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의 의식적이고 종교적인 삶은, 주변의 나라들과 같이 거룩한 장소들(예. 성막), 거룩한 사람들(제사장), 거룩한 시간(안식일, 대속죄일), 거룩한 행동들(재물을 바침, 봉헌물을 바침, 결례를 행함)에 집중되었다. 하나님에 대한 예배와 그것이 요구하는 의식의 성결은 받아들여지는 바른 절차를 침해하는 것과 두드러지게 대조를 이룬다,. 더욱이 의식의 성결은 궁극적으로 신체적이고 도덕적인 성결과 결부되어 있었다. 공동체의 성결 유지를 돕는 것과 그것으로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기 위해, 이스라엘 사람들은 어떤 동물들을 먹는 것과(레 11:1~38, 41; 참조. 신 14: 3~20), 출신(레 12:1~8), 문둥병(레 13:1~14:57), 몸의 유출병(레 15:1~33), 죽은 사람의 시체나 동물 시체와의 접촉(레 11:39~40), 노획된 전리품(민 31:23~24)과 관련하여 적절한 사전 주의를 하였다.
Ⅰ. 용어
성경에서는 성결과 불결, 거룩함과 더러움, 신성함과 세속적임 등과 같은 그런 관련된 개념뿐만 아니라, 정한 것과 부정한 것의 관념을 언급하는 것과 관련하여 풍부한 어휘를 사용하고 있다. 히브리어 ‘타헤르’ תהר는, 어떤 사람이나 사물이 의식에 따라 깨끗하며 올바른 에배의 표준들을 만족시키는 것을 가리키기 위해 구약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 단어인데, 이 단어의 피엘형은 “깨끗하다” 혹은 “부정하게 되다”는 것을 의미하기 위해 가장 자주 사용되는 용어는, 히브리어 ‘타메’ טמא인데, 이 용어는 피엘형에서 “부정하다고 선언하다”는 뜻이고 힢일형에서는 “부정하게 하다”는 뜻이다.
그 용어들 자체는 정한 것과 부정한 것의 개념에 관해 거의 말하지 않고 있지만 일차적으로 그 용어들이 사용된 문맥에서 그 의미들을 찾을 수 있다. 그렇지만 레 11~15장을 얼핏 읽어 보면, 이스라엘 사람들은 신체적인 부정함과 영적인 더러움을 대조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육체적으로 불결한 것은 정함과 부정함에 관련된 의식법에서 단지 부차적으로 중요한 것이었다. 의식적인 면에서 부정한 자들은, 비록 그들이 신체적으로는 깨끗하였을 수 있다 하더라도 의식에 참가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다. 대신 그들은, 그들이 깨끗하다고 선언받기 전까지 자신들을 깨끗하게 하는 일정 기간을 지내야 했다,. 예를 들면 시체를 만진 사람은 그들의 옷을 빨도록 요구되었고 저녁 때까지 의식적으로 부정한 상태로 남아 있었다(레 11:24~25, 28, 39~40). 문둥병자들은 제사장으로부터 정하다고 선언 받을 때까지 여러 날 동안 엄한 정결 조치를 받아야 했다(레 14장). 심지어는 물건들도 부정한 것으로 취급될 수 있었다(예. 의복, 레 13:47이하; 문둥병에 의해 감염된 집, 레 14:43). 그래서 회복이 가능할 때 그 집은 정하다고 선언받을 수 있었고 회복이 불가능하면 파괴되었다.
신약에서 가장 자주 사용된 용어들은 헬라어 ‘카다리조’ καθαριζω는 “깨끗하게 하다, 깨끗이 하다”, ‘카다로스’ καθαρος “깨끗한”, ‘아카다르시아’ ακαθαρσια ‘아카다르토스’ ακαθαρτος “부정한” 등이다. 비록 그 용어들이 드물게 사용되기는 하지만 그들은 의식, 신체, 도덕적인 데까지 정결과 불결이라는 구약의 개념을 반영하고 있다.
Ⅱ. 부정한 것에 대한 법들
A. 동물들을 먹음: 이스라엘 사람들은 어떤 짐승이나 짐승의 산물들을 만지거나 함께 먹음으로 즉시 불결하게 될 수 있었다. 이처럼 이스라엘 사람들은 다양한 음식법을 지켜야 했다. 의식법은 선천적으로 부정하여 먹을 수 없는 동물들을 지정하였다(레 11장; 신 14:3~20). 그 동물들에는 되새김질하지 않고 굽이 갈라지지 않은 동물들(‘쪽발’, 레 11:3), 네 다리와 평발로 걷는 것들, 여러 가지의 ‘가증스런 새들’ - 썩은 고기를 먹는 새들 혹은 늪지대와 습지에서 사는 새들 - 지느러미나 비늘이 없는 물고기, 기어 다니는 생물들, 배로 기어 다니거나 혹은 많은 다리를 가지고 기어 다니는 것들이었다. 정한 동물들은 정당하게 도살될 수 있었지만, 자연적인 원인으로 죽은 동물(신 14:21)이나 혹은 짐승에 의해 찢겨진 동물(레 17:15), 혹은 피가 다 빠지지 않고 아직 있는 동물들(창9:3~4; 레 17:11이하; 신 12:23)은 먹을 수 없었다. 그리고 새끼의 경우는 그 어미의 젖에다 삶을 수 없었다(출 23:19; 34:26; 신 14:21).
구약의 법은 부정한 동물과 접촉하거나 혹은 그것을 먹음으로 인해 부정하게 된 사람이 정결하게 될 수 있는 방법을 분명하게 지정하지는 않았다. 레 11:40 은 그 사람의 옷을 빨 것과 저녁 때까지 불결한 채로 있음을 가르치고 있다,. 이것은 정결케 되는 것이 그 사람이 부정하게 된 그날에 이루어짐을 암시한다.
B. 출산: 출산의 부정과 관련한 법(레 12:2이하)은 하와가 에덴동산에서 범죄 했을 때 여자들에게 내려진 저주를 배경으로 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창 3:16). 구약은 출산을 인류에 대한 하나님의 저주와 관련시킨다. 욥이 이것을 암시하였고(욥 14:4), 다윗도 그것을 넌지시 언급하였다(시 51:5).
여인이 남자 아이를 낳았을 때. 그 여인은 7일동안 부정하였다. 그 다음 33일이 자나야 산혈이 깨끗해지고(RSV. remain "in the blood of her purification"), 정결의 기한이 차기까지 그 여인은 성물을 만지거나 성소에 들어가는 것이 금지되었다(레 12:2~4). 그 여인은 전부 합해서, 아들을 낳은 이후 40일 동안 제사에 참여하지 못했다(눅 2:22에 의하면 마리아는, 그녀와 요셉이 예수님을 예루살렘에서 하나님께 드리기 전에 결례의 날을 지켰다). 한편 여인이 여자 아이를 낳았을 때는, 그 여인은 2주간을 부정하였고 정결 기간은 그 이후 66일이었다. 이처럼 그 여인은 딸을 낳은 것 때문에 두배나 긴 기간 동안 부정한 것으로 여겨졌다(레 12:5). 아마 이것은 딸을 낳는 것이 아들을 낳는 것보다 더 어렵다고 유대인들이 생각하였기 때문일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구분에 대한 만족한 설명을 하기는 어렵다.
정결을 위해 정해진 제사는 1년된 어린 양으로 하는 번제와 집비둘기 새끼나 산비들기로 하는 속죄제이다(레 12:6). 만일 그 여인이 경제적으로 어렵다면, 산비둘기 둘이나 집비둘기 새끼 둘을 하나는 번제물로 또 하나는 속죄 제물로 바치는 것이 허락되었다(마리아가 예수님을 출산한 후에 그런 제물을 드렸다; 눅 2:24). 일단 정결케 하는 제물들을 제사장에게로 가져가면, 그 제사장은 그 여인을 속죄하였고 그 여인은 깨끗하다고 선언되었다.
c. 문둥병: 고대인들이 보통 문둥병(70인역 헬. ‘레프라’ λεπρα)과 연결지어 생각한 많은 피부병들이 또한 사람을 부정하게 할 수 있었다. 이것들은 문둥병 자체만이 아니라 종기, 부스럼, 색점, 발진, 혹은 비정상적인 탈모를 일으키는 병들을 포함한다(레 13장).
이것의 정결 절차는 오히려 복잡하다. 먼저 진 밖에서 검사를 받은 부정한 사람이, 정한 산새 두 마리, 백향목, 홍색실과 우슬초를 제물로 바치게 되어 있었다. 새 두 마리 중 한 마리는 흐르는 물위 질그릇 한에서 잡았고, 그 피는 부정한 사람에게 뿌렸다. 다른 한 마리는 잡았던 새의 피에 담구었다가 놓아주었다.(레 14:2~8). 그리고 문둥병 환자는 몸을 물로 씻은 뒤, 모든 털을 밀고, 그의 옷을 빨아야 했다. 일단 의식이 끝나면, 그는 진으로 들어오는 것이 허락되었으나, 그의 장막으로 들어오지는 못했다.(레 14:8). 다음날 그는 어린 수양 한 마리의 속죄 제물뿐만 아니라, 어린 수양 둘과 어린 암양 하나, 기름 한 록(약 0.3L)을 제물로 바쳐야 했다. 그러면 제사장은 그 환자의 우편 귓부리, 우편 엄지 손가락, 우편 엄지 발가락에 피와 기름을 바른뒤 속죄제, 번제, 소제를 드림으로써 속죄하였다.
환자 자신뿐만 아니라, 그의 의복과 집 또한 부정한 것으로 여겨질 수 있었다. 문둥병의 성장이 그쳤다고 여겨진 의복은 두 번 빨아서 정결케 될 수 있었던 것에 비해, 여전히 부정하다고 여겨진 것은 태워야 했다(레 13:47~59; 14:33~47). 그 병이 그친 집은 속죄하는 의식에 의해 깨끗하게 될 수 있었다.그러나 그 병이 만연하다고 여겨질 때는 철거되어야 했고 그 조각들은 공동체 밖의 부정한 곳으로 옮겨졌다(레 14:45, 48~53).
신약시대에 문둥병자는 헤롯 성전, 구체적으로 말하면 여인의 뜰과 남자의 뜰 사이의 니가노르 문(Nicanor Gate)으로 출입하였다. 먼저 그는 여인의 뜰의 북서쪽 구석에 위치한 문둥병자의 방에서 목욕을 했다. 그런 후 그는 그 뜰의 동쪽 편, 니가노르 문에 서서, 그의 머리를 남자의 뜰(‘이스라엘 사람의 뜰’이라고도 불림)을 향해 숙이고 제사장으로부터 속죄 의식의 피와 기름을 받아야 했다.
D. 몸의 유출병: 피, 정액, 다른 유체들, 특별히 성적이거나 혹은 재생산적인 기능과 연관된 것들의 배설과 방출의 다양한 형태들은 부정함의 원천이었다. 이것은 성교에서처럼 의도적으로 배출되거나(레 15:18), 밤에 일어나는 유출, 병으로 무심결에 배출된 정액을(레 15:2~17) 포함 할 수 있다. 여자는 월경 기간 뿐만 아니라, 성교를 하는 것도 불결하다고 여겨졌다(레 15:16~19). 그리고 월경 중인 여자와 성적인 접촉을 가진 남자 또한 7일 동안 부정하였는데(레 15:24) 계속 유출을 하는 사람은 영원히 부정한 것으로 간주되었다(레 15:“2~12, 25~28). 어떤 사람이 부정한 때에 사용한 의복, 가구들, 그릇들도 역시 불결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성적인 유출이 불결하게 되는 결과는 원시적인 터부나 혹은 이스라엘의 이웃들 사이에서 행해진 의식적 성교와의 연결을 통해서 비롯되었을지도 모른다. 성경은 거듭 인간 존재의 적극적이고 정당한 특면으로서의 성의 특성을 변호하고 있다(예. 창 2:18~25). 인류의 성적 타락과 요염은 인류의 죄의 결과와 연관 지어질 것이다.
설정(泄精)한 남자는 함께 성교를 한 여자와 마찬가지로 저녁까지 부정하다고 여겨졌는데, 그 여자는 깨끗하게 되기 위해서 목욕을 해야 했다(레 15:16, 18). 여인은 월경 기간 7일간 부정하였다(레 15:19). 긴 기간 동안 유출하는 사람은 유출하는 기간과 그 후 7일 동안 부정하였다. 그리고 여자는 7일 기간을 기다려야 했으나, 남자는 그의 옷을 빨고 흐르는 물에 몸을 씻어야 했다(레 15:5~12). 정결케 되기 위해서는 산비둘기 둘이나 집비둘기 새끼 둘을 속죄제와 번제로 드리는 것이 요구되었다(레 15:13이하).
E. 죽은 몸들: 정한 동물이든 부정한 것이든 사체를 만진 사람은 저녁까지 부정한 것으로 간주 되었다(레 11:39). 그리고 민 19:11에 의하면 죽은 사람을 만진 자는 7일 동안 부정하였다. 그런 부정한 사람은 문둥병자와 같이 불결한 기간 동안 진 밖에 있어야 했다(민 5:2~3).
짐승의 사체를 만진 것을 깨끗하게 하는 의식으로는 그 사람의 의복을 빠는 것이 요구되었다(레 11:40). 죽은 사람을 만진 자를 위한 정결 의식은 더 복잡하였다. 더럽혀진 사람은, 그가 부정한지 3일재와 7일째에 다시 자신의 몸을 씻도록 요구되었다(민 19:12). 정결한 사람이 부정한 사람에게 ‘분리하는 물’ 즉, 암송아지를 태운 재를 풀어 흐르는 물에 뿌렸다(레 19:17).
F. 전리품: 시체들로 인한 오염의 위험이나 이방의 제사 의식 행위와 연합된 의식의 부정함 때문에 이스라엘 백성들은 이방인들과의 전쟁에서 얻은 전리품의 위험을 경고받았다(민 31:21~24). 가죽, 동물의 털, 나무로 만든 물건들은 부정한 것을 흡수할 수 있었다. 그래서 그것들은 물로 정결케 해야 했다. 그 외에 금속으로 된 여러 가지 형태의 물품들은 불결한 것을 흡수할 수 없었지만 불에 의해 청결케 되었고 그 후 정결케 하는 물로 다시 씻어야 했다.
Ⅲ. 신학적 고찰
정한 것과 부정한 것 사이의 구분이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국한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어떤 학자들은 (특히 R. Smith) 이스라엘 사람들도 그들의 의식 관습을 초자연적인 보복에 대한 금지인, 터부의 개념으로부터 이끌어냈다고 주장하였다. 이스라엘의 이웃 나라들로부터 받은 영향이 그 백성들 자체의 의식적이고 종교적인 생활에 침투하였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지만, 이스라엘의 종교적인 행위들의 제정을 지도한 신적 계시를 오판하지 않았다면, 정한 것과 부정한 것에 관한 이스라엘 법의 내용이 이 영향에 기인하다고 볼 수는 없었다.
이런 법들은 이스라엘 자신의 자각에 근거를 두지는 않았다. 반대로 구약은 이런 의식법들이 하나님에 의해 모세에게(레 12:1; 14:1), 모세와 아론에게(레 11:1; 13:1; 14:33; 15:1) 주어졌다고 분명하게 말하고 있다. 이스라엘은 거룩한 나라, 하나님께 바쳐지는 죄와 분리된 나라가 되어야 했다(레 20:26). 이스라엘을 계속적으로 분리하기 위해서, 하나님은 그들을 성결한 행위의 백성으로 구조하려고 하셨다. 후에 선지자들은, 그들이 동시대의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회개와 성결을 외쳤을 때 같은 목적을 선언하였다(예. 사 1:16; 참조. 겔 36:25). 신약도 역시 똑같은 메시지를 되풀이 하고 있다(살전 4:7; 벧전 1:15~16). 이스라엘은 자신의 특별한 성격을 무시하는 것, 일반적이거나 부정한 존재에 의지하는 것이 금지 되었다(예. 레 15:31).
거룩함이 문화적이고 종교적인 성결을 위한 주된 이유였지만, 거기에는 많은 부차적인 이유들이 있다. 즉 의식모티브(다른 종교들에서는 돼지), 위생에 관한 모티브들(어떤 동물들은 건강에 해롭고 병을 옮길 수도 있다). 가증스런 동물모티브(뱀과 파충퓨는 역겨운 것으로 여겨졌다). 죽음의 모티브(포식성 새들은 동물의 썩은 고기를 먹었다)등이다. 궁극적으로, 유대인들은 이런 규정들을 지켜야 하는 왕의 법령으로 해석하였고 토론할 주제로 삼지는 않았으며, 에덴동산에서 하나님이 아담에게 시험하신 명령과 같은 것으로 여겼다(창 2:16이하).
Ⅳ. 신약
신약에서 정한 것과 부정한 것의 개념은 대부분 한 개인의 영적 상태와 연관되어 있고 주로 은유적인 의미로 나온다. 복음서에서 부정한 것에 대한 유일한 언급은 귀신 들린 것과 정신 이상과 관계되어 나온다. 비록 정한 것과 부정한 것에 관한 구약의 의식 규정들은 여전히 지켜졌지만, 그리스도께서는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나님의 어린양으로서(요 1:29), 하나님과 인류를 분리한 율법의 부분을 폐하셨다고 나타난다(엡 2:14~16). 더욱이 그는 인간의 책임을 말씀하시고, 사람을 더럽히는 것은 외부적인 동인(動因)이 아니라 오히려 더러움을 일으키는 것, 사람이 말하는 것이나 행하는 것이라고 단언하신다(마 5:11 병행구절, 막 7:14~23; 참조. 행 15:29; 롬 15:14~17). 신약이 모든 죄로부터 멀리하라는 그리스도인의 의무를 폐지하지는 않지만(유 23절). 그리스도의 강력한 사역을 설명한다. 그분은 자신을 의식적인 더러움에 내어놓으셨지만 - 예를 들면 죽은 사람을 만지심(눅 7:11~12; 8:54)과 출혈중인 여인을 만지심(마 9:20~22 병행구절, 막 5:25~34; 눅 8:44~45) - 죄의 불결을 떠맡으셨고 그의 중재를 통해 인간의 생명을 구속하셨다(참조, 고전 15:54; 갈 3:13)
아가페성경사전
【 레위기 11장 】정한 동물, 부정한 동물과 음식
☞ (1~8절) 짐승
1. 여호와께서 모세와 아론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The LORD said to Moses and Aaron,
2. 이스라엘 자손에게 말하여 이르라 육지의 모든 짐승 중 너희가 먹을 만한 생물은 이러하니
"Say to the Israelites: 'Of all the animals that live on land, these are the ones you may eat:
【 용어해설 】2절. 먹을 만한 생물
소, 양, 염소, 사슴, 노루, 영양, 산염소, 산양 등.
3. 모든 짐승 중 굽이 갈라져 쪽발이 되고 새김질하는 것은 너희가 먹되
You may eat any animal that has a split hoof completely divided and that chews the cud.
4. 새김질하는 것이나 굽이 갈라진 짐승 중에도 너희가 먹지 못할 것은 이러하니 낙타는 새김질은 하되 굽이 갈라지지 아니하였으므로 너희에게 부정하고
" 'There are some that only chew the cud or only have a split hoof, but you must not eat them. The camel, though it chews the cud, does not have a split hoof; it is ceremonially unclean for you.
5. 사반도 새김질은 하되 굽이 갈라지지 아니하였으므로 너희에게 부정하고
The coney, though it chews the cud, does not have a split hoof; it is unclean for you.
6. 토끼도 새김질은 하되 굽이 갈라지지 아니하였으므로 너희에게 부정하고
The rabbit, though it chews the cud, does not have a split hoof; it is unclean for you.
7. 돼지는 굽이 갈라져 쪽발이로되 새김질을 못하므로 너희에게 부정하니
And the pig, though it has a split hoof completely divided, does not chew the cud; it is unclean for you.
【 용어해설 】4~7절. 낙타, 사반, 토끼, 돼지
낙타, 사반, 토끼는 새김질을 하지만 발굽이 갈라지지 않았고, 돼지는 발굽이 갈라졌으나 새김질을 하지 않기 때문에 먹을 수 없었음. 그러나 신약 시대에 이르러 사도들은 목메어 죽은 짐승 외에는 다 먹을 수 있다고 가르쳤음. 사반은 너구리의 히브리 명칭임.
8. 너희는 이러한 고기를 먹지 말고 그 주검도 만지지 말라 이것들은 너희에게 부정하니라
You must not eat their meat or touch their carcasses; they are unclean for you.
☞ (9~12절) 물고기
9. 물에 있는 모든 것 중에서 너희가 먹을 만한 것은 이것이니 강과 바다와 다른 물에 있는 모든 것 중에서 지느러미와 비늘 있는 것은 너희가 먹되
" 'Of all the creatures living in the water of the seas and the streams, you may eat any that have fins and scales.
【 말씀해설 】9절.
사도행전 10장에 보면 부정한 음식이라 할지라도 하나님께서 깨끗케한 것은 무엇이든지 먹을 수 있다고 나타나 있음. 곧 하나님께서는 참된 정결함이 이젠 더 이상 새김질이나 갈라진 굽에 있는 것이 아니고 어린양의 피로 씻음 받는데 있음을 가르치려 하셨던 것임. 사도행전 15장의 예루살렘 총회에서도 피와 목메달아 죽은 것 외에는 모든 음식을 먹어도 된다고 결정하였음. 이 예외 규정도 유다인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한 일시적인 조치였을 뿐임. “하나님의 지으신 모든 것이 선하매 감사함으로 받으면 버릴 것이 없나니 하나님의 말씀과 기도로 거룩하여 짐이니라” 따라서 성도들은 거리낌없이 돼지고기를 먹어도 됨. 진정한 정결을 규정짓는 표준은 ‘새김질이나 갈라진 굽’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깨끗케 하신 것’임.
10. 물에서 움직이는 모든 것과 물에서 사는 모든 것 곧 강과 바다에 있는 것으로서 지느러미와 비늘 없는 모든 것은 너희에게 가증한 것이라
But all creatures in the seas or streams that do not have fins and scales - whether among all the swarming things or among all the other living creatures in the water - you are to detest.
【 용어해설 】10절. 가증한 것
여기서는 지느러미 또는 비늘이 없는 물고기. 곧 뱀장어, 새우, 오징어, 조개류를 말함.
11. 이들은 너희에게 가증한 것이니 너희는 그 고기를 먹지 말고 그 주검을 가증히 여기라
And since you are to detest them, you must not eat their meat and you must detest their carcasses.
12. 수중 생물에 지느러미와 비늘 없는 것은 너희가 혐오할 것이니라
Anything living in the water that does not have fins and scales is to be detestable to you.
【 말씀해설 】1~12절.
11장은 정결한 것과 부정한 것의 분별에 대한 규례임. 구약 시대에는 굽이 갈라지고 새김질하는 짐승과 지느러미와 비늘이 모두 있는 물고기만 먹을 수 있었음. 이는 택함받은 자가 세상과 구별되어야 한다는 것을 가르치는 규례임.
☞ (13~28절) 새와 곤충
13. 새 중에 너희가 가증히 여길 것은 이것이라 이것들이 가증한즉 먹지 말지니 곧 독수리와 솔개와 물수리와
" 'These are the birds you are to detest and not eat because they are detestable: the eagle, the vulture, the black vulture,
14. 말똥가리와 말똥가리 종류와
the red kite, any kind of black kite,
15. 까마귀 종류와
any kind of raven,
16. 타조와 타호마스와 갈매기와 새매 종류와
the horned owl, the screech owl, the gull, any kind of hawk,
【 용어해설 】16절. 타호마스
쏙독새의 히브리어 발음.
17. 올빼미와 가마우지와 부엉이와
the little owl, the cormorant, the great owl,
18. 흰 올빼미와 사다새와 너새와
the white owl, the desert owl, the osprey,
19. 황새와 백로 종류와 오디새와 박쥐니라
the stork, any kind of heron, the hoopoe and the bat.
20. 날개가 있고 네 발로 기어 다니는 곤충은 너희가 혐오할 것이로되
" 'All flying insects that walk on all fours are to be detestable to you.
21. 다만 날개가 있고 네 발로 기어 다니는 모든 곤충 중에 그 발에 뛰는 다리가 있어서 땅에서 뛰는 것은 너희가 먹을 지니
There are, however, some winged creatures that walk on all fours that you may eat: those that have jointed legs for hopping on the ground.
22. 곧 그 중에 메뚜기 종류와 베짱이 종류와 귀뚜라미 종류와 팥중이 종류는 너희가 먹으려니와
Of these you may eat any kind of locust, katydid, cricket or grasshopper.
23. 오직 날개가 있고 기어다니는 곤충은 다 너희가 혐오할 것이니라
But all other winged creatures that have four legs you are to detest.
24. 이런 것은 너희를 부정하게 하나니 누구든지 이것들의 주검을 만지면 저녁까지 부정할 것이며
" 'You will make yourselves unclean by these; whoever touches their carcasses will be unclean till evening.
25. 그 주검을 옮기는 모든 자는 그 옷을 빨지니 저녁까지 부정하리라
Whoever picks up one of their carcasses must wash his clothes, and he will be unclean till evening.
26. 굽이 갈라진 모든 짐승 중에 쪽발이 아닌 것이나 새김질 아니하는 것의 주검은 다 네게 부정하니 만지는 자는 부정할 것이요
" 'Every animal that has a split hoof not completely divided or that does not chew the cud is unclean for you; whoever touches the carcass of any of them will be unclean.
27. 네 발로 다니는 모든 짐승 중 발바닥으로 다니는 것은 다 네게 부정하니 그 주검을 만지는 자는 저녁까지 부정할 것이며
Of all the animals that walk on all fours, those that walk on their paws are unclean for you; whoever touches their carcasses will be unclean till evening.
28. 그 주검을 옮기는 자는 그 옷을 빨지니 저녁까지 부정하리라 그것들이 네게 부정하니라
Anyone who picks up their carcasses must wash his clothes, and he will be unclean till evening. They are unclean for you.
☞ (29~47절) 부정 규례와 정결 원칙
29. 땅에 기는 길짐승 중에 네게 부정한 것은 이러하니 곧 두더지와 쥐와 큰 도마뱀 종류와
" 'Of the animals that move about on the ground, these are unclean for you: the weasel, the rat, any kind of great lizard,
30. 도마뱀붙이와 육지 악어와 도마뱀과 사막 도마뱀과 카멜레온이라
the gecko, the monitor lizard, the wall lizard, the skink and the chameleon.
31. 모든 기는 것 중 이것들은 네게 부정하니 그 주검을 만지는 모든 자는 저녁까지 부정할 것이며
Of all those that move along the ground, these are unclean for you. Whoever touches them when they are dead will be unclean till evening.
32. 이런 것 중 어떤 것의 주검이 나무 그릇에든지 의복에든지 가죽에든지 자루에든지 무엇에 쓰는 그릇에든지 떨어지면 부정하여지리니 물에 담그라 저녁까지 부정하다가 정할 것이며
When one of them dies and falls on something, that article, whatever its use, will be unclean, whether it is made of wood, cloth, hide or sackcloth. Put it in water; it will be unclean till evening, and then it will be clean.
33. 그것 중 어떤 것이 어느 질그릇에 떨어지면 그 속에 있는 것이 다 부정하여지나니 너는 그 그릇을 깨뜨리라
If one of them falls into a clay pot, everything in it will be unclean, and you must break the pot.
34. 먹을 만한 축축한 식물이 거기 담겼으면 부정하여질 것이요 그 같은 그릇에 담긴 마실 것도 부정할 것이며
Any food that could be eaten but has water on it from such a pot is unclean, and any liquid that could be drunk from it is unclean.
35. 이런 것의 주검이 물건 위에 떨어지면 그것이 모두 부정하여지리니 화덕이든지 화로이든지 깨뜨려버리라 이것이 부정하여져서 너희에게 부정한 것이 되리라
Anything that one of their carcasses falls on becomes unclean; an oven or cooking pot must be broken up. They are unclean, and you are to regard them as unclean.
36. 샘물이나 물이 고인 웅덩이는 부정하여지지 아니하되 그 주검에 닿는 것은 모두 부정하여질 것이요
A spring, however, or a cistern for collecting water remains clean, but anyone who touches one of these carcasses is unclean.
37. 이것들의 주검이 심을 종자에 떨어지면 그것이 정하거니와
If a carcass falls on any seeds that are to be planted, they remain clean.
38. 만일 종자에 물이 묻었을 때에 그것이 그 위에 떨어지면 너희에게 부정하리라
But if water has been put on the seed and a carcass falls on it, it is unclean for you.
39. 너희가 먹을 만한 짐승이 죽은 때에 그 주검을 만지는 자는 저녁까지 부정할 것이며
" 'If an animal that you are allowed to eat dies, anyone who touches the carcass will be unclean till evening.
40. 그것을 먹는 자는 그 옷을 빨 것이요 저녁까지 부정할 것이며 그 주검을 옮기는 자도 그의 옷을 빨 것이요 저녁까지 부정하리라
Anyone who eats some of the carcass must wash his clothes, and he will be unclean till evening. Anyone who picks up the carcass must wash his clothes, and he will be unclean till evening.
41. 땅에 기어 다니는 모든 길짐승은 가증한즉 먹지 못할지니
" 'Every creature that moves about on the ground is detestable; it is not to be eaten.
42. 곧 땅에 기어다니는 모든 기는 것 중에 배로 밀어 다니는 것이나 네 발로 걷는 것이나 여러 발을 가진 것이라 너희가 먹지 말지니 이것들은 가증함이니라
You are not to eat any creature that moves about on the ground, whether it moves on its belly or walks on all fours or on many feet; it is detestable.
43. 너희는 기는바 기어다니는 것 때문에 자기를 가증하게 되게 하지 말며 또한 그것 때문에 스스로 더럽혀 부정하게 되게 하지 말라
Do not defile yourselves by any of these creatures. Do not make yourselves unclean by means of them or be made unclean by them.
44. 나는 여호와 너희의 하나님이라 내가 거룩하니 너희도 몸을 구별하여 거룩하게 하고 땅에 기는 길짐승으로 말미암아 스스로 더럽히지 말라
I am the LORD your God; consecrate yourselves and be holy, because I am holy. Do not make yourselves unclean by any creature that moves about on the ground.
45. 나는 너희의 하나님이 되려고 너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낸 여호와라 내가 거룩하니 너희도 거룩할지어다
I am the LORD who brought you up out of Egypt to be your God; therefore be holy, because I am holy.
46. 이는 짐승과 새와 물에서 움직이는 모든 생물과 땅에 기는 모든 길짐승에 대한 규례니
" 'These are the regulations concerning animals, birds, every living thing that moves in the water and every creature that moves about on the ground.
47. 부정하고 정한 것과 먹을 생물과 먹지 못할 생물을 분별한 것이니라
You must distinguish between the unclean and the clean, between living creatures that may be eaten and those that may not be eaten.' "
※레위기 11장과 신약 교회
하나님께서는 자신이 지으신 피조물을 보시고 매우 좋다고 말씀하셨음. 이는 부정한 것은 만드시지 않으셨다는 의미임. 또한 하나님께서는 노아에게 피를 제거하면 모든 동물을 양식으로 삼아도 좋다고 허락하셨음. 그런데 왜 레위기 11장에서는 정결한 것과 부정한 것을 분리시켜 놓고 부정한 것들을 먹지 못하게 하셨을까? 그 목적은 하나님의 거룩한 백성들이 우상 숭배자들인 이방인들과 혼잡스런 교류를 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었음. 왜냐하면 레위기 11장의 결론이 ‘내가 거룩하니 너희도 몸을 구별하여 거룩하게 하라’이기 때문임. 곧 정결한 음식과 부정한 음식을 구분하신 이유는 유대인과 이방인을 구별하는 수단이었음. 이 규례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을 선택하셨다는 상징이었음. 따라서 신약 교회가 이 규례를 문자적으로 지킬 필요는 없음. 그러나 신약 교회 성도들은 이 규례에서 세상과 짝하지 않고 ‘정결한 삶’을 살아야 된다는 것을 깨달아야 함. 이 ‘정결한 삶’은 더 이상 음식물로 구분되지 않음. 예수님도 ‘입으로 들어가는 것이 사람을 더럽히지 못하며’라고 말씀하셨음. 사도 바울 역시 어떤 음식이든지 음식 자체가 부정한 것은 아니라고 했음. 거룩한 삶은 그리스도 안에서 영적, 도덕적 순결을 지킴으로써 이루어짐.
(자료) 아가페출판사 셀프성경, 대한성서공회(http://www.bskorea.or.kr),다국어성경Holybible(http://www.holybible.or.kr/),개역개정 성경,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영어성경
/출처ⓒ† : http://cafe.daum.net/cgsbong
'성경 용어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선(善)과 악(惡)에 대한 이해 (0) | 2018.06.08 |
---|---|
[스크랩] 번제란 무엇인가? (0) | 2018.06.08 |
[스크랩] 회당(Synagogue)의 이해 (0) | 2018.06.08 |
[스크랩] 선(善)과 악(惡)에 대한 이해 (0) | 2018.06.08 |
[스크랩] 이신칭의 (以信稱義 (0) | 2018.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