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신학

[스크랩] 역사신학(歷史神學, historical theology)

하나님아들 2018. 5. 26. 00:13

역사신학(歷史神學, historical theology) 


   
 역사신학은 그리스도교를 역사적으로 연구함을 목적으로 하는 신학의 한 부문이다. 오늘날 교회사·교리사와 거의 같은 뜻으로 쓰인다. 일반적으로 신학이 그리스도교를 역사현상으로 간주하여, 연구대상으로 보고 역사연구방법으로 처리할 경우에는 성서, 신앙의 체계적 사고, 신앙실천 모두가 역사적 고찰의 대상이 되며 성서학·조직신학·실천신학도 그 일부분 또는 전체가 역사신학에 포함된다. 즉 역사와 신학 각각의 의미부여에 따라 역사신학의 내용과 범위가 바뀐다는 것이다. 특히 19세기에서 20세기초에 걸친 자유주의신학에서 역사신학은 전성기를 맞으며 F.E.D. 슐라이어마허는 교의학도 역사신학의 일부분이라고 주장하였다. 20세기에는 변증법 신학이 주류를 이루어 K. 바르트와 같이 역사신학을 준비단계의 학문으로 간주하고 신학의 주요부문에서 벗어난 이론까지 주창하기에 이르렀다. 1960년대가 되자 변증법신학에 대한 비판이 일고, 과거뿐만 아니라 미래에 대한 예상과 희망을 포함한 넓은 뜻의 역사로서 그리스도교를 취급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는 등 신학 재편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출처 : 행 복 충 전 소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