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과적인 선교를 위한 조건들
선교사가 주님으로부터 선교에의 부름을 받고 선교사로 활동하는 동안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곳은 두말할 것 없이 파송 교회다. 파송 교회는 선교사를 발굴하는 가장 기본 적인 땅 위의 기관이다. 교회에서 영적으로 성장한 선교사는 그 사명을 키워가고 단계적으로 적절한 훈련과 준비를 거쳐 선교사가 되는 것이다. 다른 것들은 모두 교회의 선교적 역할을 위한 협력 기관이어야 한다. 선교사와 교회, 선교 단체가 선교의 주제이신 주님의 뜻을 받들어 섬기는 마음으로 완전한 협력을 이룰 때 세계 선교는 그 활력을 얻게된다.
1. 교회의 역할
1). 지도자와 교회의 확실한 선교 비전
* 선교사를 보내고 후원하는 파송 교회 지도자들은 선교사가 받은 동일한 선교의 소명을 받아야 하고 선교사가 가진 동일한 성경적인 선교관을 가져야 한다.
* 지역교회 지도자는 그가 목회하는 성도들 중에 선교사적인 소명과 자질을 가진 후보자를 발굴하는 일은 무엇보다 중요한 선교의 첫 걸음이다.
* 파송교회의 성도들도 최소한의 선교적 사명을 가져야하고 선교사가 교회와 자신들을 대신해서 보냄을 받은 사람들이라는 동일한 소명 의식을 가져야 한다. 이런 소명의식이 결여된 선교 후원은 지속적이 되지도 못하고 효과적인 지원도 되지 못한다.
2). 선교사 지망자에 대한 영적 관리
* 선교사는 만들어진다. 많은 젊은이들이 선교에 대한 도전을 받고 헌신을 하지만 교회로부터 효과적인 관리를 받지 못했기 때문에 그들의 소명은 선교지까지 이어지지 못한다.
* 교회의 지도자는 그때 그때마다 헌신된 지원자의 생활과 삶을 지근에서 관찰 하고, 현재 그가 거쳐야 할 바른 준비 과정에 있는지 확인 점검해야 한다.
* 무엇보다도 장기적인 사역자로 헌신한 후보자는 그가 준비하는 세상의 전문지식뿐만 아니라 선교의 목표이기도 한 제자 만드는 일과 교회를 개척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진 사역자가 되도록 신학교육이나 체계적인 성경 교육을 받도록 안내해야 한다.
* 선교 지원자가 복음을 위해 독신의 길을 택한 자가 아니라면 동일한 선교 비전을 가진 배우자를 만나게 하는 일과 배우자에 대한 소명 점검을 하는 일이다. 배우자의 소명이 다르거나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선교는 성공 할 수 없다. 그리고 배우자도 선교사로서의 훈련을 받고 준비되도록 지도하는 일이다.
3). 전 교회적인 선교 관심과 후원 체제 구축
* 선교는 전 교회가 함께 이루어 나가야 할 대 과업이다. 때문에 파송 교회는 선교사를 보내기 전에 철저한 후원 관리 체제를 만들어야 한다.
* 미전도 종족, 잃은 양에 대한 예수님의 관심을 읽을 줄 아는 영적으로 성숙한 교인들이 효과적인 후원을 할 수 있는 것이다.
* 선교하는 선교지와 선교사의 사역에 대한 광범위하고 정확한 정보 수집은 교회의 효과적인 선교를 위한 필수 요건이다.
* 수집된 정보는 선교 관계자들뿐만 아니라 교회의 각 조직과 부서에 배포하고 숙지시키는 일이다.
* 사역지에 대한 넓고 정확한 정보와, 선교사의 사역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받기 위해서는 전문 단체의 도움이 중요하다.
* 선교사역에 대한 중요한 전략적 변화 결정에 대해서는 교회의 참여와 이해가 필요하다.
4). 기도와 재정적인 후원
* 파송 선교사에 대한 가족 의식을 가지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 선교사와 공유하는 선교적 사명 의식과 영적 전투에 참여하는 기도의 책임을 져야 한다.
* 선교사 자녀 교육에 대한 공동의 책임 의식을 가지는 일이다.
* 정기적으로 교회의 대표가 선교지를 답사하고, 사역자의 사역 현황을 파악하고 격려하는 일이다.
* 안식년에 대한 주도적 역할을 하는 것이다.
2. 전문 단체와의 실제적 협력
선교사가 타문화 선교사로서 준비되고 훈련되어질 수 있는 훈련 중에는 교회가 감당 할 수 없는 훈련들이 많다. 때문에 전문 선교 단체와의 협력이 필요하다.
1) 단체들로부터 선교지에 효과적으로 적응하는 훈련을 받게 하는 것
2) 타문화 선교사가 할 기본적인 준비중의 하나인 국제적 통용어인 영어 준비
3) 독자적인 선교가 가져 올 수 있는 비효율성을 방지하기 위한 팀 사역
4)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선교사의 자질에 대한 적성 검증을 받는 것
5) 선교사 배우자에 대한 훈련 및 객관적인 소명 검증
3. 현지 사역 관리
선교사가 잘 훈련되어지고 소명 의식이 분명하다고 해도 현장 사역의 관리를 받지 못 하면 잘못 판단 할 수 있고, 잘못 할 수 도 있다. 지금은 많은 선교사를 보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보낸 선교사가 사역의 관리 지도를 받으면서 제대로 사역하게 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1) 계획적이고 장기적인 현지 적응/ 언어 훈련- 초임 선교사가 현지의 기본적인 훈련 들인 문화에 대한 적응 훈련과 언어 습득 훈련을 제쳐두고 사역에 들어가려는 욕심을 관리 지도하는 일
2) 현장 사역 팀은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선교사와 선교지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교 회에 전달 할 수 있다.
3) 전문 단체의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분석 평가에 따른 필요한 사역지에 적합한 사역자를 배치해서 선교의 효율을 이루는 것이다.
4) 객관적인 점검을 통하여 기능과 능력에 따라 선교사를 사역에 배치하고 지도하는 것이다.
6) 효율적인 목회적 관리를 받게 하는 것이다.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선교사의 중도하차는 바로 선교사 개개인이 받아야 할 적절한 목회적 관리를 제대로 받지 못한 데서 오는 것이다. 선교지의 선교사에게 함께 기도하고 함께 문제를 풀어갈 팀이 필요하다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출처ⓒ† : http://cafe.daum.net/cgsbong
'선교 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중동지역 선교전략 (0) | 2018.08.16 |
---|---|
[스크랩] 교회와 선교 (0) | 2018.08.16 |
[스크랩] 교회와 선교 (0) | 2018.08.16 |
[스크랩] 속화(俗化)된 전도(傳道) (0) | 2018.02.27 |
[스크랩] 세계 복음화/The Unfinished Task (0) | 2018.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