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자론
1.목회자의 권위
1)목회자의 권위는 예수 그리스도의 권위요 성경의 권위이다.
2)목회자의 권위는 낮아지고 섬기는 데서 얻어지는 것이다.
목에 힘을 주고 스스로 높아지는 데서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최고의 권위자가 되고 싶으면 최소의 끝이 되라.(막9:33)
막10:43-44 - 너희 중에는 그렇지 아니하니 너희 중에 누구든지 크고자 하는 자는 너희를 섬기는 자가 되고, 너희 중에 누구든지 으뜸이 되고자 하는 자는 모든 사람의 종이 되어야 하리라.
①루터-목회자의 권위는 속박 당하는 권위이다.
②어거스틴-목회자의 권위는 하나님의 궁극적인 권위이다.
③목회자의 권위는 고통하는 권위이다.
④울면서도 승리하는 권위이다.
⑤죽으면서도 부활하는 권위이다.
3).목회자의 권위는 하나님께 순종과 복종함으로 얻어지는 것이다.
목회자는 종인가, 지도자인가?
모세는 하나님의 종인 동시에 지도자임을 알라 했다.
목회자의 권위는 섬김의 정도에 정비례한다.
목회자의 권위는 외적인 것이 아닌, 내적인 것이다.
목회자로서의 권위는 섬김의 서열에 있고, 낮아짐에 있다.
교인들은 그 권위가 있을 때 순종하고 따르고 존경한다.
루터는“목회자의 권위는 안주하고 호의호식(好衣好食) 하는 권위가 아니라, 불편하고 속박 당하는 권위이다.”라고 했다.
4)설교를 통한 예수를 체험케 하는 데서 얻어지는 권위(영적 권위)이다.
5)목회자의 권위는 양들을 잘 먹이고 돌보아 많은 새끼를 낳게 하고, 많은 젖을 얻는 데서 얻어지는 권위이다.
2.목회자의 설교와 심방
1)설교자로서의 목사:교인들은 설교 잘 하는 능력을 47% 인정한다.
말씀 사역 불충분은 목회자의 책임이다.
목사는 주방장, 많은 요리사를 두는 것이 좋다.
부목사를 주일 대예배 설교 시켜라.
2)심방:심방하는 목사는 말씀으로 가정과 개인문제를 도와 주어야 한다.
교인은 심방을 자주 오는 것을 좋아하는 편이다.
일면으로 현대인은 가족 이기주의로 심방을 기피하는 경우가 많다.
현대인은 익명성이 강하고, 자기 만의 껍질 속에 숨는다. 그러므로 전화 심방을 원하는 성도가 많다.
농촌에는 그렇지 않다.
심방을 자주 하면 좋아하는 교인도 있으나, 어떤 교인은 심방을 하지 않는 것이 유익하니, 적당히 알아서 해야 한다.
3)심방은 말씀으로 위로와 고민을 상담 치료한다.(고민을 털어 놓을 수 있는 목회자의 편안하고 신뢰적인 인격이 중요하다.)
3.목회자의 갈등
1)교인들은 만능 목회자를 원한다.
그러나 이 크나 큰 욕구 충족은 불가능하다.
개인의 컴플렉스를 주의하라.
취직, 중매, 상담, 남녀 노소 만남, 목회자의 사역은 다양하다.
2)목회자는 외유내강(外柔內剛) 해야 한다.
사랑, 용서, 양보, 수용하며 겸손해야 한다.
신앙과 철학이 굳건해야 한다.
3)교역자 간의 갈등
담임목사는 정확한 업무 분담과 원만한 지도력이 필요하다.
4)내(목사)가 지고 손해 보면, 예수(교회)는 이기고 유익해진다.
5)목회자의 의견에 반대 의견을 내는 당회원은 언제나 불안과 갈등을 제공한다.
그러나 그 사람을 특별히 의연하게 대처해야 하고, 고집 보다 양보가 이기는 길임을 알아야 한다.
4.목회자의 사생활
1)사모는 아내와 어머니로서 인간관계에서 평화의 자양분을 공급하는 밀알이 되어야 한다.
사모가 목사 남편에게 집에서도 목사 노릇을 강요하는 것은 곤란하다.
집에서는 남편이고, 아버지이어야 한다.
아내는 자녀들에게 아버지의 권위를 세워 주어야 한다.
2)목회자의 자녀는 교인의 관심 대상이다.
학교에서도 우등생이기를, 사생활에서는 작은 목사이기를 기대한다.
고로 목회자 자녀들의 성격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준다.
목사 자녀를 대학 때부터는 타 교회에 가서 봉사하게 하는 것도 좋은 방안이다.
3)목회자는 가정을 중요시 해야 한다.
가정이 흔들리면 목회는 흔들린다.
4)목회자는 이성관계가 엄격해야 한다.
많이 실패한 목회자 뒤에는 이 꼬리표가 따라 다닌다.
이성관계가 깨끗치 못하면 메시지에 생명력을 상실하고 교인은 영양실조에 걸린다.
5)목회자는 진실, 정직, 공신력이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목사의 설교는 허공만 친다.
6)나 자신의 이익과 관계되는 것을 피하라.(생일, 회갑, 경조사, 설교도 목회자를 섬겨야 복 받는다는 식 금물)
교인들에게 무슨 선물을 받든 웃음과 칭찬으로 답하라.(나는 이런 색깔은 싫은데... 이런 모양은 싫은데... 이런 답은 안된다.)
집에 많이 사 가지고 오거나, 많은 선물을 받는 것을 은근히 기다리지 말라.
5.함정
1)목회자는 사탄의 공격 대상이다. 교인보다 백 배나 근신해야 하고, 사탄의 공격을 인지하고 극복해야 한다.
교인을 통해 오는 사탄의 공격도 무섭다.
더 무서운 것은 가족을 통해 오는 공격이다.
사탄은 고단수의 공격자이다. 아담은 하와에게서 무너졌다.
마귀는 아내를 통해 선악과를 먹게 한다.
아내의 비협조, 원망, 비판, 가정 불화, 위선자로 지탄... 등은 목회를 치명적인 함정에 빠뜨린다.
2)금전주의
①헌금은 하나님께 바쳐진 것. 교회 재정은 서류를 구비하며 공개되어야 한다.
교인들에게 돈 받는 것을 좋아하는 인상을 주지 말라.
구질 구질한 잡비를 타 쓰지 말라.
어떤 목사는 동창회 회비, 동창회 모이는 경비도 청구 명목을 만들어 청구하는데 잘못이다. - 재정부에서 말 없이 지불해도 - 다 알고 있다.
②목회자 사례 문제
(1)교인들은 목회자의 거룩을 청빈의 정도와 비례한다.
그러나 강요된 가난은 교회 발전에 장애가 된다.
(2)사례는 가능한 한 많이 책정되어야 한다.
사례 책정은 장로가 하는 것이다. 장로는 목사가 기쁨으로 일할 수 있도록 사례를 넉넉히 책정해야 한다.
목회자가 외형적으로나 간접적으로 요구하는 운동은 금물이다.
장로가 가장 싫어하는 것은 목사의 월급 타령 모습이다.
그리고 목회자나 가족이 사치하면 목회에 암이 된다.
여유 있어도 검소하게 살라.
③목회자는 잘 살아도 못 사는 척하고 살고, 못 살아도 잘 사는 척 하고 사는 직이다.
못 살고 가난해도 힘들다는 소리를 말라. 못 사는 것의 표현은 구걸하는 소리다.
3)목회자는 돈에 관해서는 깨끗해야 하고, 정직해야 하고, 지혜로워야 한다. 교인들이 주더라도 억지로 사양하라. 쉽게 받으면 줘 놓고도 욕한다.
4)사례를 올릴 때는 일체 특정인에게 말하지 말라.
금언하라.
부교역자나 직원에게 관대하고, 많이 주도록 하라.
보통 부교역자는 담임목사와 1/2이 되게 사례를 준다.
그러나 그럴 필요도 없다.
부목사와 비슷하면 어떤가? 부교역자에게 관대하면 원목에게도 관대해진다.
5)힘 없는 자를 중심하지 말고, 힘 있는 자를 중심으로 목회하라.
힘 있는 자를 중심하는 데는 큰 문제가 없다.
말 잘 듣는다고 약자를 이용하면 힘 있는 자(당회원)는 그 힘으로 반대한다.
그 힘은 목회자를 쫓아 내고도 그 힘이 남는다.
6)교인/장로의 무게는 당연히 장로가 더 무겁다.
교인을 장로보다 더 무겁게 생각하면 그 목회는 반드시 실패한다.
장로를 힘껏 올려 주고, 추켜 주라.
그러면 장로는 목사를 교인 앞에 높여 주고, 추켜 세워 줄 것이다.
장로를 짓밟으라.
그는 나를 부셔 버릴 것이다. 장로를 멀리하라.
그는 몇 배 멀리할 것이다.
장로를 몰아 내려 해 보라.
그는 먼저 선수를 쳐 버릴 것이다.
목사가 죽으면, 장로도 죽는다는 진리를 알라.
7)20세 이상 연상의 장로에게는 부모 대접을 해 드리고, 정초에는 세배하라.
그러면 장로는 목사를 훌륭한 지도자로, 인격자로 인정한다.
목사를 인격자를 존경하고, 그의 뜻을 따른다.
5세 이상의 장로는 형님 대접하라.
8)낮아지고 섬기는 목사는 즐거운 목회를 하고, 시험에 들지 않는다.
목사가 먼저 대접하라.
그러면 장로인 상대가 대접한다.
내가 넓으면 상대도, 겸손하면 상대도, 신발 돌리면 상대도, 양보하면 상대도, 부드러우면 상대도...
반대로 목사가 강하면 장로인 상대도, 근위대를 만들면 상대도, 기분 나쁘면 상대도... 목사가 예수 같이 죽으면, 장로도 순교한다.
순교하는 목회는 행복한 목회가 된다.
순교하는 목회는 교인을 즐겁게 한다.
교인들을 즐겁게 하면 교회는 부흥한다.
교회가 부흥하면 목사의 실력을 인정한다.
목사의 실력을 인정하면 존경한다.
존경하면 따르고 목사를 행복하게 한다.
2.성재덕 신부의 섬김론
1>종의 자세 5가지
①종은 가장 낮은 자세로 일한다.
②종은 사람들로부터 인정 받지 못한다고 서운해 하지 않는다.
③종은 자신이 해야 할 일을 하는 것으로 만족하며, 그 결과에 집착하지 않는다.
④성실한 종은 게으르지 않고 부지런하다.
⑤종은 주인의 뜻을 따른다는 것 하나 만으로 커다란 희열과 기쁨을 느낀다.
2>10가지 기뻐할 훈화
①너를 몰라 주고 잊어 버리는 사람이 있어도 기뻐하라.
②네 정신과 육신이 못 생겨도 기뻐하라.
③사람들이 네 뜻을 반대해도 기뻐하라.
④네 뜻이 정해지지 않아도 기뻐하라.
⑤너를 믿어 주지 않아도 기뻐하라.
⑥너를 말째로 두어도 기뻐하라.
⑦너를 한 번도 참여시키지 않아도 기뻐하라.
⑧너를 쓰지 않아도 기뻐하라.
⑨너를 모든 사람보다 더 중히 여기지 않아도 기뻐하라.
⑩네게 천한 일을 시켜도 기뻐하라.
'목사! 선교사! 목회자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목회자 우상화 5가지 (0) | 2016.07.09 |
---|---|
[스크랩] 목사의 자질과 자세 (0) | 2016.07.09 |
[스크랩] 교회성장을 위한 좋은 설교 개발하기 (0) | 2016.06.22 |
[스크랩] 11가지 종류의 설교 스타일…당신은 어느 쪽? (0) | 2016.06.15 |
[스크랩] 설교와 설교자 (0) | 2016.06.01 |