 존재한 모든 사회적 계급들로 구성되었다. 인종의 다양성, 사회적 일치, 성별의 동등함이 로마 교회의 다양한 가정에 존재했다 (롬 16장). 28)
3) 가정교회는 당시 문화적 현상의 적응이었다.
소 그룹으로 모이는 가정교회는 고대 세계의 문화적 상황을 유지했다. 가정 교회는 문화적 다양성을 가진 세계에서 중앙 집중의 사역을 지향하고 사역의 자유로움을 제공했다.
4) 가정 교회는 그리스도인의 예배와 교제의 독특한 유일성을 위한 가장 역동적인 모델이었다. 유대인 회당과 건물 중심의 모임으로부터 가정 중심의 모임을 유지했다.
5) 가정 교회는 교회 리더의 양육과 발전에 기여했다.
가정 교회는 가정의 호스트가 자연적으로 리더 역할을 하였다 (고전 16:15-16). 이방인 교회 호스트들은 하나님을 두려워하는 사람 (God-fearers)들로서 교육과 실질적인 행정 능력을 가진 사람들이었다.
6)가정 교회는 불신자가 회심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초대 교회에서 가족이 회심하는 사례는 흔한 일이었다 (행 10:1-2; 16:13-15, 31-34; 18:18).
7)가정 교회에서 이루어진 환대는 성경적이며 기독교적인 환대 (Hospitality)의 모형을 제공했다. 가정교회에서 이루어진 환대는 그 시대에서 이루어진 가장 두드러진 현상이었다. 가정 교회와 지역 교회는 순회 설교자를 가정에서 환대하고 접대하였다. 이것은 초기 기독교 교회의 환대의 양상이었다. 가정 교회에서 이런 성경적 환대 현상은 기독교 성장의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29)
8) 가정교회는 초대 교회의 선교 전략의 어려움을 푸는 중요한 전략의 일환이었다. 30) 초대 교회는 로마 제국의 공인된 종교가 되지 못했다. 따라서 그 문화적 정치적 위험에도 불구하고 복음을 전하기 위해 비밀스런 집회 장소와 교육 장소가 필요했다. 초대 교회에서 사도 바울의 선교는 가정 교회 중심으로 사역했다. 로마가 기독교를 공인하지 않던 시대적 상황에서 초대 교회는 가정 중심의 소 그룹 운동이었다.
9) 사도 바울의 에클레시아인 가정교회와 지역교회는 세상과 완전히 다른 종교적 유일성을 가진 하나님 백성의 공동체였다. 바울의 에클레시아는 구약의 교회인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과 언약을 체결하였듯이 예수 그리스도의 맺은 영원한 피의 언약 공동체로 오직 예수 그리스도만을 섬기는 공동체였다. 사도 바울은 에클레시아는 세상에서 희망을 두고 사는 어떤 조직과 공동체에 대한 대안 (Alternative) 사회인 하나님의 지상 명령의 대행자로 세우기를 원했다. 그런 의미에서는 그 당시 이스라엘 하나님이시며 온 우주의 창조주인신 하나님의 언약 공동체의 백성으로서 에클레시아는 세상이 섬기는 신들을 다른 한 분의 신이신 하나님을 섬기는 예수의 공동체였다. 헬라 도시들의 시의회인 에클레시아가 그들의 전통적인 신들과 로마 황제를 신으로 숭배하는 것과는 반대로
사도 바울의 에클레시아와 교부 시대의 가정 교회(2)
11) 바울 공동체인 에클레시아는 세상과 분리되어 교회 공동체가 결속과 단결을 이루는 공동체임을 강조한다. 사도 바울은 고린도 교회의 분열은 세상의 가치관을 가지고 있으므로 (고전 1:10-13) 교회인 에클레시아는 그와 가치관과는 관련이 먼 결속의 공동체임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사도 바울은 이와 같은 분열과 파당은 고린도 교회 안으로 부자인 신자들이 들어와 그들이 특정한 사도를 후원함으로 로마 제국의 보호와 수혜의 특별관계가 교회인 에클레시아에서는 용납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12) 바울이 고린도전서 16장에서 교회인 에클레시아는 대안 사회로서 범 세계적 경제적 호혜 공동체라고 말한다. 그는 예루살렘 교회 성도들이 경제적으로 어렵고 힘들 때 조건 없이 연보하여 후원하는 경제적 평등 사상에 입각한 범 세계적인 서로 도움을 주고 받는 예수의 공동체를 만들기를 원했다. 사도 바울이 가난한 성도들을 예수님의 사랑으로 도와주는 이런 경제적 호혜 공동체는 로마 제국이 세계를 지배하면서 온 민족들을 착취하고 과도한 세금을 부과함으로 경제적 부를 이루던 로마가 지배하던 세계적 경제 공동체의 이상과는 전혀 다르다.
13) 바울의 교회 에클레시아는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구약 백성이 하나님의 계명을 지키듯이 하나님의 말씀을 준행하고 세상과 구별된 윤리를 가진 공동체였다. 그러므로 바울은 고린도 교회가 고린도 에클레시아에서 음행과 간음을 배격하도록 경고했다.
7. 교부 시대의 가정교회와 콘스탄틴 황제 시대의 바실리카
소 그룹 가정교회와 지역 교회는 신약성경 직후의 속사도 교부 시대에도 계속되었던 것으로 나타난다. 디다케(Didache)는 기독교의 교사들이 순회하는 중에 어느 가정에 숙박하게 되었을 때 세례와 성찬을 갖춘 예배를 인도했던 것으로 증거한다(Did 11). 이것은 순회전도자들의 방문을 받는 가정들이 가정교회의 형태를 갖추고 있었다는 것을 입증한다. 가족교회 또는 가정교회의 모습이 이그나티우스의 서신들에 등장한다. 이그나티우스 (A.D. 35-107)는 서머나에 있는 지역 교회에게 편지했고 이 서신에서 드로아에서 편지한다 (IgnSmyr 1:2-3).
서머나 지역 교회의 감독은 폴리캅이었고 그는 그 도시의 지역 교회와 가정 교회에 인사하며 그들이 성령 안에서 강건하기를 기도한다 (IgnSmyr 3:24-25). 이그나티우스는 폴리캅 (A.D. 75-155)에게 자신이
드로아로부터 네아폴리스로 향하기 때문에 지역 교회와 소 그룹 가정 교회들에게 편지를 쓸 수 없으니 자기 대신 폴리캅이 교회들에게 편지를 쓰라고 권면한다 (IgnPol 8:1-2).
헤르마스의 목자 (Sim 5,3,9)와 빌립행전 (ActPhil 69)에서도 발견된다. 저스틴의 순교사에 의하면 2세기 경 로마에 가정교회가 있었다고 언급한다. 저스틴은 모든 성도가 한 장소에 모일 수 없었다고 말하면서, “나는 Timiotinian 목욕소 근처에서 어떤 Martinus라는 사람의 윗 층에 살고 있는데 그의 집 외에 다른 곳에도 모임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Mart Justin 3,3)고 증언한다. 이 말은 로마에 여러 개의 가정교회가 있었다는 것을 설명한다 .
그런데 2세기 중엽 이후에 기존의 가정 집을 개조하여 교회 모임 장소로만 이용하는 새로운 형태의 가정 교회가 등장했다. 이 가정 교회는 물론 지역 교회 전체 모임을 위해 사용하기 위한 것이었다. 신약 외경 (Apocryphal Acts)에서는 사도들이 식당 홀(dinning hall)에서 교인들을 가르쳤다고 기록한다 (Acts of Peter, 7-8, 19-20; Acts of Thomas, 131-133).
교회가 개조된 가정집이나 독립된 건물을 사용하고부터 교회란 용어 (ekklesia)가 건물에 적용되기 시작했다. 31) 그러나 에클레시아는 하나님 백성들의 모임이었다.
교회 역사가 유세비우스 (A.D.260-340)는 3세기 후반에 교회로 몰려드는 수많은 사람들 때문에 도시마다 큰 건물들을 세웠다고 말한다 (History of the Church, 8.1.5.). 유세비우스는 A.D. 312년 두로에 있는 교회 헌당식에서 교회 건물을 이스라엘 성전으로 비유하였다 (History of the Church, X.4). 이 건물들은 콘스탄틴 시대 이전에 존재한 건물들이라고 볼 수 있다. 32)
313년 콘스탄틴 황제가 기독교를 공인한 후에 지역교회라고 볼 수 있던 바실리카들인 교회 건물들이 세워졌다. 바실리카 (basilica)사각형 건물로 한 지역 교회와 도시 교회 인원을 수용하기에 충분한 건물이었다. 바실리카는 거래소·집회장, 때로는 궁정 등에도 사용된 직사각형 평면의 공공건축으로,입구에서 제단을 향하여 직통할 수 있는 공간질서와 회당부를 갖추었는데, 중세 성당 형식의 기조를 이루었고 로마네스크나 고딕식 성당 건축에 영향을 미쳤다. 홍 인규 교수는 이 바실리카의 등장으로 소 그룹 가정 교회는 자취가 거의 사라지게 되었다고 말한다.33)
그러므로 우리는 여기에서 바울의 교회가 어떤 리더쉽의 패턴을 갖추고 어떻게 교회에서 평신도, 집사, 장로 그리고 감독들의 역할을 감당했는가를 살펴보기로 한다. 가정 교회와 지역 교회에서 누구 사역하였고 어떻게 리더쉽을 발휘했는지를 바울 서신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8. 가정 모임과 바울의 에클레시아에서 리더쉽
사도 바울이 쓴 편지에서 가정 모임으로 교회가 먼저 세워졌지만 편지를 쓸 당시에 지역 교회는 이미 조직을 갖춘 지역 교회였음을 보여준다 (갈 6:6; 살전 5:12-13; 고전 16:15-16; 롬 16:1-2; 빌 1:1; 골 1:7; 4:12,17;엡 4:11). 그리고 공동서신에서도 교회는 조직을 갖추었다 (히 13:7,17; 벧전 5:1-5; 약 5:14). 34) 따라서 사도 바울이 편지를 쓴 지역 교회는 소 그룹의 가정 모임으로 구성되었지만 하나의 지역 교회로 집사와 장로 그리고 감독과 같은 조직을 이미 갖추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1) 로마서에서 로마 교회-브리스길라와 아굴라 집에 있는 에클레시아
바울이 롬 16:5절에서 브리스가와 아굴라의 집에서 모이는 그 교회에게 문안하라고 한다. 브리스가와 아굴라는 AD 54년 네로의 칙령에 의해 다시 로마로 귀환했다. 브리스길라는 로마인으로 귀족 출신 여
여성이며 아굴라는 유대인으로서 노예에서 해방된 유대인으로 여겨진다. 그들은 부부로서 로마 교회의 지도자였다. 그들은 집에서 교회를 이룰만한 큰 집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짐작하여 부유했다. 그들은 바울의 선교 동역자 (synelgos)였다. 35) 그들의 집은 노예, 아이들, 여자들, 등 모든 계급과 인종을 초월한 에클레시아로 모여 로마에 있는 다른 소 그룹들과는 달랐다.
2) 로마 교회의 소 그룹이었던 4-5 개의 소 그룹
같은 신분이나 지위를 가진 사람들의 그룹이 함께 모였다.
로마 교회의 소 그룹이었던 4-5 개의 소 그룹은 노예 신분이거나 하위 계층 사람들이었다. 아리스도불로의 권속에 속한 사람들, 나깃수의 권속 중에 있는 사람들 (롬 16:11b)은 그들 주인은 신자는 아니었고 그 가정에 속한 노예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그들은 로마 고급 관리의 노예들이었고 그들이 일한 장소에서 모였다. 로마서 16:14절의 “아순그리도, 블레곤, 허메, 바드로바, 허마와 그들과 함께 있는 형제들”은 노예였거나 노예상태에서 풀려난 사람들로 추정되며 그들의 같은 낮은 신분의 사람들끼리 Trastevere 혹은 Porta Capene의 전세집 (tenement building)에서 모였다. 로마서 16:15절의 빌롤로고, 율리아, 네레오, 그의 자매, 올름바는 헬라 사람들로서 노예들이나 노예 출신이었던 것으로 여겨지며 전세집(tenement building)에서 모였다.
소 그룹을 이끄는 공동체에서 카리스마를 가진 은사자들 (charismatic leaders)이었다. 로마서 16:14절의 “아순그리도, 블레곤, 허메, 바드로바, 허마는 초자연적 은사를 가진 은사자들이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소 그룹을 인도하는 리더들은 그들의 신분이 여성이고 비천한 노예 계급이었지만 카리스마를 가진 리더들이었다. 36)
동등한 지위를 가진 리더쉽
위의 4개 소 그룹들은 한 명의 후원자가 그들 그룹을 운영하고 후원하는 시스템 (love-patriarchalism)이 아니었다. 그들은 전세 집에서 동등한 리더쉽 (egalitalian leadership)의 형태를 이루고 모였다. 37) 이들의 리더쉽은 수평적 리더쉽이었다 (유대 그리스도인들, 그룹, 노예들의 그룹, 이방 크리스천 그룹들). 로마 교회에서는 사도 바울은 그들 강한 자로 대변되는 이방 크리스천들에게 약한 자로 대변되는 유대 크리스천들을 차별하지 말고 편견을 버리고 환영하고 받아들이라고 말하면서 유대 그리스도인들의 권리를 대변하고 있다. 38)
로마 교회에서 사도 바울은 이들 그룹들이 서로 하나가 되어 모임을 가지라고 권면한다. 로마서 16:16절에서 “서로 거룩한 입맞춤으로 문안하라”는 권면은 예수 그리스도의 주님 되심 아래 인종적 문화적 장벽들을 극복하라는 권면이며 로마 교회의 소 그룹들의 여러 가지 장벽을 넘어서라고 말하고 있다. 39) 로마서16:16절에서 ‘거룩한 키스’는 성령 안에서 그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살아 있는 몸으로서 연합을 의미한다. 40) 거룩한 키스는 그들 공동체가 새로운 사회적 관계를 세우는 것을 의미한다. 41) 따라서 사도 바울은 그들이 서로 연합하여 모여 지역 교회 성격인 에클레시아를 이루라는 권고라고 여겨진다. 42)
집사 뵈뵈(deacon, diakonos)는 교회의 리더였다. 43) 로마서 16:1절에서 뵈뵈(Phoebe)는 겐그레아에 있는 그의 집에서 교회 (dia,konon th/j evkklhsi,aj th/j evn Kegcreai/j)의 집사였다. 겐그레아는 고린도 시에서 동쪽으로 11 킬로미터 떨어진 항구 도시였다. 44) 그녀의 역할은 사도 바울의 사역을 지역 교회에서 돕는 역할 (helper)을 하였다. 뵈뵈는 집에 있는 겐그레아 교회에서 교인들을 가르치고 양육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45) 따라서 소 그룹이 많지 않아 보이는 겐그레아 교회 같은 경우 뵈뵈 같은 집사도 교회의 리더였다. 이런 집사(deacon, diakonos)의 역할은 종 (servant)이란 의미로 예수 그리스도의
그리스도의 종된 모습을 닮아 교회에서 섬기는 역할을 의미했다. 46)
3) 지역 교회이었던 대 그룹 에클레시아인 교회는 장로와 혹은 감독들이 다스리고 돌보았다고 여겨진다. 고린도 교회의 경우 소 그룹인 모임인 글로에 집, 스데바나의 집, 그리스보의 집이 함께 모였고 넓은 집을 소유한 가이오의 가정 교회인 에클레시아에서 모임을 가졌던 것으로 여겨진다 (고전 11:18: “너희가 교회에 (ekklesia)로 모일 때에 너희 중에 분쟁이 있다는 말을 듣고…; 고전: 14:23: “온 교회가 함께 모여 다 방언으로 망하면…). 글로에, 스데바나, 그리스보는 가정 교회의 머리인 동시에 가정의 연장자였다. 47) 따라서 그들은 가정에서 모임 모임의 호스트인 동시에 고린도 교회의 장로 혹은 감독들로 여겨진다.
4) 에베소 교회는 지역 교회로서 제도화된 조직을 갖추었다 (엡1 4:7-16). 48)
5) 목회서신은 지역 교회에서 감독, 장로, 집사의 직임과 직무가 언급한다. 그들의 직무는 관리하고 지도하며 (딤전 3:5; 5:17) 돌아보며 (딤전 3:5), 명령하며 (딤점 1:3; 4:11; 5:7; 6:13, 18), 경계하는 일이며 (딛 3:15) 가르치고 훈련시키는 일이다 (딤후 3:16; 딛 2:11-12). 49)
9. 소 그룹 가정 모임과 지역 교회에서 장로의 위치
캠벨은 바울 서신에서 장로들은 장로의 직무를 가지고 있던 사람들이 아니라 소 그룹을 모임을 인도하던 가정 교회 공동체에서 인정받고 존경 받은 사람들로서 항상 소 그룹 가정 교회들을 이끄는 사람들이었다고 주장한다. 50) 실제로 고린도 교회의 스데바나 (고전 16:15-16)와 같은 소 그룹 가정 모임의 리더들은 실제적으로 장로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들은 신앙 연륜과 연령에 있어서도 장로였다고 여겨진다. 51) 그러나 소 그룹 가정 모임과 지역 교회가 확장됨에 따라 장로들의 역할이 지역 교회 직무로 점점 전이되었다고 본다. 따라서 필자는 여기서 장로들은 소 그룹 가정 모임과 지역 교회에서 리더의 역할을 하였다고 생각한다.
장로의 역할에 관해 이스라엘에서(pp. 20-66) 그리고 그리스 로마 사회에서(pp. 67-98)그 증거를 찾고자 한다 (2-3장). 복수 명사 ‘장로들’ 이란 표현은 이스라엘 지파와 다스리는 위치에서 리더쉽을 나타내기 위한 표현이었다 (R. Alastair Campbell: p. 26). 장로의 직분은 나이를 의미했고 가족의 머리역할을 하는 사람들로서 가족의 위신을 나타내는 지혜와 영예를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주어지는 역할이었다 (Campbell: p. 66). 그리스 로마 사회에서는 장로들의 지위와 본질이 비슷했다(Campbell: p. 75).
켐벨은 신약 시대와 교부 사대에도 장로들 (presbyteroi)과 감독들 [episkopoi (overseers)]이 가정 모임 구조에서 리더의 역할을 하였다고 말한다. 사도행전에서 켐벨 (Campbell)은 역사적으로 가정 모임에서 리더쉽을 발휘했던 증거를 제시한다 (Campbell: 141-75). 장로의 직분은 명예와 존중의 역할을 받는다는 의미로 여겨졌다. 그리고 ‘장로들’ (ELDERS)이란 표현은 가정 교회들의 리더들을 언급한 것이었다. 장로들과 감독들 ("elders" and "overseers" (episkopoi)은 동일한 의미로 분명히 사용되었고 (행 20:17, 28). 이 용어들은 분명하게 구분되어 사용되고 있지 않다 (행 14:23) (Campbell: 173).
바울 사도는 사도행전 14:23절과 20:17-38절에서 교회에서 장로들의 역할과 존재를 언급했다(Campbell: 97-140). 사도 바울이 언급한 은사는 초자연적 은사와 자연적 은사이었고 교회를 세우고 하나님의 은혜로 교회들을 이끌기 위해 장로들에게 주어진 것이다 (롬 12:6-8; 고전 12:4-11). 52) 따라서 장로들과 감독들의 은사는 초자연적 은사와 자연적 은사를 가지고 지역 교회를 섬기는 역할이었다: 예루살렘 교회 장로들 (행 11:30; 15: 2-6; 22; 16:4), 갈라디아 교회 장로들 (행 14:23), 에베소 교회 장로들 (행 20:17; 딤전 5:17), 크레테 교회의 장로들 (딛 1:5), 소아시아 교회 장로들 (벧전 5:1). 53)
장로들과 감독들은 치리하고 재정을 다루는 은사를 포함하는 자연적 은사와 초자연적 은사도 함께 공유하였다. 이 은사들은 예배를 위해 모인 가정 교회의 존경 받는 머리로서 그들의 리더쉽을 위해 주어진 것이었다.
사도 바울은 그의 선교적 관점에서 소 그룹 가정 교회 리더들을 다양하게 표현했다 (롬 12:8: “혹 위로하는 자면 위로하는 일로, 구제하는 자는 성실함으로, 다스리는 자는 부지런함으로, 긍휼을 베푸는 자는 즐거움으로 할 것이니라”; 살전 5:12: “형제들아 우리가 너희에게 구하노니 너희 가운데서 수고하고 주 안에서 너희를 다스리며 권하는 자들을 너희가 알고”; 롬 16:2: “너희가 주 안에서 성도들의 합당한 예절로 그를 영접하고 무엇이든지 그에게 소용되는 바를 도와줄찌니 이는 그가 여러 사람과 나의 보호자가 되었음이니라”; 고전 16:16: “주일 첫날에 너희 각 사람이 이를 얻은대로 저축하여 두어서 내가 갈 때에 연보를 하지 않게 하라”; 빌 1:1: “그리스도 예수의 종 바울과 디모데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빌립보에 사는 모든 성도와 또는 감독들과 집사들에게 편지하노니”; kopiountoi, proistamenoi, nouthetountes (살전 5:12; 롬 12:8, 16:2), synergountes (cf. 고전 16:16), and episkopoi and diakonoi (빌 1:1) (Campbell: p. 126). 그래서 장로들과 감독들은 직무와 역할을 나타내기 위한 동일어로 사용되었다 (Campbell: pp. 123-25, 158, 173, 242).
가정 교회를 이끌었던 리더들의 호칭에 관해 세 단계로 나누어 생각한다. 첫째로 사도 바울이 세운 소 그룹 가정 교회에서 소 그룹 가정 교회들이 적고 신자들이 적은 경우 그룹에서는 장로들 (presbyteroi)이란 용어는 등장하지 않는다. 두 번째 단계로 그러나 소 그룹 가정 교회들이 많이 늘어나고 많은 가정 교회 리더들이 지역 교회에서 일정한 역할을 하고 있을 때에 그들은 장로들(presbyteroi)이라고 불려졌다 (행 20:17-38; “바울이 밀레도에서 사람을 보내어 에베소에서 장로들을 청하니…). 세 번째 단계로 한 도시나 마을에 가정 교회들 전체를 담당하는 리더는 감독들 ("episkopos”)로 언급되기에 이르렀다 (Campbell: p. 204).
로마의 감독 허마스 (Hermas, 140~155)는 감독들과 장로들을 같은 의미로 생각한다. 감독들은 아직도 로마에 있는 지역 교회의 리더들이었다 (Campbell: p. 126). 안디옥의 감독 이그나티우스 (Ignatius. A.D. 35 -107)는 교리와 연합을 위해 장로들로부터 감독을 구별하여 표현했다. 그리고 장로들은 감독에게 순종해야 한다고 말했다(Campbell: p. 126). 초대교회의 가장 오래된 문헌 중에 시리아 지역에 있던 공동체에 의해 쓰여진 소위 ‘12사도의 가르침’이라고 불리는 “디다케”(Didache)는 기원 후 50년에서 100년 사이에 쓴 것으로 추정되는 책이다. 감독들 (episkopoi)은 가정교회들을 돌보는 장로들 (presbyteroi)이 아니라 많은 가정교회들을 감독하는 감독들이 되었다.
결론
사도 바울은 교회는 소위 가정교회 모임 (oikos)로 시작하였지만 인종과 계급을 초월한 하나님의 에클레시아 (ekklesia)인 지역 교회 (local church)로 구성되었다. 이 집”(oikos)에 있는 교회들 (he ekklesia kata oikos)은 온 가정 교회가 함께 모이는 장소이며 지역 교회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가정 교회를 논의하는데 있어서 이 집에 함께 모이지 않았던 더 작은 규모의 집에서 모인 모임은 소 그룹의 모임 (oikos)이었으므로 소 그룹 모임과 지역 교회의 모임(ekklesia)인 지역 교회 (local church)을 구별하여 정의해야 한다.
초기 기독교는 소 그룹 가정교회들이 서로 네트워크가 되어 지역교회를 이루었고, 지역교회는 가정교회들의 개별적인 가치를 인정하였다. 1세기 사도 바울은 교회인 지역교회인 에클레시아는 가정에서 사역을 먼저 시작하였다. 1세기 교회는 소 그룹 모임과 지역 교회가 함께 공존하였다. 집에서 소 그룹 모임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지역 교회를 이루었다. 이 가정에서 모이던 소 그룹은 콘스탄틴 황제가 기독교를 공인한 이후 소 그룹 가정 모임은 사라졌다.
작은 소 그룹은 은사를 가진 신자와 장로가 이끌었고 지역 교회도 장로와 감독이 그들의 은사를 활용하였다. 지역 교회에서 장로들과 감독들은 교회를 감독하고 돌보는 기능을 감당하였다. 그들의 리더쉽은 사람을 지배하는 리더쉽이 아니라 섬기는 리더쉽이었다. 이들의 리더쉽은 직위 (office)중심이 아니라 은사 (charisma)중심이었고 교인들로부터 신앙의 모범을 보임으로 인정받은 리더가 그룹을 이끌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소 그룹의 가정 교회 리더쉽은 평신도와 집의 호스트가 인도하였고 대 그룹인 지역 교회는 장로들과 감독들이 소그룹인 가정교회를 다스리고 돌보는 리더쉽을 가졌다.
이 가정 교회가 로마 제국의 박해로 인해 가정에서 모이던 1세기의 상황을 자유가 보장된 현대 사회와 교회에 문자 그대로 적용되기는 어렵다. 하지만 그 원리와 원칙은 지역 교회의 역동성을 위해 적용될 수 있다. 그 내용으로서 지역 교회 안에 있는 소 그룹 모임인 가정 모임은 내부적으로 형제 사랑과 공동체적 교제의 풍성함을 제공할 수 있다. 외부적으로는 가정에서 모이는 소 그룹인 모임은 불신자 전도를 위한 전도중심적 공동체로 활용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A.J. Malherbe, Social Aspects of Early Christianity (Baton Rouge: Louisiana State University Press, 1977); Robert Banks, Paul’s Idea of Community: The Early House Churches in their Historical Setting (Grand Rapids: Eerdmans, 1980); J.H. Elliott, A Home for the Homeless: A Sociological Exegesis of 1 peter, Its Situation and Strategy (Philadelphia: Fortress, 1981); Vincent Branick, The House Church in the Writings of Paul (Wilmington, DE: Michael Glazier, 1989); L.M. White, Building God's house in the Roman world: architectural adaptation among pagans, Jews, and Christians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0).
F. Danker,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Early Christian Literature, the third Edition, p. 303.
Raymond Zorn, Church and Kingdom (Philadelphia: Presbyterian and Reform Publishing House, 1962), p. 62; George V. Shillington, “The New Testament Church as Ekklesia,” Direction (1972), p. 327.
K.L. Schmidt, “ekklesia,” TDNT, III, p. 516.
Richard A. Horsley, Paul and Empire (Harrisburg: Trinity Press International, 1997), pp. 207-14, 245-46, 251-52.
Robert Turcan, translated by Anatonia Nerville, The Cults of the Roman Empire (Oxford: Blackwell Publishers, 1996), p. 10.
J. González, ‘The Lex Irnitana :A New Flavian Municipal Law,’JRS 76 (1986)147 –243, 172, 193. 플라비안 왕조의 행정에 관한 법령 (the Lex Salpensana and Lex alacitana)에 관해 다음의 서적을 참고하라. E.G. Hardy, Roman Laws and Charters (Oxford: Clarendon,1912): 61 –118; Justin K. Hardin, “Decrees and Drachmas at Thessalonica: An Illegal Assembly in Jason’s House (Acts 17:1-10a), New Testament Studies (2006): p, 18.
Richard A. Horsley, Paul and Empire (Harrisburg: Trinity Press International, 1997), pp. 208-209; cf. Dieter Georgi, Theocracy in Paul’s Praxis and Theology (Minneapolis: Fortress, 1991), p. 51; Meeks, First Urban Christians, p. 108; cf. Roger W. Gehring, House Church and Mission: The Importance of Household Structures in Early Christianity (Massachusetts: Hendrikson Publishers, 2004), p. 164.
Marlis Gielen, “Zur Interpretation der Formel katV oi=kon auvtw/n evkklhsi,a,” ZNW 77 (1986), pp. 111-12, 120, 124-5. Robert Jewett, Romans, p. 959에 인용됨; Roger W. Gehring, House Church and Mission: The Importance of Household Structures in Early Christianity ( Massachusetts : Hendrikson Publishers, 2004), pp. 164-65.
Robert Jewett, Romans, p. 959; C.E.B. Cranfield, Romans Vol II (Edinburgh: T & T Clark, 1985), p. 786.
Cf. Roger W. Gehring, House Church and Mission: The Importance of Household Structures in Early Christianity ( Massachusetts : Hendrikson Publishers, 2004), pp. 155-159.
Vincent Branick, The House Church in the Writings of Paul (Wilmington, DE: Michael Glazier, 1989), p. 26; cf. Roger W. Gehring, House Church and Mission: The Importance of Household Structures in Early Christianity,pp. 295-96.
Roger W. Gehring, House Church and Mission : The Importance of Household Structures in Early Christianity. p. 165.
Roger W. Gehring, House Church and Mission : The Importance of Household Structures in Early Christianity. pp. 27, 155-59.
Roger W. Gehring, House Church and Mission : The Importance of Household Structures in Early Christianity, p 158.
Roger W. Gehring, House Church and Mission : The Importance of Household Structures in Early Christianity, pp. 158-59. d Mission : The Importance of Household Structures in Early Christianity
Roger W. Gehring, House Church an, pp. 258-59.
Banks, The Community of Paul, 41–42, 120–21; J. D. G. Dunn, “The Responsible Congregation (1 Cor 14:26–40),” in Charisma und Agape (1 Kor 12–14), ed. L. de Lorenzi [ Rome : Abtei von St Paul, 1983] 204–5; Murphy-O’Connor, 156–58).
Roger W. Gehring, House Church and Mission : The Importance of Household Structures in Early Christianity, p. 158; Banks, The Community of Paul, p. 38.
Anthony Thiselton, 1 Corinthians ( Grand Rapids: Eerdmans, 2000), p. 857; Roger W. Gehring, House Church and Mission : The Importance of Household Structures in Early Christianity, pp. 164-65.
Robert Jewett, Romans, p. 980.
Jewett, Romans, p. 981; Zahl, p. 614; Godet, p. 501; Kasemann, p. 421; Moo, p. 935.
James Dunn, Romans, p. 911; Roger W. Gehring, House Church and Mission: The Importance of Household Structures in Early Christianity, p. 158, 139; G. Theissen, “Social Integration and Sacramental Activity: An Analysis of 1 Cor 11:17-34.” In The Social Setting of Pauline Christianity: Essays on Corinth (Edinburgh: T & T Clark, 1990), p. 56, 89.
Banks, Paul’s community, p. 38; cf. Roger W. Gehring, House Church and Mission: The Importance of Household Structures in Early Christianity,.p. 158.
cf. Peter Stulmacher, Romans, p. 255; James Dunn, Romans, p. 911.
Robert Banks, Paul's Idea of Community: The Early House Churches in Their Cultural Setting (Peabody, MA: Hendrickson Publishers, 1994), p. 34; cf. James Dunn, Romans, p. 893.
O.F. Robinson, The Criminal Law of Ancient Rome (London: Duckworth, 1995), p. 80.
Del Birkey, “The House Church : A Missiological Model, Missiology 19.1 (1991): 70-71.
D.W. Riddle, “Early Christianity Hospitality: A Factor in the Gospel Transmission,” Journal of Biblical Literature 57 (1938): 152-154.
Roger W. Gehring, House Church and Mission : The Importance of Household Structures in Early Christianity,.p. 294.
홍 인규, “바울과 가정교회,”초대 교회는 가정 교회였다 (서울: UCN Press, 2005), p. 256.
홍 인규, 바울과 가정 교회, p.255.
홍 인규, 바울과 가정 교회, p 257.
Benjamin L. Merkle. The Elder and Overseer: One Office in the Early Church ( New York : Peter Lang, 2003), p. 118.
Robert Jewett, Romans, p. 957.
Robert Jewett, Romans, p.65.
Robert Jewett, Romans, p. 66.
Robert Jewett, Romans, p. 962.
Robert Jewett, Romans, p. 974.
Stephen. Benko, Pagan Rome and the Early Christians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1984), p. 86.
William. Klassen, “The sacred kiss in the New Testament: an example of social boundary lines.” New Testament Studies 39 Ja 1993, p 122-135.
Cf. Roger W. Gehring, House Church and Mission : The Importance of Household Structures in Early Christianity,.p. 296.
Roman Garrison, “Phoebe, the Servant-Benefactor and Gospel Traditions,” in S.G. Wilson and M. Desjardins, eds, Text and Artifact in the Religions in Mediteranean Antiquity: Essays in Honour of Peter Richardson (Wateroo: Wilfrid Laurier University Press, 2000), pp. 63-65.
R.M. Rothaus, Kencheai, Eastern Port of Corinth, Corinth : The First City of Greece : An Urban History of Late Antique Cult and Religion ( Leiden : E. J. Brill, 2000), 제 4장.
'소 주제 글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령님 인도함을 받는 훈련 (0) | 2021.08.02 |
---|---|
교회는 말씀에 근거해 세속정부의 허상들 파헤쳐야 (0) | 2021.05.15 |
바울신학에 있어서 하나님의 의 연구 (0) | 2021.05.06 |
십일조는 율법인가 은혜인가 (0) | 2021.02.02 |
김영환 박사 나사렛 예수의 대제사장 기도(I) (0) | 2021.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